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샛 공부합시다
33회 '한경 테샛' 평균 성적 190점
지난달 26일 시행된 ‘33회 한경 테샛’ 응시자의 평균 성적은 190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3점)으로 나타났다. 지난 32회 평균(202점)보다 낮지만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는 점수(180점)보다는 높다. 성적은 지난 1일 발표됐다.○…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30일 33회 테샛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190.4점으로 집계됐다. 영역별(각 100점 만점)로는 경제이론이 평균 66점, 시사경제·경영 60점, 상황판단(경제추론) 65점으로 전 영역에서 난이도 기준인 평균 60점을 넘어섰다.○…개인 성적에선 류도현 씨(고려대 경제 4)가 294점으로 전체 1등의 영예를 안았다. 의경으로 복무 중인 류씨는 “전공 공부가 테샛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며 “테샛 전문 교재와 기출문제집을 활용했다”고 말했다. 대학 부문에선 군 복무 중인 허성현 씨(성균관대 공학계열 2)가 2등을 차지했으며, 이윤지(성균관대 4) 박성근(서울대 3) 백승훈(경희대 4) 씨 순이었다.○…고등학생 수험생의 평균 점수는 195점으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고교 부문 1등은 동덕여고 2학년 최정윤 양으로 286점을 받았다. 이어 최재원(현대고 2) 정승윤(서문여고 3) 이현호(안양외고 3) 김준태(현대청운고 3) 최민서(용인외대부고 2) 허예은(인천국제고 3) 학생 순이었다.○…직장인과 취업준비생 부문에선 한지성 씨가 282점으로 1등을 차지했으며 W에셋자산관리에서 일하는 박종진 씨가 그 뒤를 이었다. 개인 수상자 명단과 시상식 날짜는 오는 7일 발표한다.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
-
테샛 공부합시다
회사가 잘 되고 있나…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활동성지표
우리는 지금까지 재무제표의 기본 원리를 공부했다. 5대 재무제표중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연결 포함)의 작성원리를 회계처리 중간 과정을 모두 생략한 채 대차균형의 원리로 간단히 알아 보았다. 5대 재무제표중 현금흐름표는 향후 추가로 설명할 계획이다. 지금부터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활용해 기업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아 보자. 주주 채권자 거래처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기업 경영자가 발표한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을 분석한다. 또 회사의 주가가 적정한지, 향후 오를 수 있는지에도 관심을 갖는다. 물론 재무제표가 제대로 작성되었다는 가정에서이다.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활동성비율재무분석은 재무제표상의 자산 부채 자본 순이익 등 비표간 비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중 가장 중요한 비율은 역시 수익성비율이다.수익성은 주주와 경영자 두 입장에서 측정할 수 있다. 주주입장에서 수익성은 자기자본 이익율(ROE)로 계산한다. 자기자본으로 얼마의 순이익을 올렸느냐가 주주의 관심사이다. 반면 경영자는 회사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관심사이다. 그래서 경영자 입장에서 수익성은 총자산이익률(ROA)로 계산한다. ROE ROA를 합쳐서 흔히 투자수익율(ROI)이라고도 한다. 수익성지표로는 이 밖에 매출액순이익율(순이익/매출액) 매출액영업이익율(영업이익/매출액)등이 있다자기자본이익율(ROE Return on equity)=순이익/자기자본총자산순이익율(ROA Return on Assets)=순이익/총자산표의 (주)사랑의 재무제표를 활용해 수익성을 분석해 보면 ROE는 2000만/2억이므로 10% ROA는 2000만/4억이므로 5%이다. ROE는 일반적으로 시장이자율보다 높아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경영학 연습문제
[문1] 위 본문에 제시된 (주)사랑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보고 (주) 사랑의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비율을 순서대로 구하면?(1) 50% 0.67배 (2) 50% 1.67배 (3) 100% 0.67배 (4) 100% 1.5배 (5) 100% 1.67배[문2] 다음중 재무비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1) 부채비율은 안정성 비율이다(2) 총자산회전율은 활동성 비율이다(3) 본문의 (주)사랑 총자산회전율은 200%이다(4) ROE는 주주 입장에서 본 투자수익율이다(5) 안정성 비율이 강조되는 것은 레버리지 효과때문이다.[문3] 다음은 OO회사의 감사보고서의 일부이다. 이 회사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은?『OO회사의 재무제표는 해외 지사의 재고자산 가격을 제외하고는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1) 적정의견 (2) 한정의견 (3) 부적정의견 (4) 제한의견 (5) 의견거절[정답과 해설]1. (5) 부채비율은 부채 2억원/자본 2억원=100%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 5000만/이자비용 3000만=1.67배 이자보상비율은 배로 표현한다.2. (3)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은 자산총계로 나눈비율이다. 즉(주)사랑의 총자산회전율은 매출4억/자산4억이므로 100%이다3. (2) 한정의견에 대한 감사보고서이다.
-
테샛 공부합시다
고교 경제올림피아드 1등 하나고 송기우 군 "경제학은 수학·논리와 통해 매력적"
“중학생 때 수요와 공급 곡선 그래프를 처음 봤는데 신기했어요. Y축에 가격 P, X축에 수량 Q가 있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가격이 결정된다는 설명에 흠뻑 빠졌습니다. 복잡한 인간활동을 그래프로 그려내는 것이 신기했죠. 사회과목 선생님께 자주 질문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국가공인 1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인 테샛(TESAT)에서 고교생으론 처음으로 300점 만점을 받은 송기우 군(하나고 2년·사진)은 경제학이라는 학문을 처음 접했을 때 느낀 점을 이렇게 표현했다. 송군은 자신과 경제과목의 관계를 서로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진 S극과 N극으로 비유했다. “제 기질과 딱 맞는다는 느낌이 왔어요. ‘케미’라고 해야 하나요.”2010년 테샛이 국가공인시험으로 승격된 뒤 대학생이 만점을 받은 사례는 있었지만, 고교생이 그것도 1학년 학생이 만점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제학에 대한 송군의 관심은 고교 1학년 때 피어났다. 서울 하나고에 입학한 송군은 경제학을 1학년 전체 공통 필수과목으로 가르치는 학교 커리큘럼을 보고 ‘경제학은 팔자?’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중학생 때 어렴풋이 생기기 시작한 경제학에 대한 관심이 지난해 섭씨 100도로 끓어올랐어요.” 하나고 학생들은 경제학을 익혀야 합리적 사고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학교 방침에 따라 1학년 모두 1주일에 2시간씩 경제 수업을 듣는다.송군은 방과후 수업을 많이 활용했다. 1주일에 3시간을 방과후 보충수업에 할애했다. “진짜 재미있어서 피곤한 줄 몰랐어요. 사회 현상을 그래프와 여러 이론으로 설명하는 하준호 선생님의 강의에 푹 빠졌습니다.” 송군은 &l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경영학 연습문제
[문1] 연결제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 회사는?(1) 대기업 (2) 수출회사 (3) 장회사 (4) 지주회사 (5) 수입회사[문2]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가.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선진국들이 사용하고 있다.나. 투자유가증권을 취득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할 수 있다.다. 엄격한 기준으로, 지키지 않으면 처벌을 받는다.(1) 가 (2) 나 (3) 다 (4) 가 나 (5) 나 다[문3] 연결재무상태표에서 비지배지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1) 지배회사의 순자산 중 외부 주주지분이다(2) 종속회사의 순자산 중 외부 주주지분이다.(3) 지배회사가 보유한 주식의 평가이익 등 미실현이익이다(4) 종속회사의 당기순이익 중 외부 주주지분이다.(5) 지배회사와 종속회사의 순자산 중 외부 주주지분이다.[정답과 해설]1. (3) 우리나라의 모든 상장회사들은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을 따르고 있다. 국제회계기준은 연결제무제표를 기본으로 한다.2. (2) 미국은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지 않고 있다. 국제회계기준은 회계 처리의 큰 원칙을 제시하는 원칙주의다.3. (2) 비지배지분은 종속회사의 순자산(자산-부채) 중 외부 주주 지분이다.
-
테샛 공부합시다
NDB와 AIIB 등
33회 테샛이 지난 26일 치러졌다. 전국에서 많은 고등학생이 테샛에 도전해 경제지력을 겨뤘다. 이번 테샛에도 수요와 공급, 탄력성, 소비자이론과 생산자이론, 정보의 비대칭, GDP(국내총생산), 물가와 실업, 경제정책의 효과, 자본시장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나왔다. 다음은 33회 테샛에 출제된 주요 경제용어다.▶ NDB와 AIIB=중국 주도로 창설된 국제 금융기구. NDB(New Development Bank, 뉴개발은행)는 브릭스 국가들이 미국 주도의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항해 만든 것으로 개도국의 인프라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필요한 자금 지원 역할을 한다. AIIB(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는 아시아 개도국들이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할 수 있도록 자금 등을 지원한다.△산별노조와 기업별 노조=산별노조는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노동자를 하나의 노동조합으로 조직한 것이다. 이에 비해 기업별 노조는 기업 단위로 결성한 노동조합이다. 지난 2월 대법원이 근로자의 노조 설립과 조직 형태 선택의 자유를 인정, 산별노조에서 기업별 노조로의 전환이 합법적이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달러인덱스=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네, 스위스 프랑 등 신뢰가 높은 6개국 통화를 기준으로 산정한 미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 미국 중앙은행(Fed)이 산출해 발표하며 1973년 3월이 100이다. 달러인덱스가 상승하면 미 달러 가치가 오른다는 뜻이다.▶ CRB지수=국제 원자재 및 선물 조사회사인 CRB(Commodity Reserch Bureau)가 발표하는 국제 원자재가격 지수. 곡물, 원유(WTI), 천연가스, 산업용 원자재, 귀금속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대상이다. CRB 지수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을 예고한다고 해서 ‘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다음 중 총수요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를 모두 고르면?가. 사치품 소비세 인상나. 자연재해로 인한 흉작다. 해외로부터의 관광객 증가 라. 자동차를 생산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1) 가, 나 (2) 가, 다 (3) 나, 다 (4) 나, 라 (5) 다, 라해설 한 나라의 총수요는 소비지출(C)과 투자지출(I), 정부지출(G), 그리고 순수출(수출-수입)의 합으로 정의한다. 민간의 가계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의 지출 규모, 수출입의 증감은 한 나라의 총수요를 결정짓는 요인이다. 사치품에 대한 소비세를 인상하면 국내 사치품 수요 감소로 인해 총수요가 줄어든다. 해외로부터 관광객이 늘어나면 수출 증가로 인해 총수요가 확대된다. 총공급은 물가가 변하거나 생산비 변동 요인이 있을 때 변화한다. 생산비의 변화 요인은 경제의 자본부문(기계나 인적자원) 변동이나 자연자원, 기술지식의 변동이 있을 때다. 자연재해로 인한 흉작은 총공급을 줄이고, 자동차를 생산하는 신기술의 개발은 총공급을 늘린다.정답 (2).
-
테샛 공부합시다
연결재무제표가 뭐지?
매년 3월이면 상장회사들이 직전연도 사업실적을 발표한다. 올해도 삼성 현대 등 많은 기업이 2015년도 재무제표를 신문에 공고하고 증권감독원에 신고했다. 그런데 신문에 공고된 재무제표를 보면 지금까지 본 코너에서 배운 것과는 사뭇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연결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기타포괄손익…. 무슨 의미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지금까지 배운 것은 일반회계기준이고 연결 포괄… 등은 국제회계기준이다. 국제회계기준은 국내 모든 상장회사들이 2011년부터 따르고 있다. 오늘은 국제회계기준(K-IFRS)에 대해 공부해 보자■ 국제회계기준(K-IFRS)국제 사회에서 통용되는 회계기준은 유럽 국가들이 중심이 돼 만든 국제회계기준(IFRS)과 미국 회계기준 두 가지가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은 기존의 일반회계기준(GAAP)과 크게 세 가지 점에서 다르다.첫째 개별재무제표가 아니라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한다. 즉 모든 상장회사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둘째 주식과 같은 금융 자산이나 부채를 취득원가가 아닌 공정가치(시장가치)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평가이익이나 평가손실은 손익이 실현되지 않아 당기순이익이 아닌 기타포괄손익에 표시한다. 그래서 국제회계기준에서 손익계산서를 포괄손익계산서라고 부른다.셋째 기존의 회계기준은 법과 같이 엄격한 반면 국제회계기준은 회계 담당자가 회사의 경제적 실질을 감안해 회계 처리 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기준이라고 하지만 지켜야 할 원칙이다.■연결재무제표 작성원리연결재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