중국 소설가 모옌의 《붉은 수수밭》은 문화대혁명을 전후한 중국의 실상을 그린 대표적 작품이다. 모옌은 이 작품으로 2012년 노벨문학상을 받았고, 장이머우 감독은 이를 원작으로 영화 ‘붉은 수수밭’을 만들었다. 나귀 한 마리 값에 양조장 주인에게 신부로 팔려가는 빈농 딸의 운명을 그린 《붉은 수수밭》은 진화론적 세계관과 혁명이론, 계급과 이념의 범주 안에 갇혀 개인이 소멸되고 생명이 경직된 제도에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붉은 수수밭》은 전 세계 20여개국에 번역 출간돼 모옌뿐 아니라 중국 문학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모옌은 초등학교 5학년 때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학업을 포기하고 수년간 농촌 생활을 했다. 초등학교를 중퇴하고 18세 때 면화 가공 공장에서 일하다 20세 땐 인민해방군에 입대했다. 어린 시절에 겪은 문화대혁명은 작가로서 그의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국 작가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는 문화대혁명 시기를 배경으로 가족을 위해 피를 파는 한 남자의 고단한 삶을 그린 작품이다. 부조리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무력함, 가난한 삶의 처절함을 세밀히 묘사했다. “설령 목숨을 파는 거라 해도 난 피를 팔아야 한다”는 외침에선 문화대혁명으로 피폐화된 인민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선 ‘허삼관’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됐다.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중국 작가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는 문화대혁명 시기를 배경으로 가족을 위해 피를 파는 한 남자의 고단한 삶을 그린 작품이다. 부조리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무력함, 가난한 삶의 처절함을 세밀히 묘사했다. “설령 목숨을 파는 거라 해도 난 피를 팔아야 한다”는 외침에선 문화대혁명으로 피폐화된 인민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선 ‘허삼관’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됐다.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