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맹모삼천(孟母三遷)
▶ 한자풀이 孟: 맏 맹 母: 어미 모 三: 석 삼 遷: 옮길 천 맹자는 유가의 중심 인물이다. 그는 유학에서 성인 공자 다음가는 아성(亞聖)으로 학문이 깊고, 뜻이 크고 강했다. 그가 주창한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자신의 기상이기도 하다. 맹자는 어렸을 적에 홀어머니 손에 자랐다. 처음엔 묘지 근처에 살았는데 어린 맹자는 상여 메고 곡하는 흉내를 내고 놀았다. 맹자 어머니는 자식 기를 곳이 못 된다 여겨 시장 근처로 이사했다. 한데 ...
-
진학 길잡이 기타
경제·경영계열은 사회적 현상이나 시사 문제가 자주 나와요
서강대 인문 논술은 인문사회계열과 경제경영계열로 구분해 출제합니다. 2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의 주제가 다르므로 답안 작성 시 시간 배분이 용이합니다. 학교 측 자료에 의하면 1번은 40분, 2번은 60분 동안 작성하면 된다고 합니다. 두 문항 모두 800~1000자로 작성해야 하나 2번 문항이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이유는 난이도 때문이라기보다 제시문의 수가 더 많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번 기출해설에서는 지면 관계상 경제경영계열 문항 1만...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494>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숫자로 읽는 세상
"'선전의 기적' 일궜다"…기업인 기리는 중국, '인재공원'에 55인 나무기둥 세워 업적 소개
중국 경제성장의 상징인 선전시. 올해 개혁·개방 40년을 맞아 홍콩의 경제 규모를 추월해 주목받았다. 연초 선전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2조2438억위안(약 380조원)으로 홍콩(2조6626억홍콩달러·약 364조원)을 앞질렀다. 선전시는 그 같은 ‘드라마’의 주인공들을 잊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지역경제 발전에 공헌한 인물 56명을 기리는 ‘인재공원’(총면적 77만㎡)을 ...
-
경제 기타
한경 캠프가 경제·경영학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제29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11월3일(토)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최영홀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이 마련한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는 상경계 대학 진학을 꿈꾸는 고교생에게 경제학과 경영학이 무엇인지, 기업가는 누구인지,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가 무엇인지, 경제·경영학과 중 어느 학과가 자기 적성과 잘 맞는지를 배우고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유명 대학교수의 강의를 고교 시절에 미리 듣는 ...
-
경제 기타
생글생글, 가족이 함께 읽어보세요…논리력 키워주고 알찬 대입 정보도 가득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은 중·고교생들에게 논리력을 키워주고 경제원리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알찬 선생님’입니다. 생글생글에 게재되는 다양한 주제의 커버스토리, 문학과 철학, 국제뉴스, 상세한 대입 가이드 등은 사고와 논리를 키워줄 뿐더러 대입에도 매우 유용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글생글은 부모님이 읽으셔도 유익한 내용이 많습니다. 생글생글은 전국 1300여개 고등학교와 15...
-
커버스토리
"경제를 성장시키고 임금을 올리는 방법은 생산성 향상과 기술 발전, 그 두 가지뿐이죠"
글렌 허버드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장은 미 경기 호황의 직접적인 배경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서 찾았다. 기업인들에게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었고 법인세 감세를 통해 투자를 북돋았다고 강조했다.뉴욕 맨해튼의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장실에서 만난 허버드 교수는 그러면서 “경제가 성장하는 방법은 생산성 향상과 기술 발전 두 가지뿐”이라고 단언했다. 소득주도성장론을 묻자 “성장은 그런 식으로 이뤄...
-
경제 기타
스스로 진화하는 자본주의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아테네는 정치적으로는 직접 민주주의를, 사회적으로는 경제적 풍요를, 문화적으로는 뛰어난 학문과 예술의 성취를 이루어내며 최고의 도시국가이자 그리스 문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이와 같은 아테네의 번영에는 아테네 특유의 광장 문화가 있었으며 바로 그 중심에 아고라가 있었다. 그리스 민주주의와 아고라 아고라는 본디 아테네의 중앙시장으로 그 어원은 ‘시장에 나오다’, ‘사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