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48) 마르크스(중): 소외론
철학자의 역할은 “세계 변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극렬하게 반대하며 변혁시키려 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자본주의 체제가 인간을 소외시킨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소외’는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로 관통하는 개념이다. 마르크스는 소외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소외의 원인으로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이것에 근거해 성립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며, 이것을 정당화하는 당시 자본주의 경제...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인구증대·기업유치로 지역 활성화시키는 게 지자체의 책무죠"
[사설] 새 출범하는 전국 지자체, '지역 경쟁' 개척자 돼 보라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 당선자들이 내일부터 4년 임기를 시작한다. 광역과 기초 단체장, 지방의회 의원, 교육감 등 총 4016명의 지역 엘리트들은 어깨가 무거울 것이다. 하지만 자치 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하는 시대적 책무는 잊은 채, 구태의연한 ‘지방 권력’ 놀음이나 되풀이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도 여당의 일방적...
-
커버스토리
고 1, 2학년의 여름방학 계획
대한민국 고등학생에게 여름방학은 휴식기가 아니다. 학교를 다닐 때보다 어쩌면 더 바쁘다. 학원가에서는 벌써부터 여름방학 특강에 대한 홍보가 한창이고 언젠가부터 방학동안 기숙학원에 들어가 공부에만 집중하는 학생도 많다. 그러나 성적 향상 못지않게 중요한 게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름방학이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는 시기임은 분명하지만 내신과 수능에만 매몰된 학습은 변화된 입시 상황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고 1학년은 주요 과목 기본기 탄탄...
-
경제 기타
"아프리카 나라들이 여전히 가난한 이유는 시장경제를 제국주의로 잘못 이해한 탓이죠"
아프리카 대륙은 지구 육지의 20%를 차지하며 세계 인구의 15%가량이 살고 있다. 또한 석유와 금, 다이아몬드, 티타늄 등 엄청난 천연자원의 보고다. 부족할 것 없는 아프리카이지만 실상은 참담하기 그지없다.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 나라가 가난하다. 국민 대다수가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며 굶주리고 있다. 대체 무엇이 아프리카를 이토록 처절하게 만들었을까? 왜 아프리카는 극빈지역으로 전락하고 말았을까? 침탈당한 식민 아프리카 이유는 50여 년 ...
-
학습 길잡이 기타
길(way)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길'은 영어로 way 라고 합니다. 하지만 '방법'이라는 뜻도 있고, 심지어 부사로 '훨씬'이라는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way above 는 '훨씬 위에'라는 뜻이고, way below 란 표현은 '훨씬 아래'라는 뜻이랍니다. My Way And now the end is near and so I face the final curtain 이제 끝이 다가...
-
과학 기타
산화환원 반응 (2)
최초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 기체가 없었다. 그러나 해양 식물들의 출현과 광합성으로 대기조성이 바뀌어 산소 기체가 많아지게 되었고 일부는 성층권의 오존층에서 태양에서 나오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면서 해양 생물들이 육지로 올라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오랜 시간 진화를 거치면서 현재 지구의 생명체들은 산소 기체가 없는 환경을 상상할 수 없게 되었다. 지구를 바꾼 화학반응 통합과학 교과서에서는 ‘광합성’과 &...
-
경제 기타
미국 탈퇴·후발 개도국들은 기준완화 요구… 진통 여전
정부가 지난달 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을 공개했다. 해외에서 탄소배출권을 구입해 맞추려던 감축 목표를 대부분 국내에서 해결하기로 한 게 골자다. 국내 기업이 떠안아야 할 온실가스 감축량이 종전 대비 두 배 가까이로 늘었다. 정부가 이 같은 감축 로드맵을 정한 것은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줄이기로 해서다. 이를 계기로 파리협정에 대한...
-
커버스토리
글로벌 이슈 난민 문제, 한국에 길을 묻다
한국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으려는 외국인이 급증세다. 난민은 인종·종교·국적·신분 또는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박해받을 가능성이 있어 살던 나라로 돌아갈 수 없는 사람이다. 법무부에 따르면 2010년 423건이던 한국으로의 난민 신청 건수는 2014년 2896건, 2015년 5711건, 2016년 7541건, 2017년에는 9942건으로 늘었다. 올해는 6월11일까지 8236건이 접수됐다. 법무부는 올해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