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교양 기타
내 인생의 주행거리는 얼마나 될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인생 유자효 늦가을 청량리 할머니 둘 버스를 기다리며 속삭인다 "꼭 신설동에서 청량리 온 것만 하지?" * 유자효 : 1947년 부산 출생.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아직>, <심장과 뼈>, <사랑하는 아들아>, <성자가 된 개>, <내 영혼은>, <떠남>, <짧은 사랑>, <꼭> 등 출간. 정지용문학상, 유심작...
-
숫자로 읽는 세상
대학 3곳 중 1곳, 대입 정시 '사실상 미달'
2024학년도 대학 정시모집 원서 접수 결과, 대학 3곳 중 1곳에서 미달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달 학교는 학령인구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지방대에 집중됐다. 9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전국 188개 대학의 정시모집 결과 경쟁률이 3 대 1 이하인 대학이 59곳(31.4%)으로 나타났다. 대입 정시모집에서는 수험생 한 명이 최대 3개 대학까지 원서를 넣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쟁률이 3 대 1 미만이면 사실상 미달로 간주한다. 미달을 기록...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세계 최대 첨단기술쇼 'CES 2024''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가 9일부터 12일(현지 시각)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는 150여 개국에서 4000여 개 기업이 참가했다. 가수 지드래곤(가운데)이 9일 HD현대 전시관을 찾아 VR을 체험하고 있다. HD현대 제공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최저자격 높고 선발인원 많아 상위권 학생 몰릴 듯
올해부터 고려대학교 논술이 부활합니다. 약 10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고려대학교 논술고사는 올해 인문 논술고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상당 인원을 새롭게 선발하고 높은 최저자격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일반적인 예측대로 수능 다음 주 시험일이 확정된다면 우수한 수능 성취도를 지닌 학생들이 대거 고려대학교 지원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전형 기준 최저자격 4합 8은 매우 높은 선입니다. 4합 8의 경우 ...
-
영어 이야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땐 'roll out'
Carmakers in South Korea are slated to unveil new electric vehicle models at cheaper prices and roll out a string of new hybrid cars. Hyundai Motor Co., South Korea’s largest carmaker, recently decided to postpone the launch of the full-size e...
-
대입전략
전체 6965명…의대 증원 논의 따라 더 늘수도
의약학 계열은 자연계 최상위권 학과로 꼽힌다. 1점 차이로도 대학이 달라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최근 몇 년 사이 최상위권 학생의 의약학 지원이 크게 늘면서 합격선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2025학년도 의대 증원 관련 논의가 시작되면서 상위권 학생 사이의 관심은 그 어느 해보다 높아진 상태다. 의대 증원 논의가 어떻게 결론 날지는 더 지켜볼 문제다. 우선은 먼저 발표된 2025학년도 전형 계획안을 통해 올해 의약학 계열 모집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단순 스토리에 담긴 오묘한 은유와 넘치는 지식
<모비 딕>은 완독하고 나면 스스로를 칭찬하게 되는 작품이다. 700페이지가 넘는 장편인 데다 내용이 쉽지 않으니 다 읽고 나면 뿌듯함이 밀려오면서 높은 자존감을 맛보게 된다. 얼마 전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예비 고등학생에게 <모비 딕>을 선물하자 국내 도서 사이트에서 실시간 인기 도서 1위에 올랐다. 2년 전 높은 시청률을 올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우영우가 읽은 소설도 <모비 딕&...
-
생글기자
빈곤층 소외 해결해야 포퓰리즘 막을 수 있다
정치적 담론에 ‘포퓰리즘’이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포퓰리즘은 사회 권력층 또는 엘리트층에 대한 반발심을 증폭시키고 이런 정서를 정치적 목적에 활용하려는 시도다. 좌파든 우파든 서민과 엘리트라는 이원화된 프레임을 통해 극단적인 대결로 몰아가려는 것은 공통적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포퓰리스트 정치인 또는 정책에 열광하는 시민을 그들의 저소득, 저학력 배경과 연결 지어 비판한다. 하지만 포퓰리즘을 단순 저학력층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