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登高自卑(등고자비)

    ▶한자풀이 登: 오를 등 高: 높을 고 自: 스스로 자 卑: 낮을 비 높이 오르려면 낮은 데서 출발한다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의미 - 《중용(中庸)》 중국 사서(四書) 중 하나인 《중용(中庸)》은 공자 손자인 자사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 철학의 주요 개념을 담고 있지만 서양 사상에도 미친 영향이 적지 않다. 중(中)은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도리에 맞는 것을 의미하며, 용(庸)은 평상적이고 불변적인 것을 뜻한다. 그...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160여년간 조선 괴롭힌 왜구 토벌하기 위해 '상왕' 태종 명령으로 대마도 정벌에 나서지만…

    불가사의한 일이다. 한 국가가 다른 나라의 해적 집단에 그렇게 오랜 기간 농락당하면서도 해양력을 키우지 않은 역사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것 같다. 조선은 사대교린(事大交隣)을 대외정책 기조로 삼았다. 명(明)나라에 사대(事大)를 취하며, 일본 등 타국과 가깝게 지낸다는 인식이다. 어려운 상황이 도래하면 ‘현실’이라는 명목으로 굴복을 주장하고, 중국적 질서에 충실한 성리학자들로선 최고의 선택이다. 하지만 현실은 달...

  • 디지털 이코노미

    인건비 뛴 중국서 돌아오고 싶어도 못 오는 이유

    많은 기업이 중국을 떠나 자국으로 돌아갔다. 10년 만에 인건비가 두 배로 늘어난 탓이다. 중국의 인건비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4%,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다시 30% 상승했다. 이는 미국과의 무역분쟁 이전부터 노동집약적 산업의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고 있었다는 의미기도 하다. 의류 제조업체들이 중국 인건비의 7분의 1인 스리랑카나 방글라데시 같은 국가로 이동한 이유다. 여전히 매력적인 중국 하지만 더 많은 기업이 중국을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부처님오신날 연등불 밝힌 청계천

    불기 2566년 부처님오신날(5월 8일)을 앞두고 최근 서울 청계천에 연등이 설치됐다. 시민들이 불을 밝힌 연등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고 있다. 연합뉴스

  • 과학과 놀자

    내일의 날씨 알아내기 위해 땅·바다·하늘·우주서 레이더·위성 등으로 모은 자료 슈퍼컴으로 분석해

    “내일 날씨는 맑겠습니다.” 매일 들어도 궁금한 것이 날씨다. 기상 관측 기술과 기상 예보는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기상 예보를 하려면 기상 관측을 해야 한다. 땅, 바다, 하늘, 지구 밖 등 다양한 곳에서 기온, 기압, 풍향, 풍속, 습도, 구름의 양, 황사나 안개 등의 기상 요소를 관측한다. 땅에는 사람이 직접 관리하거나 무인으로 운영되는 기상 관측소가 있고, 바다에는 해양 기상 관측 부이나 해양 관측 기지, 해양 기상...

  • 커버스토리

    경제를 보는 두 시각: 시장경제 vs 계획경제 시장경제가 희소자원 잘 활용해 번영 추구

    《세계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비전의 충돌》을 쓴 미국 경제학자 토머스 소웰은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경제를 ‘비전 충돌’ 사례로 들었습니다. 그는 민간 주도 경제를 시장경제로, 정부 주도 경제를 계획경제로 구분했습니다. 그는 민간이 정부보다, 시장경제가 계획경제보다 나은 이유를 다양한 시각에서 살폈습니다. 시장경제는 ‘무지’를 전제한다 우리는 누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합...

  • 숫자로 읽는 세상

    주당 54.2달러…트위터 55조에 품는 머스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글로벌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위터를 440억달러(약 55조원)에 인수한다. 인수 작업이 마무리되면 트위터를 상장폐지하기로 했다. 최근 20년간 상장사에서 비상장사로 바뀐 곳 중 최대 기업이 될 전망이다.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빅테크 규제를 피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트위터 이사회는 머스크가 트위터를 주당 54.2달러에 인수하는 방안에 합...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0년의 진화 [밤니슬] vs [바미슬]

    우리말 발음에서 ‘ㄴ’음 첨가 현상에 대한 인식은 일찍부터 있었다. “이(이, 야, 요, 유)로 비롯한 생각씨(觀念詞)가 그 위에 받침으로 끝진 말과 이을 적에는 군ㄴ을 그 첫소리로 내나니….” 일제강점기 때 우리말 문법의 기틀을 잡은 한글학자 최현배는 역저 《우리말본》(1937년)에서 그 실마리를 이렇게 풀었다. 예로는 ‘암여우→암녀우, 밭이랑→밭니랑, 밤이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