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風聲鶴唳 (풍성학려)

    ▶ 한자풀이 風: 바람 풍 聲: 소리 성 鶴: 학 학 唳: 울 려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라는 뜻으로 겁먹고 작은 일에도 매우 놀람을 비유 - <진서(晉書)> 진나라 기록을 담은 역사서 <진서(晉書)> 사현재기(謝玄載記)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동진 효무제(孝武帝) 때의 일이다.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이 100만 대군을 이끌고 동진을 공격해왔다. 동진에서는 재상 사안(謝安)이 동생 사석...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탄력성

    [문제] 자동차 회사가 자동차 가격을 5% 올렸더니 그 제품의 판매량이 3% 감소했다고 하자. 이때 탄력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크다. ②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작다. ③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이다. ④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크다. 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작다. [해설] 자동차 회사가 가격을 올렸더니, 제품의 판매량 즉, 수요량이 감소했다면 이는 수요의 가격 탄력성...

  • 교양 기타

    사람을 알아보는 두 개의 눈 '안목(眼目)'

    낡은 벼루 구양수 흙벽돌이나 기와가 하찮은 물건이지만 붓과 먹 함께 문구로도 쓰였다네. 물건에는 제각기 그 쓰임이 있나니 밉고 곱고를 따지지 않는다네. 금이 어찌 보물이 아니고 옥이 어찌 단단하지 않으랴만 먹을 가는 데에는 기와 조각만 못 하다네. 그러니 비록 천한 물건이라도 꼭 필요할 땐 그 값을 견주기 어려운 줄 알겠네. 어찌 기와 조각만 그렇겠는가. 사람 쓰는 일 옛날부터 어려웠더라네. * 구양수(歐陽脩, 1007~...

  • 나랏빚 폭탄 막는 '재정준칙'

    803호 생글생글은 국가채무를 관리하는 재정준칙을 커버스토리에 실었다. 재정준칙 법안이 국회에서 2년 넘게 표류하는 상황에서 재정준칙 도입의 시급성을 살펴봤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과 재정준칙의 효과를 알아보고, 정부 재정의 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훼손하는 민주주의의 속성을 따져 봤다. 시사 이슈 찬반토론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캠페인으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대신 CFE(Carbon-free...

  • 커버스토리

    '재정준칙' 왜 필요한가요…나랏빚 폭탄 막는 안전장치죠

    나랏빚을 함부로 늘릴 수 없게 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31개월째 표류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가계나 기업처럼 수입보다 많은 돈을 쓰면 빚(국가채무)을 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국가채무가 1000조원을 넘었습니다. 이처럼 엄청난 빚은 결국 미래 세대의 짐이 됩니다. 경제에 부담을 주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세계 104개 국가가 나랏빚을 관리하려고 ‘재정준칙(fiscal rules)’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

  • 테샛 공부합시다

    경기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지요

    한국 역사에서 가장 치열했던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영토 확장을 위해 물고 물리는 전쟁을 지속했지요. 그중 백제는 고구려, 신라에 비해 많은 변화를 겪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런지 한번 살펴볼까요? 국가도 경제도 흥망성쇠 반복 백제는 한강 유역의 한성을 수도로 해 근초고왕 시기 전성기를 맞았지만, 이후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에 지금의 공주인 웅진으로 수도를 옮기게 됐어요. 이 시기에는 정치적 갈등이 심했습니다. 성왕이 부여로 ...

  • 영어 이야기

    'brim with~'는 컵 끝까지 차오르는 모습이죠

    [Night at Korean royal palace brims with stars and Gucci fashion] Gucci’s first Cruise collection show in Asia at Gyeongbokgung Palace underscores Seoul’s growing importance as a luxury market. Decorated with thousands of lights and fill...

  • 롤러코스터 같은 주식시장

    제65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스토리에선 주식시장이 움직이는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주가는 어떨 때 오르고 내리는지, 주식에 투자할 때는 어떤 점을 기억하고 주의해야 하는지 기초적인 내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고객 친화적 서비스 도입으로 경쟁력 있는 항공사를 일군 C.E. 울먼 델타항공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세종예술의전당에서 브레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을 관람하고 지휘자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