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집콕'이 지긋지긋해 질렀다…보복소비 덕에 잘나가는 名品시장
패션회사의 1년 성적표는 겨울철이 좌우한다. 두껍고 묵직해 단가가 비싼 옷은 이때 많이 팔리기 때문이다. 올겨울 패션업계의 판매 실적은 코로나19 탓에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11월 이후 롯데·현대·신세계 등 주요 백화점의 패션 매출은 전년 대비 10~20% 줄었다. 어느 정도 각오했던 일이라지만, 패션업체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다만 해외 명품 브랜드만큼은 이런 불황의 ‘무풍지대’다....
-
커버스토리
돈 넘치며 물가 오르는 인플레…돈 가치는 그만큼 떨어져
물가는 한 나라의 전반적인 경제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주요 잣대 가운데 하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지난해 9월 기준 생활비가 가장 비싼 도시 조사에서 프랑스 파리와 홍콩, 스위스 취리히가 공동 1위, 일본 오사카가 5위, 미국 뉴욕 등이 공동 7위로 나타난 게 대표적 예다. 물가의 변동은 국가의 거시경제 운영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득과 소비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오르내림은 비상한 관심을 끈다.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신종 코...
-
커버스토리
로마제국·16세기 스페인·짐바브웨, 모두 인플레로 파탄
정부가 쓸 돈을 더 마련하려고 세금을 올리면 대부분의 사람은 화를 냅니다. 정부가 세금을 많이 떼갈수록 쓸 돈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그래서 정부는 새로운 방법을 씁니다. 이 방법은 세금을 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사람들의 화를 당장 돋구진 않습니다. 정부가 돈을 많이 찍어내 쓰는 방법, 즉 인플레이션 수법입니다. 토머스 소웰이라는 경제학자는 《베이직 이코노믹스》라는 책에서 “인플레이션은 보이지 않는 세금”이라고 썼...
-
경제 기타
'경제야 놀자' 뉴스레터로 경제공부 하세요
수요의 가격 탄력성?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경제용어는 언제 들어도 어렵다. 그런데 이런 어려운 경제용어를 쉽게 풀어주는 뉴스레터가 생겼다. 한국경제신문이 메일로 발송하는 ‘경제야 놀자’가 그것이다. 경제야 놀자는 ‘지니’라는 가상 연구원이 경제 용어를 설명해주고 그 용어가 사용된 기사를 연결해준다. 더 나아가 그 용어와 관련해 취업 등 시험에 나올 만한 문제까지 소개해 직접 풀...
-
대학 생글이 통신
반수로 서울대 두 번째 합격…꿈 찾아 도전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서울대 경제학부에 합격한 생글생글 14기 학생기자 이승주라고 합니다. 저는 작년에 정시 전형으로 서울대 인문계열 20학번으로 입학했고, 반수를 통해 수시 전형 경제학부로 다시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의 입시와 두 번의 서울대 합격을 거치며 생각한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충실한 학교 생활이 성장의 핵심 학교 생활의 경우 수업시간을 통해 얻어갈 것이 많습니다. 내신 문제를 직접 출제하시는 선생님들의 수업을 ...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학 틀린 문제에 'Again' 표시…덤덤하게 다시보기 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생글기자 14기, 서강대 경영학과 21학번으로 입학하게 된 이경민입니다. ‘수포자’는 다른 과목 포기자에 비해 유난히 많습니다. 그래서일까요? ‘개념만 완벽해도 몇 점!’ ‘이것만 완벽해도 몇 점!’ 이런 말이 유독 많습니다. 저도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이 이 말에 대해 오해하기 때문에, 쉽게 타협하고 앞으로 나가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
진학 길잡이 기타
최솟값 문제의 미분과 기본도형의 활용
수리논술에서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는 대부분 미분법의 계산에 의하지만, 동시에 기본도형의 활용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논제를 출제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서는 중학교에서 배운 원과 삼각형 등 기본도형의 성질을 복습하고 잘 숙지해야 한다. 수리논술의 특성상 논제는 어렵지 않으나 계산의 집중력을 요구함으로써 변별력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몫의 미분법 안에서 무리함수나 삼각함수 등 다양한 형태의 식을 미분하는 경우가 그런 예다. 이때 반복되...
-
진학 길잡이 기타
자연계 상위 5% 수준이면 의약학계열 입시 도전해볼 만
올해부터 전국 34개 대학교의 약학대학이 ‘2+4년제’(대학 2학년 수료 후 약대 편입)에서 14년 만에 통합 6년제(고졸 신입생 모집)로 전환해 학부선발을 시작한다. 선발 규모는 정원 내로 1583명에 달한다. 중앙대와 이화여대 약대의 선발인원이 각각 120명으로 가장 많고, 숙명여대·덕성여대가 각각 8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그 다음으로 조선대(75명), 영남대(70명), 성균관대(65명), 서울대(63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