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7월부터 시행되는 주 52시간 근로제가 뭐길래…

    오는 7월부터 근로자가 300명 이상인 회사는 1주일에 52시간까지만 일할 수 있게 된다. 주당 근무시간 52시간을 넘기면 사업주가 처벌받는다. 주당 근로시간을 현재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이른바 ‘근로시간 단축법’이 시행되기 때문이다. 이런 단축 근로제는 2020년 1월부터는 50~299명 사업장, 2021년 7월부터는 5명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는 모든 회사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이제까지 주...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원론적 합의 수준인 '북한 비핵화'의 정치적 이용 경계해야

    [사설] '北비핵화' 걸음도 안 뗐는데 봇물 터진 경협 구상들 북한의 핵무기 폐기를 위한 대화는 이제 막 시작됐는데, 온갖 대북 경제협력 프로젝트가 봇물 터진 듯 쏟아지고 있다. 장밋빛 청사진에 비용 계산도 없는 게 대부분이다. 더불어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에 맞춰 내놓은 공약에는 23개의 대북사업이 들어 있다. 직접적인 경제 사업이 아닌 것도 있지만, 비용이 수반되는 것이 많다.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처럼 정부가...

  • 경제 기타

    '빅이슈'를 창간한 존 버드

    번화가의 지하철역 입구에서 빨간 조끼와 모자를 착용하고 ‘빅이슈’라는 잡지를 판매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 이들은 모두 빅이슈 판매원이자 노숙자다. 빅이슈는 잡지인 동시에 노숙자의 자활을 돕는 일종의 자립 도우미로, 수익 전액을 빅이슈 판매원으로 일하는 노숙자들을 위해 사용한다. 실제로 빅이슈 판매원의 기본 조건은 노숙자다. 판매원들이 노숙자 1991년 영국에서 처음 창간된 빅이슈는 10여 개국에서 14종이 발간됐다...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42) 공리주의(중): 밀의 질적 공리주의

    세 살에 그리스어를 배우고 다섯 살 때 그리스 고전을 독파하다. 여섯 살 때 기하학과 대수를 익히고, 일곱 살 때 플라톤 대화편을 원서로 읽다. 여덟 살 때 라틴어를 공부하고 라틴어로 고전을 읽고, 열 살 때 뉴턴의 저서를 공부하고 로마 정부의 기본이념에 관한 책을 쓰다. 열한 살에 물리학과 화학에 관한 논문들을 두루 읽고, 열두 살 때 아리스토텔레스, 열세 살 때 애덤 스미스를 공부하다. 이것은 영국의 공리주의자 존 스튜어트 밀의 어린 시절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동적 조치'는 북한 특유의 표현이죠

    북에서는 의외로 ' -적 '을 많이 쓴다. 우리 눈으로 보면 어색한 게 꽤 있다. 가령 ' (이웃과) 친선적으로 지내다 ' 같은 표현이 그런 것이다. 우리는 그냥 ' 친하게(사이좋게) 지내다 '라고 한다 . 해방 이후 남북한에서 지속적으로 우리말 순화운동을 해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등 상당한 성과도 올렸다. 북에서는 남에서보다 더 강도 높게 순화작업...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시험에 도움되는 경제용어 알아두세요

    국가공인 제1호 경제이해력검증시험인 테샛(TESAT)을 공부하는 고교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시사경제다. 시사 영역은 범위가 넓고 최근 시사경제 이슈를 꾸준히 이해하고 습득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다. 48회 테샛을 대비해 시사용어로 최근 이슈나 경제학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경제용어를 알아보자. ‘T-커머스’란 TV와 커머스(commerce)가 결합된 단어로 텔레비전을 통한 상거래를 말한다. 텔레비전을 시청하다...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아래 지문에서 밑줄 친 것과 같은 뜻을 가진 경제용어는? ① 사이드카 ② 오버 슈팅 ③ 골든크로스 ④ 세이프가드 ⑤ 반덤핑 처벌법 해설 긴급수입제한 조치는 세이프가드를 의미한다. 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증해 수입국의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또는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때, 해당 품목의 수입을 임시적으로 제한하거나 관세 인상을 통해 수입품에 대해 긴급수입제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제도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보호무역정책의 일...

  • 생글기자

    논리력을 키워주고 대입 정보도 다양한 '생글생글'

    한국경제신문은 들어봤는데, 생글생글이라는 것도 있네? 생글생글, 그게 뭘까? 이제부터 자세히 알아보자. 생글생글의 사전적 정의는 눈과 입을 살며시 움직이며 소리 없이 정답게 자꾸 웃는 모양을 뜻하는 단어다. 생글생글 웃는 모습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생각하기와 글쓰기에서 ‘생’과 ‘글’을 가져와 생글생글이라 칭해 부르기도 쉽고 외우기도 쉽게 한 것이 이 신문의 이름이 ‘생글생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