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보부상 박승직, 두산그룹의 터를 닦다
종로4가 로터리의 창경궁 쪽 모퉁이에 두산그룹 발상지라는 이름의 소공원이 있다. 1896년 박승직이라는 상인이 이 자리에서 박승직 상점을 열었다. 이 상점이 나중에 두산그룹이 된다. 이 소공원은 1996년, 두산그룹이 창립 100주년을 기념해서 조성했다. 120년 역사의 두산그룹은 현존하는 한국 기업 중 최장수 기업으로 공인됐다. ■ 기억해 주세요^^ 박승직은 태평양전쟁 막바지이자 해방 직전 상점의 문을 닫았다. 그리고 6·25...
-
경제 기타
인위적 가격통제는 단기적으로 정책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경제 전체적으로 왜곡을 낳기도 해요
올 해 최저임금은 작년보다 440원이 오른 6,470원으로 결정됐다고 한다. 최저임금제도는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여 그 수준 이상으로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로,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시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저소득근로자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최저임금제도는 반드시 좋은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 꼭 그렇지만은 않다. 최저임금제도는 정부가 시행하는 가격통제의 대표적인 제도이다. 가격통제는 시장에서 정해진 가격이 안정적인 경제...
-
(24) 조직의 변화관리
전략과 조직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전략을 세운다는 것은 조직을 변화시켜 나간다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다. 최근의 급격한 사업 환경 변화는 조직 변화관리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키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야기되는 현상들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소프트웨어가 경쟁력의 핵심이 돼가고 있다. 또 제품 자체보다는 그 제품을 활용한 서비스의 내용에 의해서 승자와 패자가 구분되고 있다. 변화관리...
-
1987년 '넥타이 부대' 시위…대통령 직선제 관철, 야당 후보단일화 실패…노태우 직선대통령 '당선'
■ 기억해 주세요^^ 1987년 6·29선언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한층 폭넓은 발전을 했어요.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구조도서서히 민주화의 길을 걷게 되었죠. ‘6·10 항쟁’으로 직선제 선거 ‘부활’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기 한 해 전이던 1987년 4월, 전두환 대통령은 이른바 ‘4·13호헌 조치’를 선언했습니다....
-
교양 기타
(46) 국가에도 행동 우선순위가 있다
1816~2000년 사이 207개국 존재했으나 지금은 66개국이 사라졌어요. 66개국 가운데 50개국이 이웃 나라의 폭력에 의해 사라지는 비극을 겪었죠. ‘대한제국’도 ‘사라진 나라’ 가운데 하나입니다. 국가도 이제 SPPP 무장해야 ‘생존’ 가능한 시대죠.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은 많은데 무엇부터 먼저 처리하면 좋을지 몰라 갈등합니다. 어느 식당을 가야 할지 몰라 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4) - 바닷물이 파랗네? 파라네? “와아~, 바닷물 빛깔이 정말 (파라네/파랗네).” “개나리꽃이 정말 (노라네/노랗네).” 이들 문장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이 ‘파랗네, 노랗네’를 고를 것이다. 정답은 둘 다 맞는 표기다. 여기에는 곡절이 있다. 파랗다, 노랗다, 그렇다, 동그랗다 등 어간 끝에 ‘ㅎ’ 받침을 가진...
-
교양 기타
숫자는 거짓말을 안 한다? 대중을 속이는 못된 통계도 있다 !
‘숫자는 거짓말을 안 한다’고 철석같이 믿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아니다. 거짓말을 자주 한다. 자기 주장을 그럴싸하게 포장하려고 입맛에 맞는 수치만 골라쓰는 사람이 있어서다.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이런 쓴소리도 했다.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라고. 가려내자! 엉터리 통계 경제학 교수 출신인 정운찬 전 국무총리는 틈만 나면 “4대 ...
-
교양 기타
(48) 피천득의 '인연'
산문체로 쓰는 소설과 수필 2017년이 밝았다. 올 한 해 어떤 인연들이 삶의 모퉁이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피천득 선생은 수필가이자 시인이며 영문학자이다. 교과서에 실린 ‘인연’ ‘수필’ ‘플루트 플레이어’ 같은 글들로 많은 이에게 익숙한 문학가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각박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신문 기사나 방송 뉴스에서 걸핏하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