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230> 나머지 정리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진학 길잡이 기타

    수능 A·B형 선택, 모의평가 후 결정을

    2015학년도 대입 전략- 정시 (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지난 3월 발표했다. 작년과 동일하게 선택형 수능으로 진행하되 영어영역의 경우 수준별 시험이 폐지됐다. 국어 B형과 수학 B형은 수험생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동시에 선택하는 것이 제한되고 EBS 교재ㆍ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율도 70% 수준이 되게 하는 등 기본 출제방향은 작년 수능과 동일하다. 수험생들은 월별로 실시하는 모의고사를 ...

  • 경제 기타

    푸드트럭 합법화는 옳을까요?

    정부는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민관합동 규제개혁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여러 가지 규제개혁 요구가 이어졌고 그중 대표적인 것이 푸드트럭 허용 건이었다. 한 푸드트럭 개조업체 대표는 이날 대통령에게 푸드트럭 합법화를 요청했고 정부는 며칠 뒤 합법화하겠다고 밝혔다. 현행법상으로는 푸드트럭이 불법이지만 자동차관리법과 식품위생법의 시행규칙을 개정해 이를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국토교통부와 식약처가 범정부 차원에서 협업해 푸드트럭을...

  • 경제 기타

    2002년…오클랜드 20연승…경제학적 상상력이 '장외홈런'을 날렸다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머니 볼' 을 통해 본 트레이드 경제학 “모두 야구를 잘못 이해하고 있어요. (트레이드에서) 중요한 건 선수가 아닌 승리를 사는 거예요. 승리하기 위해 득점을 올릴 선수를 사야죠.”(피터 브랜드) 1989년 마지막 우승 이후 형편없는 팀으로 전락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좀 하는가 싶다가도 시즌이 끝나면 주전 선수들을 다른 구단에 뺏기기 일쑤다. 열악한 구단 재정으로 선수를 붙잡지 못하는 탓이다. 2001년 디비전...

  • 경제 기타

    목초지에 담 쌓아 사유화…'공유지의 비극'을 막았다

    인클로저(enclosure)는 토지의 소유권을 나타내기 위해 담장을 쌓는 것을 말한다. 즉 토지에 대한 공유가 부정되고 배타적 사적 소유권이 확립되는 과정을 뜻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산업혁명 전의 영국에서 주로 나타났는데 이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15~16세기에는 양을 기르기 위해, 그리고 18~19세기에는 농작물 생산을 위해 공유지에 담을 쌓는 일이 일어났다. 이는 사적 재산권의 발전이 역사적 필연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 경제 기타

    (24) 위험관리 전문가 '보험계리사'

    보험업의 발달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카페였다. 항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에는 다양한 사람이 몰려들었다. 그중에서도 영국의 에드워드 로이드(Edward Lloyd)의 카페에는 선박의 출발과 도착 정보, 배당률 등의 정보를 칠판에 적어 놓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로이드의 사위들은 해상 보험 소식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신문 '로이드 리스트'를 발행했다. 이 자료는 정보의 교환이 어려웠던 당시에 영국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의 항구에서도 유포됐다고 하니...

  • 경제 기타

    양적완화 정책 지속…엇갈린 지구촌

    “전 세계가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경기부양을 위한 보다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지난 2일(현지시간)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위험'을 경고하면서 각국 중앙은행에 던진 메시지다. 라가르드 총재는 특히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과 일본을 겨냥해 추가적인 양적완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유럽과 일본의 중앙은행은 여전히 양적완화를 포함한 비전통적 조치를 하는 데 주저하고 있다. IM...

  • 커버스토리

    지식·정보전달 빛의 속도로…'세계가 좁아졌다'

    문명과 기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인류는 기술발전과 함께 진화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가 오늘날 학문적으로 망신(?)을 당한 것도 바로 인류의 기술개발 본능을 꿰뚫어 보지 못한 탓이었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인류는 절대빈곤에 허덕이고 급기야 망할 것'이란 그의 이론은 기술진보 앞에서 허망하게 깨졌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지도 않았지만 식량 생산을 획기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