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실업률과 경제활동참가율
[문제] 한국의 총인구가 5500만 명, 비경제활동인구 1000만 명, 취업자 2400만 명, 실업자는 600만 명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실업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을 순서대로 구하면? ① 15%, 50% ② 20%, 50% ③ 12%, 75% ④ 15%, 75% ⑤ 20%, 75% [해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중 실업자의 비중을 뜻한다. 문제에서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는 3000만 명이다. 실업자 600...
-
키워드 시사경제
귀찮아서, 부끄러워서…"거스름돈 안 받아요"
“거스름돈 가져가셔야죠” “괜찮아요. 안 가져갈래요” 서울 시내 버스 안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카드를 들고 오지 않아 현금으로 요금을 내는 승객 가운데 귀찮거나 부끄럽다는 등의 이유로 거스름돈을 외면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한다. 한 마을버스 기사는 “학생 중 10%는 현금을 내는데, 거스름돈을 가져가지 않는 비율이 체감상 절반 이상”이라고 했다. 교통카드 사용이 보편...
-
돈의 가격, 금리
제83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금리입니다. 돈의 가격인 금리의 흐름에 따라 가계와 기업의 경제활동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재미난 일러스트와 함께 설명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피로회복제 ‘박카스’로 유명한 고(故)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명예회장을 소개했습니다. 현재 중학교 2학년부터 적용되는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도...
-
대입전략
SKY 인문 293~279·자연 292~275점 수준…21개대 인문 최저 242점, 자연 253점 추정
수능까지 한 달 남았다. 정시는 대학별로 수능 과목별 반영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목표 대학에 맞춘 학습전략이 중요하다. 마침 9월 모의평가 성적이 발표됐다. 9월 모의평가 실채점 기준 주요 21개대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 국·수·탐 백분위 합 기준, 의대 300~288점 지원 가능 종로학원 분석 결과, 2024학년도 9월 모의평가 국어, 수학, 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합(300점 만점) 기준으로 이과 최상...
-
숫자로 읽는 세상
문재인 정부, 전기료 인상 묵살 한전 33조 손실…경영위기 직면
한국전력이 수십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내며 경영 위기에 처한 것은 전임 문재인 정부가 전기료를 제때 올리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감사원 지적이 나왔다. 문재인 정부는 대선을 앞둔 2021년 말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했음에도 물가안정을 이유로 전기료 인상폭을 크게 축소했다. “원가주의 원칙 유명무실” 감사원이 10일 공개한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보고서를 보면 한전의 전기료 산정에...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16일 (817)
1. 기업이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경영 실적을 발표한 상황을 뜻하는 말은? ① 베어 스티프닝 ② 어닝 서프라이즈 ③ 프로젝트 파이낸싱 ④ 스태그플레이션 2. 물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상승폭은 점차 둔화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하이퍼인플레이션 ② 인플레이션 ③ 디스인플레이션 ④ 디플레이션 3. 이달 초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면서 중동 지역 정세의 불확실성을 높인 팔레스타인의 무장 정파는? ① 하마스 ② 유로존 ③ 어나...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변수간의 관계, 그래프로 보면 이해 쉬워
수정 진동자로 질량을 측정하는 원리를 응용하면 특정 기체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정 진동자를 특정 기체가 붙도록 처리하면, 여기에 특정 기체가 달라붙으며 질량 변화가 생겨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는 감소한다. 일정 시점이 되면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가 더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이렇게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이유는 특정 기체가 일정량 이상 달라붙지 않기 때문이다.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더 작은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
대학 생글이 통신
경제학과에 가려면 실험과 통계분석 직접 해보세요
고교 시절 수행평가 주제를 뭘로 정할까 정말 고민이 많았습니다. 수시로 좋은 대학에 가려면 생활기록부를 잘 만들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수행평가가 핵심이기 때문이죠. 이번엔 제가 고등학생 때 경제학과와 관련해 진행한 활동 주제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먼저 ‘양면 시장’입니다. 이 시장은 기업이 판매자와 구매자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할 때 나타납니다. 단면 시장에선 기업이 판매자 역할을 하고, 소비자는 구매자 역할만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