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내 안의 또 다른 나 '아바타'!
'아바타(Avatar)'는 주인공이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넘나드는 영화다. 주인공은 눈을 감으면 자신의 분신인 또 다른 육체와 접속한다. 그 분신은 자신의 신경과 접속돼 있다. 자기 육체가 아닌 또 다른 생명체를 자신의 정신이 지배한다. 어떻게 보면 자기와 다른 '나'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분신을 아바타라고 부른다. 아바타는 자신의 유전자와 외계인 유전자의 조합으로 구성돼 있다. 자신의 유전자와 피가 섞여 있고 자신이 눈을 감...
-
경제 기타
구글,구글폰 넥서스원 공개… 스마트폰 경쟁 가열
아이폰 대항마 될지 주목 '구글폰'이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구글은 5일 미국 캘리포니아 본사에서 첫 번째 스마트폰인 '넥서스 원(Nexus One)'을 공개했다. 넥서스 원은 구글이 개발한 스마트폰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3.7인치 터치스크린 액정 화면과 5메가픽셀 카메라를 탑재했다. 애플의 '아이폰'과 달리 멀티태스킹 기능을 가미해 MP3플레이어를 들으면서 인터넷 검색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가격은 529...
-
경제 기타
9년만의 혹한 등
⊙ 9년만의 혹한 기상청은 6일 철원의 아침 기온이 2001년 1월 중순 이후 최저인 영하 26.8도까지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서울도 영하 13.3도까지 낮아져 2006년 2월3일(영하 14.1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경기도 문산과 충북 제천은 오전 9시30분께 영하 25.9도로 같은 시간대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충주 춘천 수원 등 경기 강원 충청 일부 지역도 영하 20도 안팎의 추운 날씨를 보였다. 기상청 관계자는 "북서쪽의 ...
-
경제 기타
한국, '原電' 강국 도약… 나도 원자력학과 가볼까?
중동발 '원전 르네상스'… 공해없고 싸고 안전한 에너지 작년 말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를 계기로 국내에 '원전 붐'이 일고 있다. 원전이 기피 대상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탈바꿈하면서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 등을 잇는 차세대 수출산업으로 각광받는가 하면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대학의 원자력 학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원자력 전문대학원 설립도 추진되고 있다. ⊙ 중동발 '원전 르네상스' 한국은 작년 12월27일...
-
커버스토리
1천만 관객 사로잡은 컴퓨터그래픽·3D 영상 …아, 상상의 아바타여!
캐머런 감독 12년 공들인 걸작 '아바타'는 국내에서 지난해 12월17일 개봉돼 불과 3주 만에 관객 700만명을 끌어모으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 늦어도 이달 말께 1000만 관객을 돌파할 것으로 보여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은 관객 750만명을 모은 '트랜스포머(2007)'였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도 이미 10억6000만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
커버스토리
뻔한 스토리… 하지만 놀라운 발상의 전환이 '아바타' 성공 일궜다
기술적 상상력이 빚어낸 판도라 생태계… 3D 영상혁명 신기원 3D 블록버스터 '아바타'의 대성공 비결은 바로 '상상력'이다. 그 상상력은 나비족 캐릭터,판도라 행성과 거기 서식하는 생물 등을 탄생시켰다. 캐머런 감독이 영화 구상을 끝낸 것은 15년 전이지만 3D 입체영상 기술이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을 기다렸을 정도로 영화에 적용된 기술도 획기적이다. 3D 영상혁명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대단한 기술적 상상력도 주요 성공 요인이다. ...
-
경제 기타
출구(Exit) 딜레마… 아시아는 자산버블,선진국은 더블딥 걱정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안된다.”… 출구 전략 언제 어떻게? "너무 늦게 혹은 너무 빨리 출구전략(Exit Strategy)에 돌입해 경기 회복세에 브레이크를 거는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합니다." 작년 9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한 티모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 대표들에게 이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1930년대 대공황 당시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 대통령의 긴축정책과 '잃어버린 10년'을 초래한 1990년대...
-
과학 기타
폭설… 한파… 홍수… 지구촌 기상이변 왜?
기상학자들 지구온난화 논란… 한반도 생태계 위협 올 겨울 들어 눈이 많이 내리고 있다. 지난 4일 서울에 25.8㎝의 눈이 내려 기상 관측 역사 103년 만에 서울시내 최대 적설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아시아와 남미, 호주, 유럽을 비롯한 지구촌 곳곳에서 폭설과 한파, 홍수 등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영국은 30년 만의 한파로 도시 곳곳이 상당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