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 - 한번 쯤 따져봐야 할 수학개념들 1. 세모, 네모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세모', '네모'에서 '세'는 세 개를 뜻하고, '네'는 네 개를 뜻하는 것은 느낌으로 알겠지만 과연 '모'는 무엇일까? 사전에서 '모'는 물건의 거죽으로 쑥 나온 귀퉁이 또는 공간의 구석이나 모퉁이, 선과 선의 끝이 만난 곳으로 설명을 하고 있다. 따라서 '모'는 밖으로 튀어나온 뾰쪽한 끝이란 뜻으로 세모는 세 개의 뾰쪽 튀어나온 끝이...
-
경제 기타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지시 따라야 등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지시 따라야 요즘 한국사 수능 필수 제정을 비롯해 한국사 교육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교학사에서 출판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가 우익 성향이 짙어 그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교학사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2배 정도로 수정 및 보완 사항을 지적받았으며, 검정 통과 이후 열흘 동안 298곳에서 오류가 드러났다. 네이버, 위키 백과 등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인터넷 자료들을 무분별하게 갖다 ...
-
경제 기타
'독도 지우개'와 코즈마케팅 등
'독도 지우개'와 코즈마케팅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는 '독도 지우개'가 열풍이다. M문구업체에서 출시한 이 지우개에는 독도의 사진과 더불어 '수익금의 일부는 독도후원기금으로 쓰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 색다른 지우개의 등장은 소비자에게 독도를 돕는다는 자부심과 동시에 애국심을 심어주고, 일본 등의 외국산 필기구를 즐겨 쓰던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이 사회적 이익, 공익을 내세우며 제품을 홍보...
-
경제 기타
샹파뉴가 몰락한 이유 등
[다산 칼럼] 샹파뉴가 몰락한 이유 정치적으로 독립된 상업 중심지, 왕실 간섭 커지며 쇠락의 길 걸어 우리도 규제입법에 열중한다면… 유럽에서 12~13세기는 상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소득과 인구가 동시에 증가했던 융성의 시기다. 그러던 유럽이 14세기 들어서면서 인구가 감소하고 생활수준이 하락하는 쇠퇴의 길을 걷는다. 일반적으로 14세기 중세 유럽 쇠퇴의 원인으로 기후 변화와 몽골에 의해 전파된 흑사병을 든다. 14세기 초 연평균 기온...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91)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90회 스도쿠여행 정답: ⓐ-7 ⓑ-4 ⓒ-1 ⓓ-6 ⓔ-9 ⓕ-3 ⓖ-8 ⓗ-3 ⓘ-7 ★ 289회 당첨자: 박현빈 김예리 석원영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9일자
1. 한국 정부가 최근 참여에 관심을 표명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의 영어 약자는 이것이다.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2개국이 참여한 복수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인 이것은? ①RCEP ②GCC ③TPP ④FDA 2. 투자 목적으로 모았지만 실제 투자 집행이 이뤄지지 않은 자금을 뜻한다. 총포류 발명 초창기 전쟁 준비를 위해 마른 화약을 비축했던 것이 현대 금융시장으로 쓰임이 확대된 이 말은? ①드라이 파우더 ②핫 머니 ③...
-
학습 길잡이 기타
(24) 강에 가서 물고기를 탐내는 것은 집에 돌아가 그물을 짜는 것만 못하다
▶ 회남자 '설림훈'에 실려 있는 글이에요. 강가에서 물고기를 보고 욕심을 내지만 얻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가질 수 없어요. 하지만 집에 돌아와 그물을 짠 다음 강으로 가 그물질을 한다면 물고기를 잡을 수 있지요. 간단한 논리지만 실천하기는 어렵답니다. 우리는 좋은 것을 보면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해요. 그렇지만 생각만 할 뿐, 갖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아요. 그리고 부러워만 하지요. 자신을 한 번 뒤돌아봐요. 갖고 싶은 것이 있거든 ...
-
커버스토리
자본시장 60년…10대 경제대국 '초석'
자본은 경제의 혈액이다. 자본이라는 혈액이 끊임없이 공급되고 순환해야 경제가 살아 숨쉰다. 기업을 세우고, 신제품을 개발하고, 유통망을 넓히고, 투자를 확대하는 것도 자본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 한국이 6·25전쟁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딛고 경제의 초석을 다질 때도 최대의 관건은 자본이었다. 경제 재건의 토대가 바로 '자본의 축적'이었던 셈이다. 자본시장(capital market)은 이런 자본(자금)이 조달되는 유·무형의 시장을 일컫는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