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머런 감독 12년 공들인 걸작
'아바타'는 국내에서 지난해 12월17일 개봉돼 불과 3주 만에 관객 700만명을 끌어모으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
늦어도 이달 말께 1000만 관객을 돌파할 것으로 보여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은 관객 750만명을 모은 '트랜스포머(2007)'였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도 이미 10억6000만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흥행 수입을 올렸다.
역대 세계 흥행수익 4위다.
1위인 '타이타닉'(18억4290만달러), '반지의 제왕 3:왕의 귀환'(11억1911만달러), '캐리비안의 해적:망자의 함'(10억6617만달러)을 잇고 있다.
이런 추세로 나아가면 타이타닉과도 견줄 수 있다는 평가다.
영화의 러닝 타임은 총 2시간 42분으로 꽤 긴 영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람객 중 60%가 3D 입체 영화로 본 것으로 나타나 3D 영화의 특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 12년 만에 탄생한 작품
이 영화는 제임스 캐머런 감독이 1994년부터 스토리를 구상해 각색한 영화다.
캐머런 감독은 터미네이터, 에이리언2, 타이타닉 등 영화사상 길이 남을 대작을 만든 인물이다.
그는 1954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풀턴칼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그의 나이 23세인 1977년 영화 산업에 입문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터미네이터(1984),에이리언2(1986),심연(1989),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 (1991),트루 라이즈(1994),타이타닉 (1997) 등이 있다.
워낙 꼼꼼하고 세밀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최고의 이야기꾼이며 뚝심으로 유명한 그는 세계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 기록을 세운 타이타닉 이후 12년간 아바타 하나를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
이 영화 개봉 전날까지 영화를 손질하고 또 손질하는 열성을 보였다고 한다.
캐머런 감독은 이 영화 스토리에 대한 영감을 어릴 적 읽은 어린이 동화에서 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그는 원래 이 영화를 3D 전용관에서만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개발도상국 등에서는 아직 3D 전용관이 많이 마련돼 있지 않아 일반적 영화인 2D 영화를 따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 영화를 위해 쓴 제작비와 마케팅비만 4억5000만달러(5000억원)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화의 줄거리는
무대는 지금부터 150년 후인 2150년 지구에서 55광년 떨어진 위성 판도라.
이 위성에는 나비라고 불리는 원주민이 아마존의 열대우림처럼 식물이 울창하고 야생동물이 뛰어노는 곳에 살고 있다.
나비는 인간의 1.5배나 되는 신장에 푸른 피부를 갖고 있다.
이 판도라에 대체 광물자원을 캐내기 위해 자원개발업자가 나비의 외형에 인간의 의식을 넣어 원격 조종이 가능한 새로운 생명체 아바타를 탄생시킨다.
하반신이 마비된 전직 해병대원 제이크 셜리는 이 아바타 프로그램에 참가할 것을 제안받아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유롭게 걸을 수 있게 된다.
제이크는 광물 채굴을 막으려는 나비족에 침투하라는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 중 나비의 여전사 네이티리와 만나게 되고 그녀와 함께 여러 모험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제이크의 아바타는 판도라의 정신과 영혼을 자연스레 전수받는다.
자원개발업자를 비롯한 인류는 나비족과 협상을 할 수 없음을 느끼고 대규모 전투를 벌인다.
제이크의 아바타는 이 전투에서 나비족의 중요한 인물로 부상한다.
그 속에서 현실의 제이크조차 아바타의 행동을 지지하게 된다.
마지막 40분간 벌어지는 원주민과 지구인들과의 대전투 장면은 영화의 사실감을 그대로 드러내는 클라이맥스다.
그 과정에서 원주민인 나비족이 승리하는 장면은 감동이다.
또한 아바타가 다시 눈을 뜨는 마지막 장면도 상당한 스릴을 느끼게 한다.
⊙ 한국인들도 영화 제작에 참여
이 아바타에는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 9명도 참가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은 이 영화 컴퓨터 그래픽(CG)의 대부분을 그려낸 뉴질랜드 회사인 웨타 디지털의 한국인 애니메이터 9명이다.
웨타는 반지의 제왕과 킹콩의 CG를 만든 회사로 아바타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850명.
이 영화의 컴퓨터 그래픽의 3분의 2가량을 이 기업이 맡았다.
이 가운데 한국인들은 표정을 만드는 작업이나 캐릭터 창작에 주로 참여했다.
이들은 "일반 관객은 구별할 수 없겠지만 다른 회사에서는 흉내낼 수 없는 표현들, 표정과 동작과 근육, 나뭇잎 하나, 물방울 하나도 모두 CG로 만들었다"며 "이 영화가 이제까지의 CG보다 두 배 무게감을 싣고 있으며 아바타 이후 3D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3D애니메이션 영화의 효시는 '토이스토리'를 꼽고 있으나 3D 영화의 효시는 아바타가 될 것으로 이들은 내다보고 있다.
오춘호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ohchoon@hankyung.com
늦어도 이달 말께 1000만 관객을 돌파할 것으로 보여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개봉한 외화 중 사상 최고 흥행작은 관객 750만명을 모은 '트랜스포머(2007)'였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도 이미 10억6000만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흥행 수입을 올렸다.
역대 세계 흥행수익 4위다.
1위인 '타이타닉'(18억4290만달러), '반지의 제왕 3:왕의 귀환'(11억1911만달러), '캐리비안의 해적:망자의 함'(10억6617만달러)을 잇고 있다.
이런 추세로 나아가면 타이타닉과도 견줄 수 있다는 평가다.
영화의 러닝 타임은 총 2시간 42분으로 꽤 긴 영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람객 중 60%가 3D 입체 영화로 본 것으로 나타나 3D 영화의 특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 12년 만에 탄생한 작품
이 영화는 제임스 캐머런 감독이 1994년부터 스토리를 구상해 각색한 영화다.
캐머런 감독은 터미네이터, 에이리언2, 타이타닉 등 영화사상 길이 남을 대작을 만든 인물이다.
그는 1954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풀턴칼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그의 나이 23세인 1977년 영화 산업에 입문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터미네이터(1984),에이리언2(1986),심연(1989),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 (1991),트루 라이즈(1994),타이타닉 (1997) 등이 있다.
워낙 꼼꼼하고 세밀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최고의 이야기꾼이며 뚝심으로 유명한 그는 세계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 기록을 세운 타이타닉 이후 12년간 아바타 하나를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
이 영화 개봉 전날까지 영화를 손질하고 또 손질하는 열성을 보였다고 한다.
캐머런 감독은 이 영화 스토리에 대한 영감을 어릴 적 읽은 어린이 동화에서 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그는 원래 이 영화를 3D 전용관에서만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개발도상국 등에서는 아직 3D 전용관이 많이 마련돼 있지 않아 일반적 영화인 2D 영화를 따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 영화를 위해 쓴 제작비와 마케팅비만 4억5000만달러(5000억원)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화의 줄거리는
무대는 지금부터 150년 후인 2150년 지구에서 55광년 떨어진 위성 판도라.
이 위성에는 나비라고 불리는 원주민이 아마존의 열대우림처럼 식물이 울창하고 야생동물이 뛰어노는 곳에 살고 있다.
나비는 인간의 1.5배나 되는 신장에 푸른 피부를 갖고 있다.
이 판도라에 대체 광물자원을 캐내기 위해 자원개발업자가 나비의 외형에 인간의 의식을 넣어 원격 조종이 가능한 새로운 생명체 아바타를 탄생시킨다.
하반신이 마비된 전직 해병대원 제이크 셜리는 이 아바타 프로그램에 참가할 것을 제안받아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유롭게 걸을 수 있게 된다.
제이크는 광물 채굴을 막으려는 나비족에 침투하라는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 중 나비의 여전사 네이티리와 만나게 되고 그녀와 함께 여러 모험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제이크의 아바타는 판도라의 정신과 영혼을 자연스레 전수받는다.
자원개발업자를 비롯한 인류는 나비족과 협상을 할 수 없음을 느끼고 대규모 전투를 벌인다.
제이크의 아바타는 이 전투에서 나비족의 중요한 인물로 부상한다.
그 속에서 현실의 제이크조차 아바타의 행동을 지지하게 된다.
마지막 40분간 벌어지는 원주민과 지구인들과의 대전투 장면은 영화의 사실감을 그대로 드러내는 클라이맥스다.
그 과정에서 원주민인 나비족이 승리하는 장면은 감동이다.
또한 아바타가 다시 눈을 뜨는 마지막 장면도 상당한 스릴을 느끼게 한다.
⊙ 한국인들도 영화 제작에 참여
이 아바타에는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 9명도 참가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은 이 영화 컴퓨터 그래픽(CG)의 대부분을 그려낸 뉴질랜드 회사인 웨타 디지털의 한국인 애니메이터 9명이다.
웨타는 반지의 제왕과 킹콩의 CG를 만든 회사로 아바타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850명.
이 영화의 컴퓨터 그래픽의 3분의 2가량을 이 기업이 맡았다.
이 가운데 한국인들은 표정을 만드는 작업이나 캐릭터 창작에 주로 참여했다.
이들은 "일반 관객은 구별할 수 없겠지만 다른 회사에서는 흉내낼 수 없는 표현들, 표정과 동작과 근육, 나뭇잎 하나, 물방울 하나도 모두 CG로 만들었다"며 "이 영화가 이제까지의 CG보다 두 배 무게감을 싣고 있으며 아바타 이후 3D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3D애니메이션 영화의 효시는 '토이스토리'를 꼽고 있으나 3D 영화의 효시는 아바타가 될 것으로 이들은 내다보고 있다.
오춘호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