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수요의 가격탄력성 커진 치킨, 가격 인상만이 답일까

    국내 1위 치킨업체인 교촌치킨이 지난 4월 메뉴 가격을 3000원씩 인상했다. 치킨 한 마리를 배달시키면 거의 3만 원이 든다. 1위 브랜드이지만 “안 먹겠다”는 반응이 많은 이유다. 이 브랜드의 가격 전략이 옳은지는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기업의 판매 수입(R)은 가격(P)과 수량(Q)의 곱으로 결정된다. 재화의 가격이 비싸지면 사람들은 해당 제품을 덜 사려 하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수요 감소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힘 있는 문장은 어디서 오나…'형국이다' 버리기

    ①“지난겨울 전 국민을 시름에 빠뜨린 ‘난방비 대란’은 추가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임박하면서 재차 이슈로 부상하는 형국이다.” ‘전기료 폭탄’ 논란이 최근 또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전력 수요가 많은 여름을 앞두고 요금 현실화가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이를 전한 보도문의 한 대목에서 우리가 유념해 봐야 할 곳은 서술어 부분이다. 여기에 쓰인 ‘형국이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15일 (798)

    1.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채 주가 변동에 따른 차액만 결제하는 파생상품인 ‘차액결제거래’의 약어는? ①CFO ②CFD ③CFA ④CFP 2. 최고경영자, 최고재무책임자, 최고인사책임자 등 기업의 최고위 경영진을 통칭하는 말은? ①A레벨 ②B레벨 ③C레벨 ④D레벨 3. 통화정책과 관련해 ‘매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물가·경기 안정 중시 ②인플레이션 파...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같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

    7. (나)의 ‘밈 이론’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자손 갖기를 거부하는 독신주의는 현대 사회에서 하나의 밈으로 번지고 있다. 이 밈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사람들은 자손을 통해 유전자를 전달하지 않는다. ① 독신주의 밈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람은 밈의 복제자이자 행위자이다. ② 밈은 자손 갖기를 거부하는 독신주의를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③ 밈은 ...

  • 대입전략

    주요 15개 대 학생부교과 일반전형 기준 4917명 선발…연세대·한양대·이화여대·건국대 수능 최저 불필요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은 1~9등급으로 나뉘는 고교 내신 성적이 당락에 결정적이다. 동아리 등 비교과 영향력이 미미해 일반고 내신 최상위권 학생들의 관심이 높은 전형이다. 주요 15개 대 중 서울대를 제외한 14곳에서 선발한다. 2024학년도 주요 15개대 학생부교과 전형의 내신 반영 방법에 대해 분석해 본다. 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서울시립대 전 교과 반영 2024학년도 주요 15개 대의 학생부교과 전형...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축제 즐기는 이화여대 학생들

    대동제가 열리고 있는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지난 10일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학생들에게 나눠줄 대형 비빔밥 만들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키워드 시사경제

    빈 사무실 늘어가는 빌딩…美 경제 새 뇌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심장부에 있는 유니언뱅크빌딩. 22층짜리 이 건물의 가치는 2019년만 해도 3억 달러(약 4000억 원)로 평가받았다. 최근 매물로 나와 입찰에 부쳐진 이 빌딩은 6000만 달러 정도에 팔릴 것으로 예상된다. 불과 4년 만에 값이 80% 떨어진 것이다. CBRE그룹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사무실의 공실률은 30%에 육박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7배가 넘는다. 재택근무가 보편화하고 경기마저 꺾이자 사무실을 비우는 기...

  • 과학과 놀자

    동물 행동의 의문 푸는 네 가지 관점 제시

    잠시 후 집으로 돌아온 벌이 그가 모래로 덮어버린 둥지로 정확히 들어가자 그는 나지막이 환호성을 질렀다. 주변에 수백 개의 다른 벌집이 있음에도 꿀벌잡이노래기벌은 자신의 둥지를 정확하게 찾아 들어갔기 때문이다. 환호성을 지른 이는 바로 동물행동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니콜라스 틴베르헌(Nikolaas ‘Niko’ Tinbergen, 1907~1988)이다. 1929년 당시 네덜란드 레이던대학의 대학원생이던 틴베르헌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