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스마트폰 보조금 규제해야 할까요
똑같은 스마트폰이라도 언제 어디서 이를 구입하는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는 것은 이제 거의 상식처럼 돼 버렸다. 정부의 보조금 규제를 피해 주말이나 새벽에 반짝 보조금을 지급했다가 주중이나 낮에는 다시 제값을 받는 변칙 영업 행태도 다반사다. 이 같은 차별적 보조금 지급 행위를 제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사에 대한 영업정지 정책에 이어 휴대폰 제조사의 보조금에도 규제를 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단말기 유...
-
경제 기타
도하개발어젠다 DDA, 12년만에 성과…멀고도 험한 자유무역의 길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9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 등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뤄졌다. 호베르토 아제베도 WTO 사무국장은 7일 “WTO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협정이 체결됐다”며 “전 세계가 다시 WTO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는 WTO 출범 이후 첫 무역협정으로 세계 무역 자유화를 위해 2001년 출범시킨 도하개발어젠다(DDA) 에서 12년 만에 나온 성과다. - 12월9일 한국경제신문 ...
-
역사 기타
돈 풀면 가난 해결?…인플레이션을 몰랐던 살라스의 착각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인타임 을 통해 본 '물가와 통화정책' 커피 한 잔에 4분. 버스비는 2시간. 스포츠카 한 대 59년. 2011년 개봉한 영화 '인타임'에서 시간은 곧 돈이다. 지폐와 동전이 모두 사라지고 시간만이 화폐가 된 세상. 사람들은 일해서 시간을 벌고 그 시간으로 밥도 먹고 물건도 산다. 주의할 점은 한 가지. 주어진 시간을 모두 다 쓰고 잔여시간이 0이 되는 순간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시간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하루를 버...
-
커버스토리
"테샛이 '경제 인재' 10만명 양성"…국가시험 재공인
테샛(TESAT)이 '국가공인 경제이해력시험'으로 재공인을 받았다. 2010년 국가공인 1호 경제시험으로 인정받은 지 3년 만이다. 정부가 재공인했다는 것은 테샛이 출제, 시행, 관리 등 종합적인 면에서 국가 자격시험에 준할 정도로 신뢰성 있게 운영되고 있다는 의미다. #국내 첫 경제지력 시험 테샛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경제시험이다. 2008년 하반기 “한국에도 국민의 경제지력을 높일 수 있는 시험이 필요하다”는 학계와 재계의 의견이...
-
커버스토리
주니어테샛 신뢰성 국가가 인정…高入 활용도 '껑충'
한국경제신문이 개발한 주니어 테샛(TESAT)은 초등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 경제이해력검증시험이다. 성인용 경제이해력검증시험인 테샛에 중학생들이 꾸준히 응시하는 것을 보고 2012년 2월 성인용과 차별화된 청소년시험으로 '주니어 테샛'을 만들었다. 성인용 테샛은 경제이론, 시사경제·경영, 상황추론판단 등 3개 영역에서 100분 동안 80문항, 주니어 테샛은 경제이론과 금융영역에서 모두 50문항을 60분 동안 풀어야 한다....
-
경제 기타
자유를 향한 '한 세기의 여정' 마침표…"굿바이 만델라"
95세를 일기로 서거한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추모식이 지난 10일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식에는 전 세계 정상 90여명이 참석해 '자유의 정신'을 떠나보냈다. 넬슨 만델라의 인생역정은 한편의 영화 같은 것이었다. 만델라는 1918년 7월 남아공 이스턴케이프주 음베조에서 템부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흑인들이 다닐 수 있는 대학이던 포트헤어대에서 법학을 전공하던 만델라는 1940년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주동해 대학...
-
경제 기타
한경 경제 캠프 접수 마감 …감사드립니다!
생글생글 가족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주에는 서울에도 제법 많은 눈이 오고 날씨도 더 추워졌습니다. 건강에 조심하시고 올해 마무리도 잘하시기 바랍니다. 고등학교는 기말고사가 이미 끝난 학교, 진행 중인 학교, 아직 시험을 기다리는 학교가 섞여 있습니다. 시험을 치른 학생들은 차분히 겨울방학 스케줄을 챙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주 생글통신은 제6회 한경 테샛 경제리더스캠프에 보내주신 성원에 감사하다는 말씀부터 드리고자 합니다. 명문대 진...
-
커버스토리
입법 독재의 함정…위기의 대의정치
대의민주주의(代議民主主義)는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를 통해 국가 정책을 결정하는 민주주의를 말한다. 국민들이 개별 정책에 대해 직접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간접민주주의라고도 한다. 직접민주주의는 물론 그 반대다. 간혹 직접민주주의가 간접민주주의보다 우월한 제도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으나 그렇지는 않다. 국가 정책이 국내외적으로 갈수록 복잡해지고, 고도의 판단을 요하는 시대에 국민이 매일 수많은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