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31) 성직자 … 하고 싶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야!
12월25일은 크리스마스다. 이와 관련해 성직자라는 직업에 대해 알아보자.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사에 의하면 평생직업으로 가장 적당한 직업으로 성직자가 상담전문가, 인문사회계열 교수,항공기 조종사에 이어 4번째로 꼽혔다. 그만큼 사회적 관심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성직자는 신자들로 하여금 종교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여 정신적 가치와 도덕적 실천의 종교 교리를 교육하고 인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의사가 몸의 병을 다스린다면,성직자는 마음의 병을 ...
-
경제 기타
청소년 '휴대전화 증후군' 걱정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가 4000만명을 돌파했다. 1998년 6월 1000만명, 1999년 8월 2000만명, 2002년 3월 3000만명을 넘어선 뒤 이제는 전체 인구(4857만명)의 82.3%가 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시대가 됐다. 휴대전화는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사용할 만큼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 같은 화려한 성장의 이면에는 우리 사회의 조급한 냄비 문화, 빈번한 사건·사고에 대한 불안감과 더불...
-
경제 기타
시대변화 못 따라가는 교과서
"선생님! 이거 무전기 광고인가요?" 중학교 2학년 영어 수업시간에 한 학생이 던진 질문이다. 그 이유는 교과서에 나온 휴대폰이 요즘 학생들이 가진 휴대폰이나,휴대폰 광고에서 흔히 접하는 기종과는 너무 동떨어진 것이었기 때문이다. 휴대폰이 한 달만 지나도 구식이 되는 시대에 교과서에 게재된 사진은 근 10년 전 크고 투박한 무전기 같은 구형 기종이니 학생들이 의아해할 수밖에 없다. 중·고교 교과서가 안고 있는 문제는 비단 오래된 사진이나...
-
경제 기타
(기자 수첩) 경제학 = 차가운 학문?
경제학과를 지망하려는 학생들은 한 번쯤 '경제학은 차가운 학문이다'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뜨거운 가슴은 버리고 차가운 머리만 들고 오라'는 말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는 경제학이 '차가운 이성'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에 생겨난 말들이다. 경제학에서 그래프와 수식을 통해 측정해 내고자 하는 개념은 '효율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효율성을 측정해 내는 과정은 '뜨거운 가슴'이 보기에는 너무나도 차가워 보일 수 있다. 예...
-
학습 길잡이 기타
11. 표준어 다시 보기 : 전설모음화
해마다 이맘 때면 어김 없이 거리에 등장해 세밑을 훈훈하게 하는 게 있다. 구세군 '자선 냄비'다. 18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한 구세군 사관이 빈민들을 위해 거리에 커다란 쇠솥을 내걸고 "이 국솥을 끓게 합시다"라고 호소한 게 자선 냄비의 효시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1928년 처음 등장했다. 당시에는 나무 막대기로 만든 지지대에 가마솥을 매단 형태였다. 그 후 78년이 흐른 2006년 올해는 모금 수단도 최첨단으로 진화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올해의 유행어 '된장녀'
"아침에 일어나 유명 여배우가 광고하는 샴푸로 머리를 감는다. 유명 상표 원피스를 입고 작은 토트백을 들고 집을 나선다. 음, 마치 연예인이 된 듯한 기분이다. 점심은 2000원짜리 라면으로 때우는 한이 있어도 커피는 스타벅스에서 5000원짜리를 마셔야지.오후에는 미팅서 만난 파트너가 맘에 들지 않았지만 3000cc 외제차를 몰고 있는 것을 보곤 금방 태도를 바꾼다. 어차피 남친은 엔조이 상대에 불과하니까. 결혼은 키 크고 옷 잘 입는...
-
교양 기타
(23) 제이 그리피스 '시계 밖의 시간'
'풍부하고 촉촉하고 둥근' 시간 이야기 ◆제이 그리피스(Jay Griffiths) 영국 옥스퍼드대학에서 영어를 강의하고 있으며 'London Review of Books', 'Guardian', 'Observer', 'Red Pepper'지와 자신이 부편집장으로 있는 'Resurgence Magazine'에 글을 기고하고 있는 저력있는 여류 작가이다.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거리시위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첫 소설 『Anarch...
-
75. (끝)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라
논리적 근거로 구체성 있어야 '힘' 을 갖지! [논제] 지문 (가)에 제시된 '선거'의 양상을 살펴보고, 지문 (나)에 제시된 '추첨'이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글을 쓰는 행위는 필자의 일방적인 행위가 아니라,독자를 가정한 상호적 의사소통행위이다. 특히 논술은 가상독자에게 자신의 논리를 펼치는 글로 설득적 성격이 강한 글이다. 이러한 사실과 관련하여 볼 때 논술은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독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