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한국사 시험 안보면 전체 수능성적 '무효'
오는 11월17일 치러지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돼 한국사 시험을 보지 않으면 시험 자체가 무효가 된다. 또 2016학년도까지 시행한 국어의 A·B형 수준별 시험은 폐지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7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이처럼 확정해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한국사 필수, 이과생 부담될 수도 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 처음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 ...
-
경제 기타
"경제적 자유 핍박하는 정치, 국민이 심판해야"
정부 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 가치를 옹호하는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이 경제 발전의 원동력인 ‘경제적 자유’가 심각하게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4·13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기승을 부리는 포퓰리즘(대중인기 영합주의)이 경제적 자유를 억압하면서 한국 경제를 저성장의 깊은 늪으로 밀어넣고 있다고 우려했다. “시장이 풀 문제도 정치가 결정” 조장옥 한국경제학회장은 지난 30일 &lsq...
-
경제 기타
몽펠르랭소사이어티 한국서 첫 지역 총회
세계 자유주의 경제 석학들의 모임인 몽펠르랭소사이어티(MPS: Mont Pelerin Society) 지역총회가 내년 5월7~10일 3박4일 일정으로 서울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유치해 주관하는 서울총회의 주제는 ‘경제적 자유: 번영으로 가는 길’이다. 그동안 아시아에서는 일본, 대만, 홍콩에서 지역총회와 총회가 열린 적이 있지만 한국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은 MPS가 출범한 지 70년이 되는 해이면서 한국에서는 ...
-
커버스토리
독점은 악인가?
“시장경쟁이 제한되고 소비자 이익이 침해된다.” “아니다. 산업이 활성화되고 소비자가 이득을 본다.” 기업 인수합병이나 독과점 분쟁이 발생할 때마다 이런 공방이 벌어진다. 기업들은 이것 때문에 자주 법률 분쟁에 휘말리기도 한다. 국내외 분쟁사례를 알아보자. 스탠더드오일 가격 후려치기 존 록펠러(1839~1937)는 유전(油田)개발 시대인 1860년대 클리블랜드에 정유회사를 세워 큰돈을 모았다. 1...
-
커버스토리
신제품·신기술로 시장독점하면 규제 안해
공정거래법이란? 시장경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경제주체들이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자유롭게 거래하고 교환할 때 시장에 참여하는 소비자 생산자는 최대의 만족을 누리게 된다. 하지만 특정 기업이 다른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며 시장을 독점한 채 가격을 마음대로 올린다면 소비자들이 큰 피해를 입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 어느 국가에서나 경쟁을 제한하는 독점행위에 대해서는 경쟁촉진법 또는...
-
숫자로 읽는 세상
"택배왔어요"
미국에서 처음으로 자율비행 드론(무인항공기)을 이용한 주거지역 배송(사진)에 성공했다. 드론 택배기사가 도입될 날이 한 발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 25일 미국 드론 제조업체 플러티가 네바다주 주거지역에서 사람의 조종 없이 자율비행하는 드론을 활용, 물품을 가정집에 배달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맷 스위니 플러티 최고경영자(CEO)는 “네바다주 소도시 호손에서 지난 10일 자율비행 드론 배송에 성공했다...
-
숫자로 읽는 세상
'죄수의 딜레마' 빠진 미국 천연가스…가격 하락에도 생산은 사상 최대
미국 천연가스업체들이 ‘고통스러운 봄’을 맞고 있다. 원유시장보다 심각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으로 상당수 업체가 올여름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업체들이 생산을 줄이고 싶어도 서로 눈치를 보느라 줄일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렸다고 분석했다. 가격은 17년래 최저…생산량은 최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미국의 하루평균 천연가스 생산량이 73억입방피트로 전달보다 2% 증가하...
-
경제 기타
이익 쌓아두면 불이익 주는 '기업소득환류세'
☞ 기업소득환류세는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이익의 80% 이상을 투자나 배당, 임금 인상분 등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미달 금액의 10%를 법인세로 추가 징수하는 일종의 사내유보금 과세제도다. 자기자본 500억원 이상(중소기업 제외)이거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규모 기업집단) 소속 기업에 한해 2015년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최경환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도로 신설된 환류세는 기업의 내부 자금이 가계로 흐를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