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대학 생글이 통신
수시 원서 접수 때 경쟁률에 현혹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해 연세대 경영학과 21학번으로 입학한 생글기자 14기 주호연입니다. 어느덧 7월에 접어들었습니다. 1학기가 마무리돼가는 지금 여러분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저는 수시를 함께 준비했기에 1학기까지 내신 공부를 병행하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오늘은 수시전형을 준비하는 ‘수시러’들이 원서 접수, 가채점,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경쟁률 낮다고 유리...
-
커버스토리
《김대식의 인간vs기계》,《AI 슈퍼파워》로 미래 예측
◆ 최현서(생글기자 14기, 원광대 한의예과 21학번) 첫 번째로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책을 추천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자율동아리 시간에 ‘인지자동화 이후 변화되고 있는 산업의 모습’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 김대식의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를 읽으며 자료조사를 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두면 모든 분야에 접목해 지식을 구체화하기 좋습니다. 두 번째로 본인의 가치관을 키울 수 있는 책을...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넌 개념에서 뭘 생각하니? 난 그 속성과 사례를 생각해
야구공을 던지면 땅 위의 공 그림자도 따라 움직인다. 공이 움직여서 그림자가 움직인 것이지 그림자 자체가 움직여서 그림자의 위치가 변한 것은 아니다. 과정 이론은 이 차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과정은 대상의 시공간적 궤적이다. 날아가는 야구공은 물론이고 땅에 멈추어 있는 공도 시간은 흘러가고 있기에 시공간적 궤적을 그리고 있다. 공이 멈추어 있는 상태도 과정인 것이다. 그런데 모든 과정이 인과적 과정은 아니다. 어떤 과정은 다른 과정과 한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착실한 준비로 백제와 고구려 무릎 꿇린 신라, 2단계로 당나라와 전쟁 이겨 삼국통일 이뤘다
국가적 위기는 대부분 대혼란과 체제 붕괴로 이어진다. 고비를 넘겨 극복하는 건 극히 일부일 뿐이다. 평가가 엇갈리지만 신라의 삼국통일이 그렇다. 신라는 6세기 초까지 약소국이었는데 약 150년 후인 668년 삼국을 통일했다. 거기까지는 1단계로 볼 수 있다. 백제와 고구려를 무릎 꿇리는 수준이었다. ‘일통삼한(一統三韓)’의 진정한 실현은 2단계인, 8년에 걸친 나당(羅唐)전쟁에서 승리하고 내부 안정을 완성했을 때다. 왕권...
-
생글기자
콘텐츠 속 '문화적 전유'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문화적 전유’란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른 문화집단의 전통문화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어떤 집단의 전통문화가 타 집단에 의해 패션이나 놀잇감으로 소비되는 것에 반감을 표하는 주장으로서 제시되는 개념이다. 주로 백인이 흑인, 히스패닉, 아시아권의 문화나 아이템을 흉내내 콘텐츠 형태로 생산하는 것, 이들 문화에 대한 존중이나 이해도가 배제된 ‘문화적 도용’일 뿐이라는 비판에서 시작됐다. ...
-
생글기자
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업무협약
황인국 한국청소년재단 이사장과 홍경구 홍제역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총괄기획자, 이재현 홍은청소년문화의집 대표청소년은 최근 서울 홍은청소년문화의집에서 업무협약식을 맺고 서대문구 청소년이 도시의 본질적인 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펼쳐 나가기로 했다. 한국청소년재단은 청소년이 세계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소외 청소년에게 공평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청소년 입장에서 공감하고 나눌 수 있는 사람으로 구성됐다....
-
테샛 공부합시다
기저효과
[문제] OO기업은 올해 매출이 작년보다 60% 급증하는 호실적을 올렸다. 하지만 알고 보니 지난해에 워낙 실적이 좋지 못해 증가율이 높아 보인 것이었다. 이 상황을 지칭하는 단어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① 나비효과 ② 자산효과 ③ 스놉효과 ④ 기저효과 ⑤ 풍선효과 [해설] 기저효과(base effect)란 비교 대상 시점(기준 시점)의 상황이 현재 상황과 너무 큰 차이가 있어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호황기를 기...
-
테샛 공부합시다
GDP갭으로 통화정책의 방향성 예측이 가능해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지난달 24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을 연내 적절한 시점에 정상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더불어 “GDP갭의 마이너스가 내년 상반기에 충분히 해소될 것”이라며 “경기회복 흐름에 맞춰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의견을 나타냈다. 이 같은 한은 총재의 발언은 통화정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