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커버스토리
"현재 우리나라는 위기 상황…해법은 혁신성장에 있다"
대한민국 경제는 어디로 가고 있나. 수십 년간 국가 경제정책을 집행하거나 기업을 이끌어온 ‘경제 원로’들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연쇄 인터뷰에서 “요즘 한국 상황은 위기”라고 입을 모았다. 일부는 이미 장기 침체기로 접어들었다고 판단했다. 이를 타개할 대책은 정부의 3대 정책 기조인 소득주도성장, 공정경제, 혁신성장 중 혁신성장에 있다고 했다. 적극적인 규제 혁파로 국가 혁신성장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고언이다...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경제에 대한 국내외 석학들의 조언
“임금을 올리고 싶다면 생산성과 기술을 높여야 합니다. 생산성은 투자를 끌어내는 거시경제 정책을 통해서, 기술은 직업훈련과 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글렌 허바드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장은 최근 한국경제신문 뉴욕 특파원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의 호황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기업인들에게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고, 법인세 감면을 통해 투자를 북돋았기 때문”이라며 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외래어 남발은 글의 의미 전달을 방해하죠
지난여름 어린이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통학차량에서 미처 내리지 못한 어린이가 폭염 속에 갇혀 사망하는 일까지 생겼다. 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여론이 들끓었다. 서울 성동구에서 안전장치를 한발 앞서 도입했다. 이름이 ‘슬리핑차일드체크 시스템’이었다. 표현은 어색하고 뜻도 잘 드러나지 않아 “서울 성동구청 관계자가 2일 성수동 경일고등학교에서 어린이집 차량 30여 대에 ‘슬리핑차일드체크 시스템&r...
-
진학 길잡이 기타
그룹면접에선 창조적 협력 능력을 보여 줘야 해요
인간은 동물보다 더 빨리, 더 멀리 달릴 수 없고 하늘을 날지도 못한다. 하지만 동물과 달리 인공지능 등 과학문명을 이뤘다. 이는 시너지를 내기 위해 함께 일하고, 기록하고, 전승하는 인간의 창조적 협력 능력 때문이다. 특히 소프트웨어 학과에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면접에서 다양한 협력 상황, 협력 경험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 이번 호는 많은 학생이 막막해하는 협력 질문에 대한 대응 전략을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의 7가지 습관》과 관련지...
-
테샛 공부합시다
완전경쟁시장
문제 다음 중 완전경쟁시장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생산자에 의해 제품의 가격이 결정된다. ②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다. ③ 시장 내에 소수의 생산자 및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한다. ④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 ⑤ 진입 장벽이 있어 생산자들이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지 못한다. 해설 완전경쟁시장은 모든 기업이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한다. 재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판매조건, 기타 서비스...
-
깊은 가을에 물든 산…청춘의 꿈도 각자 색으로 피어나기를
돌고 도는 자연의 섭리는 어긋남이 없다. 타는 듯한 뙤약볕에 끝이 아득하던 여름은 어느새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산천이 형형색색 가을빛으로 물들어간다. 엄동설한 추위 견디고 봄 햇살에 빼꼼히 고개 내민 새싹은 무럭무럭 꿈을 키워 산을 푸르게 덮었다. 그 푸름이 하루하루 저리 붉게 저리 노랗게 익어간다. 단풍은 땅으로 내려앉아 대지를 덮고, 이듬해 태어날 새싹에 온기가 돼준다. 자연은 그렇게 돌고 돌며 온전한 모습을 갖춰간다. 붉게 물든 가을 정취...
-
경제 기타
택시업계 "생존권 위협" 주장에…카카오측은 "소비자에 꼭 필요" 반박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국내 택시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택시 수요가 줄어 생존권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카풀 서비스를 찬성하는 여론이 더 우세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택시를 제때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중에서도 카풀을 혁신성장동력의 하나로 보고 도입해야 한다는 쪽이 많다. 택시업계, “생존권 위협” 반발 전국 택시업계 종사자 6만여 명(주최 측 추산)은 지난 1...
-
생글기자
넘쳐나는 외국어 간판…우리 한글은 어디에
평소 자주 다니는 길거리를 떠올려보자. 순우리말을 사용한 간판이 몇 개나 떠오르는가. 우리나라의 길거리에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간판은 넘쳐난다. 하지만 그것들은 우리말이 아닌 외국어인 경우가 대다수다. 최근 572돌을 맞았지만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독창성과 우수성, 과학적인 창제 원리를 가진 한글은 정작 우리나라에서 홀대받는 상황이다. 올해 초 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 태국의 길거리를 돌아보는데 그 나라의 거리에 있는 상점들의 간판이 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