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생글기자
인생은 모험의 연속…'울타리' 밖으로 나와야
영화 <트루먼 쇼>의 주인공 트루먼은 어린 시절엔 탐구심이 강하여 여행가가 꿈이었고 섬을 벗어나고 싶은 욕구가 있었지만, 제작진과 배우들은 그에게 더 이상 탐험할 지역이 없다고 가르치고, 비행기 사고에 대한 공포를 심고, 자기가 사는 곳이 최고의 관광지로 선정되었다는 기사를 보여주고, 심지어 아버지(물론 배우)가 폭풍우로 목숨을 잃는 사건을 연출해 그에게 물 공포증을 심어주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 욕구를 억제했다. 이 모든 것...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입장'을 자주 쓰면 글이 모호해져요
일자리 창출이 우리 경제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고용참사’란 표현까지 나올 정도다. 이와 관련한 언론보도문 가운데 다음 같은 유형의 문장이 꽤 있다. “청와대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큰 틀의 변화는 없지만 상황에 따라 정책수단을 수정할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목해야 할 곳은 서술어로 쓰인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이다. 의미 모호하고 우리말 구조 망가...
-
학습 길잡이 기타
빚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I Owe You You believe that I’ve changed your life forever And you’re never gonna find another Somebody like me And you wish you had more than just a lifetime To give back all I’ve given you And that’s what you believe b...
-
진학 길잡이 기타
면접 모습을 머릿 속에 그려보면 실전에 도움이 되죠
상상력은 창의성의 시작이자 끝이다. 하지만 일부 학생만 상상력을 이용하여 학습에 이용하거나, 면접 준비에 활용한다. 이번 호는 ‘실전 면접을 앞두고 긴장을 심하게 하는 학생들’의 질문들에 대한 답변이다. 꼭 권하고 싶은 방법을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의 7가지 습관>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스티븐 코비의 창조적 삶의 원칙 스티븐 코빈은 창조적 삶에 대한 실천 방법으로 3가지 요소인 ‘삶의 중심&...
-
진학 길잡이 기타
개별 제시문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죠
■ 제시문 분석 답안 작성의 핵심이 제시문의 논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인 만큼 개별 제시문을 정확하게 읽어내고 각각이 어떤 논리적 연관성을 보이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연세대 논술은 제시문의 비교·분석 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하므로 각 제시문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특히 주목해야 합니다. 문제 1 근대와 근대 이전에 나타난 ‘신용’과 ‘신뢰’의 관계를 보여주는 ...
-
PHIGS
문제 지난 유럽 재정위기 때는 ‘PIGS’가 문제였다면, 이번엔 ‘PHIGS’가 유럽연합(EU)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PHIGS가 위기의 뇌관으로 떠오른 이유는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극우정당의 등장, 반(反)EU·포퓰리즘 정권이 나타나며 정치적 대립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PHIGS에 해당하지 않는 국가는? ① 그리스 ② 헝가리 ③ 폴란드 ④ 스페인 ...
-
테샛 공부합시다
이세찬 하나고 학생, 네 번 도전 끝에 고교 1등…김진석 안양외고 학생, 2등 최우수상 차지
이세찬 학생(하나고 2년)이 제50회 테샛 고교 개인 부문에서 1등(대상)을 차지했다.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평가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홈페이지에 발표했다. 개인별 수상자 상장은 개인이 직접 출력할 수 있다. 고교 수석인 이군은 2월 시험인 46회, 47회, 49회 테샛에 꾸준히 응시해 우수상과 우수장려상 등을 받으면서 꾸준히 경제 공부를 해왔다. 이군은 이를 바탕으로 50회 테샛에서 300점 만점에 283점(S급)을...
-
생글기자
법의 소중함을 깨우쳐 준 '오픈 코트' 행사
지난달 12일 우리 학교 2학년 학생 20명은 대한민국 사법부 70주년과 9월13일 법원의 날을 맞아 진행된 법원 체험 프로그램인 ‘오픈 코트’에 참여했다. 법원의 날은 우리나라 사법부가 미군정으로부터 사법권을 이양받고, 1948년 가인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이 취임한 날을 기념하고자 2015년에 지정된 날이다. 서울동부지방법원을 방문한 우리는 법원 직원의 안내에 따라 법원을 둘러보고 형사 재판을 방청한 후 모의재판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