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남에선 '깃발', 북에선 '기발'로 쓰죠

    우리 맞춤법은 형태주의를 기반으로 해 표음주의를 절충했다. 한글 맞춤법은 총칙 제1항에서 '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규정했다. 지난호에선 ‘한라산-한나산’의 사례를 통해 우리말 적기 방식인 표음주의와 형태주의의 차이를 살펴봤다. 표음주의란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형태주의란 소리와 상관없이 같은 단어는 언제나 같은 형태로 적는다는 것이다. 그러면 ...

  • 학습 길잡이 기타

    단어는 다양한 색깔로 외워야 좋아요

    우리가 주로 '끌다'라고 외우는 draw 에도 '그리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런데 paint 가 주로 물감을 사용해서 그리는 것을 의미한다면, draw 는 보통 연필이나 펜으로 그리는 것을 뜻하는 단어랍니다. Paint my love From my youngest years till this moment here 어린 시절부터 지금 이 순간까지 I’ve never seen such a l...

  • 진학 길잡이 기타

    비판할 때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세요

    비판이란 어떤 주장을 지지 혹은 반박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견해에 따라 주어진 문제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입장을 논리적으로 개진하는 것이다. 논리적이고 타당한 비판능력은 오늘날처럼 다원화한 사회, 다양성을 인정하고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에서 특히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여러 문제 상황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재구성해 소통하는 데 반드시 전제돼야 할 능력이기 때문이다. 논술시험을 치르는 대학에서 출제...

  • 테샛 공부합시다

    재산권·경쟁을 보장하는 시장경제 국가가… 정부가 통제하는 계획경제 나라보다 훨씬 잘 살죠

    석유 한 방울이 나지 않는 싱가포르와 석유 확인매장량 1위 베네수엘라. 같은 언어, 같은 문화, 같은 역사를 가진 한국과 북한. 대항해 시대에 세계를 호령했던 스페인과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독립한 신생국 미국. 싱가포르와 한국, 미국은 왜 베네수엘라, 북한, 스페인보다 잘살까? 세계적인 석학들은 무엇이 부자 나라와 가난한 나라를 만드는지 연구했다. 어떤 이는 지리적 장점이, 어떤 이는 종교적 근면성, 어떤 이는 국민성 차이가 부자 나라와 가난...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다음 지문을 읽고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경제용어를 고르면? ① 자산효과 ② 구축효과 ③ 피셔효과 ④ 정부실 ⑤ 유동성 함정 해설 지문은 유동성 함정에 대한 설명이다.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써도 소비와 투자 등 실물 부문에서 변동이 없다면 국민소득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케인스가 1920년대 대공황 때 통화량을 늘렸지만 경기가 살아나지 않자 제기한 학설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은 투자를 늘리지만 이자율이 일정 수준 이...

  • 진로 길잡이 기타

    신용카드 발급나이는 만 19세 이상이지만… 소득있는 경우엔 만 18세 이상도 받을 수 있죠

    신용카드 개인회원 모집, 기업회원 모집, 제휴 업무 등 모집 방법과 유형에 대해 지난 3주간 공부했다. 이번 주에는 모집된 회원을 대상으로 카드를 발급할 때 적용하는 심사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신용카드는 카드사가 개인에게 신용을 공여하는 것이므로 심사기준을 꼼꼼하게 적용해야 한다. 개인회원 심사의 법적 기준 개인들에겐 ‘법적 자격기준’과 ‘결제능력 확인 기준’을 적용한다. 법적 자격기준부터 살펴보...

  • 생글기자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를 제대로 이해하자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는 얼핏 보면 비슷한 개념으로 착각하기 쉽다. 우선 자유민주주의의 ‘자유’를 ‘free’라고 해석하는 데에서 오해가 생긴다. 민주주의가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라면,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자유로운 인격 표현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결합된 형태다. 민주주의는 다수에 의한 주권 행사를 추구하지만, 자유주의는 개인의 권리를 최우선으...

  • 생글기자

    세계화로 더 중요해지는 국제무역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 ‘수출 최대’ 등의 소식을 듣곤 한다. 뭔가 물건이 외국으로 이동하면서 얻어진 외화로 흑자가 생겼다는 얘기인 것 같은데 이 상황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단어이자 개념인 ‘무역’, 특히 국제무역은 정확히 무엇일까? 우리나라가 북한에 비상식량과 쌀을 보내줬다고 가정해보자. 우리나라 물건이 북한으로 건너갔으니 거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북한은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