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가격·소득·유행·대체재·보완재 등에 따라 수요 변화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 거래가 이뤄지는 곳으로, 상품시장에서의 수요자는 가계지만 노동시장에서는 기업이 수요자가 된다. 즉 어떤 시장인지에 따라 누군가는 수요자가 되고 누군가는 공급자가 되므로 가계가 언제나 수요자가 된다는 건 잘못된 생각이다. 이번주부터는 시장 작동 과정에서 공급과 대립하며 다른 한쪽 축을 이루는 수요를 상품시장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개별 수요와 시장 수요 수요는 대가를 치르고 무언가를 구매하는 것으로 상품시장에...
-
생글기자
자외선 차단제를 쓸 때도 환경에 관심을
햇볕이 뜨거워지는 여름철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많이 바른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의 특정 성분이 해양 생물에 유해한 것으로 밝혀져 주의가 필요하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무기적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적 자외선 차단제로 나뉜다. 무기적 자외선 차단제는 광물에서 추출한 무기 물질이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해 자외선을 차단한다. 징크옥사이드와 티타늄디옥사이드가 대표적인 성분이다. 유기적 자외선 차단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유기 화합물이 ...
-
영어 이야기
뭔가를 가지고 있을 때 쓰는 표현 under one's belt
South Korea’s food and beverage conglomerate SPC Group announced Tuesday it has acquired French casual coffee chain Lina’s Dveloppement. The conglomerate’s European holding company SPC Euro bought a 100% stake in Lina’s Dvelo...
-
생글기자
강력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최근 ‘가스라이팅’이라는 단어가 범죄 사건을 다루는 기사에 종종 등장한다. 가스라이팅이란 타인의 정서와 주변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심리적으로 지배하는 행위를 말한다. 영국에서 1938년 공연된 연극 ‘가스등’에서 유래한 용어다. 미국의 심리 치료사 로빈 스턴은 저서 《가스등 이펙트》에서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가해자와 가해자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피해자가 만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如鳥數飛 (여조삭비)
▶한자풀이 如 : 같을 여 鳥 : 새 조 數 : 셀 삭 飛 : 날 비 새가 자주 하는 날갯짓과 같다 쉬지 않고 배우고 익힘을 비유 - 《논어(論語)》 배운 자가 부족함을 안다. 그러니 배운 자가 더 배운다. 세상은 아는 만큼만 보인다. 공자는 평생 배우고 익힘을 강조했다. 《논어》는 ‘배우고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로 시작한다. 공자에게 익힘은 배움의 실천이다. 말만 번지르르한 게 아니...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원자재 가격 오르면 납품가 법으로 올리는 납품단가 연동제, 타당한가
국회에서 ‘납품단가 연동제’ 시행을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하청업체가 상대적으로 대기업인 원청업체에 납품할 때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연동해 가격을 올려받게 하자는 법이다. 세계 어느 곳에도 유례가 없는 법이어서 더 관심을 끈다. 중소기업계에서는 찬성 입장이 많고, 국회에서도 여야 할 것 없이 입법 논의를 계속 이어왔다. 정부에서는 업계 자율을 침범하는 강제법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기업의 해...
-
과학과 놀자
토양 성분 따라 파랑·분홍·보라색 꽃으로 피어나
초여름인 6월이면 피어나 아름다운 색깔과 자태로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꽃이 있다. 변심, 변덕, 소녀의 꿈, 냉정 같은 다양한 꽃말을 가진 수국(水菊·hydrangea)이다. 물을 좋아해 이름에 물(水)이 들어 있는 이 아름다운 꽃에 변심, 변덕 같은 꽃말이 지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파란색, 분홍색, 보라색, 연두색까지 수국은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다. 피어날 때는 연두색이다가 파란색 또는 분홍색으로 변해버리기도 한다. 심지어 작...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동아시아 질서 재편 놓고 벌인 육지·해양세력의 대결…일본 에도막부·청나라 등장 등 정치적 변화 불러와
‘임진왜란’ ‘임진조국전쟁’ ‘분로쿠역(文祿役)’ ‘만력조선전쟁’ ‘조일전쟁’. 이는 모두 1592년 4월부터 1598년 12월까지 7년간 한반도 전역에서 벌어진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임진왜란’에는 피해자 조선 정부의 시각이 담겼다. ‘임진조국전쟁’은 북한이 자체 역사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