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외식할지, 돈을 빌릴지, 새 사업 할지 정할 때 금리·환율이 움직이면 우리 마음도 흔들려요
경제 주체(가계·기업·정부)들은 금리와 환율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금리와 환율이 적정선에서 무난하게 움직이면, 경제 주체들은 투자, 무역, 경제정책과 관련한 의사 결정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와 환율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면, 의사 결정을 쉽게 하기 어렵습니다. 위험과 불확실성이 경제 주체들을 고민하게 만들죠. 금리는 모든 경제 활동의 기본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려서...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771)
-
경제 기타
실익 없어도 투자한 시간과 비용 아까워 포기하지 않는 것은 이익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손실 기피 성향 때문
In economics, there is a principle known as the sunk cost fallacy. The idea is that when you are invested and have ownership in something, you overvalue that thing.(경제학에서는 매몰비용의 오류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어떤 것에 투자하거나 그것을 소유할 때, 그 대상의 가치를 과대평가한다는 것입니다.) ...
-
키워드 시사경제
세계 최초 이모티콘 탄생 40주년…생일 축하해! :-)
“농담을 할 땐 :-)라는 문자를 적을 것을 제안합니다.” 1982년 9월 19일 미국 카네기멜런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교수이던 스콧 팔먼이 학교 온라인 게시판에 올린 글이다. 상대방 표정을 보지 못하고 소통하는 공간인 만큼 특수문자를 활용해 불필요한 오해를 막아보자는 것이었다. 웃는 얼굴을 떠올리게 하는 콜론, 하이픈, 괄호의 이 조합은 ‘세계 최초의 디지털 이모티콘(emoticon)’으로 기네스북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고종칙령, 한글을 공식문자로 끌어올리다
2019년 3월 ‘금명간’이 갑자기 인터넷 실시간검색(실검)에 떴다. “경찰에서 한 연예인의 구속 영장을 금명간 신청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온 뒤였다. ‘금명간’이 뭐지? 누리꾼에게 이 말이 생소했던 모양이다. ‘금일’을 금요일로 오해하고, 순우리말 ‘고지식’을 한자어 고지식(高知識, 물론 이런 말은 없다)인 줄 아는 것도 다 오십보백보...
-
대학 생글이 통신
내신 시험 임박했을 땐 새로운 문제 풀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한양대 의예과에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한 22학번 오진우입니다. 이번에는 내신 공부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내신 기간입니다. 내신 기간이란 한 학기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각각 1회로 진행되는 학교 정기고사에 집중적으로 대비하는 기간입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제 경우 내신 기간을 5주로 설정했습니다. 5주 동안에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니면 비교과 활동이나 대외 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시험공부에만 집...
-
대입전략
2022학년도 의대·치대 1위 연세대, 수의대 1위 서울대…의대, 2개년 연속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 등이 상위권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 입시는 수능 백분위 1점 차이로 대학이 달라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통합수능)는 수능 제도가 바뀌면서 대학별로 몇 점이 오르고 떨어졌는지 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연도별로 의대, 치대 등 각 그룹 내 대학 순위는 비교가 가능하다. 그룹 내 대학 순위의 변화는 정시 지원전략 수립 시 중요한 점검사항이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r...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덕분에 한국은행·산업은행 취업했어요"
“테샛을 공부한 덕분에 금융권 필기시험은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었어요. 경제·금융 과목 시험은 문제 유형이 테샛과 비슷하면서 난도는 테샛보다 낮거든요.” 졸업을 앞둔 특성화고 학생 두 명이 이달 초 한국은행과 산업은행 공채에 나란히 합격했다. 주인공은 원주금융회계고 3학년 송지우 학생(사진 왼쪽부터)과 이경은 학생이다. 두 학생은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테샛이 취업문을 여는 열쇠가 됐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