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최고금리 인하로 이자 부담 줄지만 불법 사금융에 빠질 위험도 커져
2021년 7월 7일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에서 20%로 인하되었다. 100만원을 빌렸을 때 이전에는 이자가 최대 연 24만원이었다면 이제는 20만원만 부담하면 된다. 법정 최고금리는 법으로 정한 가장 높은 금리로, 대부업체가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법정 최고금리는 20여 년 전에는 연 66%로 매우 높았으나 서민들의 대출이자 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하되어 올해 7월 연 20%로 낮아지게 되었다. 오...
-
숫자로 읽는 세상
디지털 전환 대세…올 상반기 은행 점포 90곳 문닫아
올 상반기에만 국내 은행 점포 90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폐쇄되는 점포 수가 50곳 안팎에 불과했던 2~3년 전에 비하면 점포 감소세가 가파르다. 4대 시중은행은 올 하반기에도 최소 130개 점포를 추가로 폐쇄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금융 서비스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국내 은행의 ‘몸집 줄이기’는 돌이키기 어려운 흐름이 됐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의 은행 점포는 지난해 말 6...
-
커버스토리
'빚더미' 앉은 지구촌…한국도 나랏빚 1000조원
“전 세계 정부가 갚아야 할 빚(국가 부채)이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보도했습니다. 코로나19에 중병이 든 경제를 살리기 위해 각국 정부가 빚을 많이 내서 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국가 부채가 92조달러(약 11경원)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습니다. 92조달러는 어마어마한 돈입니다. 한국의 1년 무역액(수출+수입)이 1조달러 정도인 점을 감안...
-
경제 기타
2030 '패닉 바잉'에…서울 빌라 매매, 8개월 연속 아파트 추월
서울에서 빌라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8개월 연속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계약일 기준)는 2313건으로, 아파트 매매 건수(1862건)보다 많았다. 원래 주택시장에서는 아파트 매매량이 빌라보다 두세 배 많은 게 일반적이다. 한국인들이 아파트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 들어서는 1월부터 매달 이런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집값 급등에 대한 피로감, ...
-
경제 기타
학창시절 '최고의 경험' 생글기자에 지원하세요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시사·경제·논술 신문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7기(가을) 고등학생 생글기자와 제10기(가을)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이슈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써 생글생글에 게재할 수 있습니다. 200자 원고지 6장 분량의 글을 생글기자 본인의 이름, 사진, 소속 학교 등과 함께 지면...
-
시네마노믹스
스마트폰으로 모든 것 해결하는 포노사피엔스…전화기 속 40년 절친은 완벽한 타인이었다
석호(조진웅 분), 태수(유해진 분), 준모(이서진 분), 영배(윤경호 분). 친구 넷은 40년 지기 초등학교 동창생이다. 서로는 물론 배우자끼리도 친밀하게 지내는 ‘절친 4인방’은 어느 날 석호의 집들이에 초대받는다. 이혼한 영배를 제외하고 각자의 배우자까지 일곱 명이 모두 모인 저녁자리. 석호의 아내인 예진(김지수 분)이 제안한다. “우리 게임 한 번 해볼까? 다들 핸드폰 올려봐. 저녁 먹는 동안 오는 모든 ...
-
교양 기타
나에게 맞는 일을 탁월하게 해낼 때 행복해진다
얼마 전 고등학생들이 할머니에게 반말을 하면서 담배 심부름을 시키고 심지어 때리기까지 했다는 뉴스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요즘 들어 범죄를 저지르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청소년이 많다는 뉴스가 자주 들려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범죄는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할 뿐 아니라 자신을 구렁텅이에 빠뜨리는 나쁜 행위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 청소년 범죄 뉴스를 접할 때마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으며 생각을 다듬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금할 길 ...
-
대학 생글이 통신
남은 3개월 단점 보완하고 스퍼트하면 목표 이룰 것
먼저 수시 지원, 그리고 수험생활의 반 정도를 보낸 대입 수험생들께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동안 내신 챙기고, 모의고사 보고, 중간중간 교내활동하느라 정말 바쁜 시간을 보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 합격까지는 약 3개월의 시간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서 실제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 라인이 변하기도 합니다. 수시 전형에 주력하고 있는 학생들은 수능 최저 등급 충족을 위해 꾸준히 공부해야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