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영어 이야기
'make the cut'은 기준선을 통과한다는 뜻
Deep learning-based Software as a Service (SaaS) provider Z.Ai Inc. won the September pitch competition hosted by Seoul-based startup accelerator D.Camp on Thursday. The Banks Foundation for Young Entrepreneurs operates two incubator hubs known as D...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望雲之情 (망운지정)
▶ 한자풀이 望: 바랄 망 雲: 구름 운 之: 갈 지 情: 뜻 정 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하다 타향에서 고향의 부모님을 생각함 - <당서(唐書)> 측천무후(則天武后)는 당나라 고종의 황후로, 황태자들을 연이어 폐위시키고 자신이 황제가 된 여성이다. 스스로 주나라를 세워 15년간 다스린, 중국 역사상 전무후무한 여황제다. 그는 자신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잔혹하게 제거했지만, 재능이 뛰어난 인물은 신분을 묻지 않고 파격적으로 ...
-
과학과 놀자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원소를 원자량 순서로 배열해 주기율표 창안
과학은 크게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뉜다. 만물의 작동 원리를 다루는 물리학, 물질의 변화를 다루는 화학, 생명체의 특성을 다루는 생명과학, 대기 해양 별 등 자연 현상을 다루는 지구과학. 이처럼 대상이 다르다 보니, 각 과목을 대표하는 이미지도 다르다. 물리학이 F=ma 같은 식으로 대표된다면, 생명과학은 DNA의 이중나선, 지구과학은 별이나 지질 사진으로 대표될 것이다. 그렇다면 화학의 대표적 이미지는 뭘까. 아마도 주기...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시대, 서비스업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
잘사는 국가일수록 서비스업 비중이 크다. 197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는 역사적으로 모든 나라는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비중이 커진다는 점을 밝혀냈다. 고용 비중은 물론 가구별 소비도 소득이 높은 국가일수록 서비스업에 집중됐다. 소득이 높을수록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지는 현상을 ‘쿠즈네츠 현상’이라고 한다. 노동생산성과 서비스 혁신 경제학자 니컬러스 칼도어는 산업 구조는 농업...
-
대학 생글이 통신
수시 올인 전략 또는 정시 올인 전략의 위험성
부산국제외국어고를 졸업한 저는 고3 때 정시로 서울대 인문계열에, 이후 수시 반수를 통해 서울대 경제학부에 합격했습니다. 오늘은 수시 전형 올인 또는 정시 전형 올인을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대학 입시 전형에는 크게 수시와 정시가 있습니다. 보통 학생들은 어떤 전형이 더 유리한지 파악하고 자신의 주력 전형을 선택합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되면 둘 중 어떤 것을 핵심적으로 준비해야 하는지 더 뚜렷해집니다. 하지만 저는 수...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실수와 오해가 친구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
이혼하고 직장에서 쫓겨나 우울증을 겪는 엄마와 사는 열여섯 살 조쉬, 친구 알렉스의 생일잔치에 초대받지 못해 비참하고 기분이 나쁘다. 게다가 알렉스가 리키와 얼굴을 맞대고 찍은 사진이 반 친구 모두가 보는 프렌드북에 올라왔다. 조쉬는 자신이 좋아하는 리키가 여전히 알렉스의 연애 상대인지 궁금하다. 하지만 알렉스가 프렌드북 친구를 끊어버려 볼 수가 없다. 궁금함을 참지 못한 조쉬가 알렉스의 프렌드북에 접속해 여러 차례 시도한 끝에 비밀번호를 알...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중국향, 넌 어디서 왔니?
“반도체 사이클 하향에도 서버향 수요가 견조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그게 무너지는 것 같다.” “제74회 에미상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을 받은 이정재가 … 트로피를 들고 활짝 미소 짓고 있다.” 반도체산업에 대한 우울한 전망이 한창 시장에 나돌던 5월. 언론 보도에 ‘서버향’이란 낯선 단어가 등장했다. 지난 9월에는 ‘오징어 게임’의 에미상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서인 정권의 '향명배금' 정책 고집…국제질서 변화 못읽어 정묘·병자호란 자초
‘호란’은 오랑캐(胡)가 일으킨 ‘난’이라는 뜻이다. 오랑캐는 여진족 계열인 올랑개(兀郞介) 부족을 가리키는 용어지만, 성리학자들은 야만인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조선과 청나라(여진족) 사이에 발생한 전쟁은 1627년부터 1637년 초까지 10년간 이어졌고, 1단계 정묘호란(1627년)과 2단계 병자호란(1636~1637년)으로 구성됐다. 전쟁의 배경과 과정, 결과가 한족인 명나라와 여진족(만주)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