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끊이지 않는 학력위조··· 우리사회의 학벌 지상주의가 낳은 희생양

    지난 5월부터 인기가수 에픽하이의 멤버 타블로가 학력위조 의혹에 휩싸여 큰 논란이 되고 있다. 현재 누리꾼들은 인터넷 상에 '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라는 카페를 만들어 활동 중이며 카페 회원 수는 이미 11만명을 넘어섰다. 타블로 측에서도 여러 증거 자료를 내놓으며 논란에 맞서고 있지만 의혹은 커져가기만 하는 상태다. 그와 더불어 타블로 가족의 학력이나 경력마저도 위조라며 논란의 불똥이 튀고 있어 타블로 측은 카페 운영진에 대해 법적 ...

  • 경제 기타

    갑작스러운 수능 개편···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하죠?

    2014년 수능,즉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능 시험부터 대입 제도가 다시 크게 개편된다. 2014년 수능에 응시하는 수험생들은 수능을 11월에 보름 간격으로 2번씩 보아야 하며 과목은 국어,영어,수학이 각각 현재 수능보다 쉬운 A형과 현재 수능 난이도 수준인 B형으로 나뉘며 사회탐구 과목은 총 11개 과목에서 지리,일반사회,한국사,세계사,경제,윤리 6개 과목으로 줄고 과학탐구 과목은 8과목에서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 경제 기타

    우리가 맛있게 먹는 참치가 멸종위기종이라고?

    최근 국제사회가 참치를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려고 해 화제다. 실제로 참치 어획량은 대서양에서 50년 전에 비해 74%가 줄었다. 이처럼 어획량이 감소했지만 시장에 가면 가공된 참치 통조림이 많이 보인다. 사실 참치는 황다랑어,눈다랑어 등 다양한 어종이 있다. 사람들은 흔히 참다랑어를 참치라고 부르는데 그 통조림은 우리가 알고 있는 참다랑어가 아니고 가다랑어,날개 다랑어를 쓰는 것이다. 참다랑어는 회로 쓰이는 참치 중에서 가장 고급 물고...

  • 경제 기타

    "리더(Leader)들 대부분은 리더(Reader)다"

    정보의 호수보다 정보의 바다라는 표현이 적합한 오늘날,정보의 바다를 헤엄치게 해줄 매체는 무엇일까? 자신있게 신문이라고 답하겠다. 신문이 여러 강대한 매체들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자리잡고 있는 데는 이유가 있다. '신문 읽는 기술'의 저자 박상하씨는 정보습득 매체 중 신문 만큼 유용한 매체는 없다고 했다. 인터넷은 속도가 대단히 빠른 매체임에 틀림없지만 인터넷의 정보 기능은 단지 정보습득에 편중돼 있고, 영상매체 또한 별반 다르지 않으...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75>

    최적의 선택 〔2010 이화여대 자연계 수시논술 中〕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6일자

    1. 적대적 인수 · 합병 기법으로 불특정 다수의 주주들로부터 장외에서 주식을 취득하는 방식은? 통상 경영권 획득이 목적이다. ①위임장 대결 ②그린메일 ③공개매수 ④시장매집 2.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비법정계량단위를 법정계량단위로 환산한 것 중 틀린 것은? ①1평=3.3㎡ ②1돈=3.25g ③1냥=37.5g ④1야드=0.9144m 3. 주택용,상업용 등의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채권을 증권화한 것은? ①모기지 증권 ②프로...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40)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커버스토리

    공직자의 조건, 도덕성이냐··· 전문성이냐···

    지난 한 주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이명박 대통령의 '8 · 8 개각'에 따른 인사청문회였다.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와 7명의 장관,경찰청장 · 국세청장 후보자는 국회에서 의원들의 날카로운 질문에 비지땀을 흘려야 했다. 인사청문회는 대통령이 지명하는 공직 후보자에 대해 국회가 그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하는 제도로 대통령제를 채택한 미국 필리핀 등 대부분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다. 한국이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한 것은 2000년이다. 지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