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부채비율

    [문제] 부채비율을 [(부채총액÷자본총액)×100]으로 계산할 경우 자산총액이 600억원이고 부채총액이 200억원이라면 부채비율은 얼마인가? ① 30% ② 33.3% ③ 40% ④ 50% ⑤ 200% [해설] 부채비율은 기업이 갖고 있는 재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기업의 재무구조, 특히 타인자본 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다. 부채총액을 자본총액으로 나눈 뒤 100을 ...

  • 테샛 공부합시다

    세원고 이승현 학생 고교 1위, 단국대 강지선 씨 대학 1위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제65회 테샛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는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고교 챔피언은 세원고 3학년 이승현 학생 이번 65회 테샛 고교 부문에서는 세원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이승현 학생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은 서세민 학생이 수상했다. 2등급을 받은 학생에게 주어지는 장려상은 이수찬 학생 외 5명에게 돌아갔다. 대학생 부...

  • 생글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 막아야

    2022년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방안 정책화, 알고 계셨나요? 그린피스가 유튜브에서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반대 탄원서 서명 캠페인을 벌이는 광고를 보고 동참하게 되었다. 사실 후쿠시마 방사능 누출 사태에 대한 뉴스를 몇 번 봤고, 교과서로도 접한 적 있지만 금세 관심을 거두었다. 사태의 심각성이 현실적으로 와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본 정부는 2022년부터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방안을 올가을 직후 정책화한다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정치인 출신의 홍길동'이 어색한 까닭

    《혈의 누》는 1906년 나온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이다. 이인직이 ‘만세보’ 주필로 있으면서 연재한 소설인데, 원래 제목은 ‘혈의루’였다. 당시만 해도 한글 맞춤법은 개념도 없었고 띄어쓰기도 잘 몰랐다. 말의 구조는 더 이상하다. ‘혈(血)의 루(淚)’라고? ‘피의 눈물’이란 뜻인데 우리말은 이런 식으로 하지 않는다. 한자어로 한다면 ‘혈루&rsq...

  • 커버스토리

    핀테크·테크핀의 시대 은행의 변신은 어디까지

    “엄마, 어디 가세요?” “은행에 돈 찾으러 간다.” “예? 휴대폰 결제하면 되죠. 다 돼요.” “^^;;” 은행을 보는 시각과 개념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돈을 찾으러 은행에 간다는 부모님의 말을 즉각 이해하지 못합니다. 책도, 피자도, 모자도 모바일 결제로 사는 시대에 돈을 찾아서 지불한다는 개념이 옅어진 것이죠. 최근 은행 창구에 직접...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치밀한 준비로 수나라와 16년 전쟁 승리한 고구려…동아시아 종주권 확고히 하며 위상 한껏 드높여

    서기 598년, 고구려가 요서지방을 공격하면서 수나라와 ‘고·수(高·隋)전쟁’의 신호탄이 올랐다. 이후 ‘고·당(高·唐)전쟁’을 거쳐 신라가 참여한 이른바 ‘삼국통일전쟁’까지 지속됐다. 전쟁의 목적과 진행 과정, 결과 등을 보면 몇 단계로 구성된 ‘70년 전쟁’이었다. 한륙도(한반도와 만주 포함)·...

  • 시네마노믹스

    내 집 장만의 꿈이 신기루라면 텐트살이는 판타지일까…한계효용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미소의 선택

    2018년 개봉한 ‘소공녀’는 고전 소설 《소공녀(A little Princess)》와 달리 젊은 가사도우미 미소(이솜 분)의 고달픈 삶을 그린 영화다. 몇 푼 안 되는 일당에도 담배 한 갑과 몰트바에서의 위스키 한 잔을 즐기던 미소는 갑작스레 월세와 담뱃값이 오르자 최소한의 짐만 싸서 나와 친구들의 집을 전전하며 산다. ‘에쎄’를 500원 더 싼 ‘디스’로 바꾸면서도 담배 또한 ...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미래 노동시장, 기계가 인간을 대체할까

    영어권 사람들은 딱딱한 경제 용어를 색깔을 넣은 비유적 표현으로 바꿔 쓰는 경우가 흔하다. 이를테면 해고 통지서를 뜻하는 핑크슬립, 행정 편의주의를 비유한 레드테이프, 간단히 점심을 먹으며 하는 브라운백미팅 같은 것이 그런 예다. 이런 언어 습관은 노동 형태를 구분할 때도 널리 이용된다. 흰 셔츠를 입는 사무직을 화이트칼라, 푸른 계통의 작업복을 입는 생산직을 블루칼라로 구분하는 것은 기본이다. 하지만 오늘날 기업에서는 이런 이분법에 속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