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진학 길잡이 기타
수능 영향력 절대적…특목고·재수생 강세
2015학년도 대입전략 특징- 서울대학교 지난달 말 서울대 2015학년도 입학전형안이 입학처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됐고 이후 서울대 자체적으로 시·도별 입시설명회가 진행 중이다. 서울대 입시전형안이 확정되면 서울 주요 대학을 포함한 다른 대학들도 순차적으로 입시전형안과 모집요강을 발표한다. 서울대 입시전형은 다른 대학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서울대를 지망하지 않는 수험생들도 서울대 입시안을 관심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올해 서울대 입시...
-
경제 기타
의붓딸 상해치사에 살인죄 적용해야 할까요?
최근 법원이 의붓딸을 때려 숨지게 한 계모에 살인죄가 아닌 상해치사죄를 적용해 징역 10~15년을 선고한 데 대해 말들이 많다. 아동학대라는 중대범죄를, 다른 사람도 아닌 자식에게 저지른 천인공노할 범죄에 어떻게 그렇게 낮은 형량을 선고할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소위 국민의 법감정과 실제 판결 사이에 너무나 큰 격차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재판부는 살인의 경우 고의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없어 살인죄 적용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민들의...
-
경제 기타
미국서 6장 팔린 음반, 남아공에서 수백만장 팔린 '미스터리'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서칭 포 슈가맨' 을 통해 본 해적판 경제학 1969년 초겨울, 미국 디트로이트의 밤은 을씨년스러웠다. 비 오는 밤이면 시내 외곽의 낡은 선술집에서는 노랫소리가 흘러나왔다. “슈가맨, 서둘러 주겠니. 이 삶의 풍경이 너무 지겹거든. 푸른 동전을 줄 테니 가져다줘. 내 무지개색 꿈을 돌려줘.” 묘한 목소리였다. 어둡고 쓸쓸한 디트로이트 거리와 골목들을 부드럽게 감싸는 듯한 음색. 사람들은 목소리의 주인을 가리켜 '거...
-
경제 기타
기계가 일자리 뺏는다?…해프닝으로 끝난 기계파괴운동
“기계들이 우리 노동자들의 일을 대신해버린다. 기계가 많아질수록 노동자들의 일자리는 사라지고 생존은 위협을 받게 된다. 그러니 저 기계들을 부숴버리자! 그래야만 우리 노동자들이 잘살 수 있다.” 러다이트(Luddite)운동(기계파괴운동)을 주도했던 전설적인 인물 영국의 네드 러드가 운집한 노동자들을 향해 외쳤던 말이다. 이 운동은 19세기 초 영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등장한 방적기가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며 수공업 노동자들 중심으로 기계를...
-
경제 기타
(25) '비교우위' 따른 축구 감독의 선수 선발
축구 국가대표팀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무성하다. 월드컵이 코앞이라 축구가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조 편성부터 맞붙을 상대팀까지, 과거에도 월드컵을 앞두고는 온통 축구 얘기뿐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불거진 이슈는 논점이 과거와 조금 다르다. 선수 선발과 관련해 온갖 추측과 억측이 난무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특혜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을 정도다. 홍명보 감독이 대표팀에 부임하면서 밝힌 선수 선발의 원칙은 '소속팀 경기에 나...
-
경제 기타
어수선한 우크라이나…동부지역 분리 독립 목소리
우크라이나 사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뿐 아니라 러시아계 비율이 높은 동유럽 국가 도시들도 러시아에 병합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에스토니아를 비롯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러시아인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들은 사태의 진행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크라이나 동부에서는 친러시아 시위대가 정부 주요 청사를 점거하며 분리 독립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소비에트연방 시절 동유럽 일대에 흩어진 ...
-
커버스토리
글쓰기 능력 보면 학생 미래 보여…하버드大 '에세이' 평가 유명
미국의 유명 대학들은 신입생 선발 때 반드시 '에세이'를 제출하라고 한다. 하버드대는 엄격한 에세이 평가로 악명(?)이 높은 대학이다. 교수들이 에세이를 꼼꼼히 읽은 뒤 직접 평을 쓰고 당락을 가른다. 하버드 합격생들의 에세이를 묶어놓은 책을 보면 글을 잘 썼다는 느낌을 받는다. 문체나 문장력, 구성력이 좋을 뿐 아니라 내용이 감동적이다. 에세이에 과거 드러난다 미국 대학들이 입시전형에서 에세이에 비중을 두는 이유는 딱 하나다. 글쓰기 능력...
-
커버스토리
글쓰기의 노하우는?…짧게 끊어 쓰고, 키워드를 활용해라
글쓰기는 생각을 글로 옮기는 것이다. 이치는 간단하다. 하지만 막상 펜을 잡으면 논리가 잘 전개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어휘, 지식, 논리, 경험, 독서 등 기초가 약한 탓이다. 좋은 글을 쓰려면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다양한 독서로 어휘력을 늘리고, 글을 써나가는 요령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습관도 키워야 한다. 글은 결국 생각이기 때문이다. 키워드(핵심어)를 활용하면 글쓰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