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1일자
1. 가상현실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해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은? ① 합성현실 ② 실제현실 ③ 증강현실 ④ 환경현실 2. 국가 간 항공편을 개설할 때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어느 항공사든 신고만 하면 취항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은? ① 항공자유화협정 ② 국가항공협정 ③ 항공승인협정 ④ 항공신고협정 3. 아세안 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 등 10개국으로 구성된 동남아...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28)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사고의 예술(art of thinking)에 도전하자”
금융 투자의 귀재 조지 소로스는 대학 때 철학을 깊이 공부했다. 당시 그의 스승은 현대 철학자인 칼 포퍼였다. 포퍼는 소로스를 비롯한 학생들에게 논리의 명료함과 반증(비판)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요구했다. 소로스는 철저하게 반증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어야 과학적 명제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포퍼에게서 배웠다. 그는 당시 학습한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현실의 경제를 살폈다. 화폐가 유통되고 사람들이 화폐 시장에 참여하는 것도 철저한...
-
경제 기타
공공부문에 돈' 흥청망청'… 그리스의 '예고된 비극'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 국가신용등급 전격 하향 '휴브리스(자기과신 · 오만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 대한 '네메시스(신의 복수)'라는 그리스 비극의 고전적인 테마가 현실에서 재연됐다. 경제 규모에 어울리지 않게 방만하게 공공 부문 지출을 늘리다가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그리스의 국가신용등급이 전격적으로 하향 조정된 것이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8일 그리스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의 'A-'에서 'BBB+'로 한 단계 낮췄다. 그리스...
-
경제 기타
한국인 기대수명 80세 넘었다
⊙ 한국인 기대수명 80세 넘었다 지난해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처음으로 80세를 넘어섰다. 통계청은 9일 '2008년 생명표'를 통해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80.1세로 2007년에 비해 0.6년,10년 전인 1998년에 비해선 5.3세 늘었다고 발표했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경제 발전과 의학기술 발달 등에 힘입어 1970년 61.9세,1980년 65.7세,1988년 70.3세,1998년 74.8세 등으로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
-
경제 기타
“지구를 구하고는 싶은데… 너희 꼴은 못 봐주겠거든!”
판을 깨기보다는 내년 협약 체결 위한 정치적 합의 낼 듯 ▶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총회 개막… 선진국-개도국 불협화음 '0 대 105.' 1997년 교토의정서가 채택됐던 제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와 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막된 15차 총회에 참석하는 각국 정상들의 숫자다. 지구촌 역사상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결의한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가 나왔을 당시만 해도 지구온난화는 일부 선진국들만의 썰렁한 논쟁거리로 치부...
-
커버스토리
비판적 사고는 묻고 답하면서 진리를 찾아가는 능동적 과정
유용한 정보를 가려내고 가공해 새 지식 창조 美, 비판적 사고 강조하며 교육개혁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가 대학 입시와 기업 취업의 주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행정관료와 외교관이 되기 위한 공무적격성 평가(PSAT)시험, 법조인이 되기 위한 법학적성시험(LEET)에서 비판적 사고 시험을 치르고 있다. 대학 입시 논술 및 면접에서도 비판적 사고가 있어야만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과연 비판적 사고가 무엇...
-
커버스토리
비판적 사고력은 훈련으로 키울 수 있다
스스로 질문하며 문제 해결하는 습관을 키워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해외 유학을 가서 중도 포기했다는 소식을 우리는 종종 듣는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주어진 정답을 암기하는 국내 수업에 익숙해진 나머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방식의 수업을 따라가지 못한 게 주요 원인이라고 교육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즉 결과만 생각하고 과정을 중시하지 않는 국내 교육 풍토가 만들어낸 희생양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1997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