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22일<611>
1. 요즘처럼 국제 유가가 상승할 때,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경영실적에 악재가 되는 업종과 거리가 가장 먼 곳은? ① 정유업체 ② 해운업체 ③ 석유화학업체 ④ 항공업체 2. 최근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실종사건의 주범이라는 의혹을 받는 나라로,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개혁정책으로도 주목받았던 곳은? ① 터키 ② 사우디아라비아 ③ 예멘 ④ 시리아 3. 산업계에서 자국의 취향에 맞춰 기술을 발전시키다 세계시장에서 고립되는 ...
-
올해 노벨상 수상자 선정…기초과학 한국 수상자는 언제 나올까
노벨상은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의 유언에 따라 인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상이다. 물리 화학 생리의학 문학 경제 평화 등 6개 부문에서 수상이 이뤄진다. 올해도 미국은 물리 화학 생리의학 경제에서 고루 수상자를 배출했다. 일본은 혼조 다스쿠 교토대 교수가 새로운 암치료제 개발에 공헌한 공로로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24번째 수상자를 냈다. 정치적 성향이 짙은 평화상을 빼고는...
-
커버스토리
정치·경제·사회·문화 지형 바꾸는 밀레니얼 세대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는 3년 전만 해도 ‘저무는 브랜드’였다. ‘중년 여성 브랜드’란 이미지 탓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연속 매출이 20%씩 쪼그라들었다. 구찌는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 태어난 세대)에서 해법을 찾았다. 젊은 취향에 맞게 디자인을 바꿨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스타’를 광고모델로 썼다. 3년여가 지난 지금, 구찌는 매출 성장률(올...
-
경제 기타
한경 캠프가 경제·경영학 세계로 초대합니다~
제29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11월3일(토)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최영홀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이 마련한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는 상경계 대학 진학을 꿈꾸는 고교생에게 경제학과 경영학이 무엇인지, 기업가는 누구인지,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가 무엇인지, 경제·경영학과 중 어느 학과가 자기 적성과 잘 맞는지를 배우고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유명 대학교수의 강의를 고교 시절에 미리 듣는 ...
-
커버스토리
밀레니얼 세대는 경제성장·디지털 특혜 누린 新인류
1981~1996년 태어난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대체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자녀들이다. 이들은 경제 성장과 디지털 혁명의 혜택을 듬뿍 누리며 자랐다. 그래서 ‘단군 이래 가장 축복받은 세대’로 불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과 저성장·양극화의 그늘 속에 ‘N포 세대’(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란 전혀 다른 별칭을 ...
-
경제 기타
중국·러시아, 美·유럽 해킹 의혹…사이버 스파이전 충돌
서방과 러시아·중국 간 갈등이 사이버 세계로 번지고 있다. 올초 영국에서 발생한 이중 스파이 암살 시도 사건으로 미국·유럽과 갈등을 빚어온 러시아가 이번엔 해킹 의혹으로 충돌했다. 중국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도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美·EU, 러시아 해킹 적발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지난 4일 러시아의 사이버 해킹 활동을 일제히 비판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올 4월 화학...
-
경제 기타
"구체적인 진로 계획 세우는 계기 되었죠"
경영학과에 관심은 있지만 무엇을 배우는지 궁금하던 참에 마침,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8월 2~3일 연세대 송도 캠퍼스에서 개최한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에 참가하게 됐다. 쉽게 접하기 어려운 대학 교수님들의 강의가 경영·경제학과를 더 자세히 알고 느끼는 계기가 됐다. 세 분 교수님의 강의를 서너 시간 동안 들었다. 그 학과가 어떤 학문을 배우는지 알기에 짧지 않을까 걱정했으나 예상을 깨고 내가 원하던 학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알게 됐다....
-
숫자로 읽는 세상
고비용·저효율 탓에 한국 떠나는 한국 제조업체들
올 상반기 국내 제조업체가 해외 공장 설립 및 증설 등으로 해외에 투자한 금액이 역대 최대인 74억달러였다. 국내 설비투자액이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연속 마이너스(전월 대비)인 것과 대조적이다. 법인세 인상, 인건비 상승, 노동시장의 경직성, 각종 규제 등에 따른 고비용·저효율 경제구조가 국내 제조업을 해외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을 중심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도 국내 제조업이 해외로 나가는 요인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