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에 집착하나

    우크라이나 국민은 요즘 밤잠을 설친다고 합니다. 전쟁 위협 때문입니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삼키기 위해 곧 침공할 것이라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10만 명 이상의 병력과 포병·탱크부대를 접경지에 배치한 상태입니다. 군사력이 약한 우크라이나는 미국을 주축으로 한 서방국가들의 개입을 원하고 있습니다. 일촉즉발, ‘유럽의 빵 바구니’에 전운이 짙어지는 상황입니다. 왜 긴장이 고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리논술의 결정적 변수…계산집중력을 높여야

    수리논술에서 당락을 결정하는 의외의 요인은 바로 계산력이다. 문제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 방법을 찾았더라도 계산력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된다. 올바른 식을 세우고 정확한 계산에 의해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수리논술의 핵심임을 명심하고 평소에도 계산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한다. 포인트 계산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극한, 적분, 시그마 등의 수식 기호를 능숙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V자形 경기회복'과 '일본型 장기침체'

    # 삼성전자는 올해 초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쇼 ‘CES 2022’에서 32형 게이밍 모니터를 선보였다. 퀀텀 미니 LED(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이 제품은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 LG전자는 졸업·입학 시즌을 맞아 ‘2022년 아카데미 페스티벌’을 열고 성능과 디자인을 향상시킨 노트북 ‘LG그램’ 14·15·16·...

  • 영어 이야기

    '접속사 + 절1, 절2' 문장형태에서 주어가 같을 때…접속사와 절1 주어 생략하고 분사구문형태로 표현

    The globe has huge temporal dimensions. For ages barren nature existed without living things. Life began on earth some 3.5 billion years ago, but modern humans (Homo sapiens) appeared perhaps less than half a million years ago. Although latecomers am...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균등배분제로 '큰 손' 아니어도 공모주 받을 수 있죠

    예전엔 공모주 투자가 많은 돈을 가진 ‘큰손’들의 잔치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공모주를 청약할 때 주식을 많이 받겠다고 신청한 사람일수록 경쟁률에 따라 주식을 많이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공모주 균등배분제가 처음 시행되면서 소액투자자들도 공모주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공모가는 어떻게 정해질까 보통 공모가는 상장하려는 기업과 상장 실무를 담당하는 증권사가 정한 범위 안에서 정해집니다....

  • 테샛 공부합시다

    글로벌 긴축 움직임…한국은행의 행보는?

    테샛(TESAT)을 공부할 때 수험생이 가장 까다로워하는 영역이 시사경제다. 시사 영역은 시시각각 이슈가 달라지고 범위가 넓은 편이다. 따라서 수험생은 생글생글 테샛 면에 주기적으로 게재되는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를 활용해 공부하는 것이 유익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Microsoft Corporation) =지난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S)는 � 지난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S)는 미국 게임업체인...

  • 생글기자

    치킨게임 벌이는 음식 배달 업계

    음식 배달 업계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수혜를 입은 업종 중 하나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점 이용이 제한된 상황에서 음식 배달 수요가 급증했다. 시장이 확대되고 여러 업체가 뛰어들면서 배달 서비스도 진화를 거듭했다. 쿠팡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은 더 빠르고 편리한 배달 서비스로 소비자를 유혹했다. 그러나 최근 배달 업계는 점점 ‘치킨게임’에 빠져들고 있다. 그 중심에는 ‘단건 배달’이 있다. 단건 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敎學相長 (교학상장)

    ▶한자풀이 敎: 가르칠 교 學: 배울 학 相: 서로 상 長: 성장할 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가 성장한다는 뜻 -《예기(禮記)》 중국의 오경(五經)은 유교의 대표적 다섯 개 경서로, 공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해 존중되는 《역경(易經)》 《서경(書經)》 《시경(詩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전통적인 중국 정신문화의 바탕을 보여주며 사서(四書: 논어·맹자·대학·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