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포퓰리즘 극복 여부가 국운 갈랐다

    기준금리 118%.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현재 3.5%인 것과 비교하면 엄청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죠. 바로 아르헨티나의 기준금리입니다. 현재 아르헨티나 국민은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한때 세계 5대 경제 대국이던 아르헨티나는 어쩌다 이러한 비극을 맞게 된 것일까요? 돈 풀기와 초인플레이션비극의 시작은 1940년대에 집권한 후안 도밍고 페론 대통령의 포퓰리즘 정책이었습니다. 외국자본을 쫓아내고 주요 산업을 국유화해 정부의 경제정책에 동원하고, 국민에게는 무상 복지 혜택으로 지지를 얻었지요. 하지만 이에 따른 재정적자 심화와 외환보유액 부족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여러 번 받은 아르헨티나지만 포퓰리즘에 벗어나기 쉽지 않았나 봅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집권한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 2019년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집권하자 다시 포퓰리즘 정책을 펼치기 시작합니다. 컴퓨터나 노트북 무상 지급, TV 축구 방송 중계료까지 지원하는 등 현금 살포성 복지정책에 국민은 취해갔지요. 하지만 정부는 돈 나갈 곳은 많아지고 세금 수입은 줄어 재정적자가 깊어졌습니다. 근로자의 15%만 소득세를 냈다고 하니 곳간이 채워질 수 없었겠지요. 결국 부족한 돈은 중앙은행을 동원해 마구마구 찍어냈습니다. 이렇게 풀린 돈이 현재의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돌아왔습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124.4% 올랐다고 합니다. 쉽게 말해 1년 전보다 제품값이 2배 이상 올랐다는 의미입니다. 가게의 주인들은 매번 가격표(사진)를 바꾸고 있다고 하지요. 그리스의 기지개한때 그리스도 포퓰리즘의 대표적 국가였지요. 1980년대 안드레아스 파

  • 정부 지출

    [문제1] 어떤 나라 국민의 한계소비성향이 0.8이라고 하자. 만약 이 나라가 완전고용을 달성하는 데 200만큼의 생산량 증대가 필요하다고 한다면 이 나라 정부는 완전고용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 지출을 얼마만큼 늘려야 하는가?(단, 정부 지출 때 구축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세금도 고려하지 않는다.) (1) 20 (2) 40 (3) 80 (4) 100 (5) 200 [해설] 재정의 승수효과는 정부가 재정 지출을 확대하면 총수요가 재정 지출 규모 이상으로 늘어나는 현상이다. 정부 지출 승수는 1÷(1-한계소비성향)으로 구한다. 승수 크기는 한계소비성향(MPC)에 따라 달라지며, MPC가 클수록 소비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승수도 커진다. MPC는 추가 수입이 있을 때 그 가운데 얼마만큼 소비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문제에서 MPC가 0.8이므로 정부 지출 승수는 1÷(1-0.8)=5다. 따라서 정부가 200만큼의 산출량 증대 효과가 필요한 경우 40만큼 지출을 늘리면 승수만큼(5배) 추가로 총수요가 늘어난다. 정답 ② [문제2] 정부가 재정적자를 확대하면서 지출을 늘리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물가가 하락한다. (2) 민간투자가 감소한다. (3) 자금시장에서 이자율이 상승한다. (4) 국채 시장에서 국채 가격이 하락한다. (5) 정부저축과 국민저축 감소를 가져온다. [해설] 정부가 쓰는 돈(정부 지출)은 국민에게 거둬들이는 세금에서 나온다. 따라서 정부 지출이 늘어나면 가계와 기업의 세금 부담이 커지고 소비 및 투자 여력은 줄어든다. 특히 정부가 세수(조세 수입)만으로 충분하지 않아 국채를 발행해 지출을 늘리면 시중의 여유자금이 줄어들어 자금시장에서 이자율이 상승해 민간의 투자와 소비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채가 추가로 발행되면

  • 테샛 공부합시다

    "금융권 취업때 테샛만한 실력입증 자료 없죠"

    “저는 심각한 금융문맹이었어요. 예금과 적금의 차이도 몰랐고, 체크카드를 중학교 3학년이 되어 처음 사용해봤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입학 후 은행 취업을 목표로 하는 저에게 형편없는 금융 지식은 큰 취약점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죠. 제가 경제·금융 지식이 없는데 어떻게 은행원이 되고,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해줄 수 있을지 생각만 해도 아찔했습니다. 그래서 경제·금융 지식을 쌓고 싶던 참에 테샛을 만나게 됐죠.” 테샛 82회 시험에서 고교생 개인 부문 대상을 차지한 장유리 학생(상지미래경영고 2학년·사진)은 테샛에 응시하게 된 동기를 이렇게 설명했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통한 자기주도적학습장유리 학생은 테샛을 독학으로 공부했다고 한다. “교내 정규 수업이 있지만, 경제의 기초적인 내용만 반복적으로 다루어, 심화학습을 위한 자기주도적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어요. 그래서 테샛 준비 기간에는 해당 과목 선생님의 허락을 받고 별도의 공간에서 자습했습니다.” 장유리 학생의 테샛 공부법은 경제가 어려워 혼자 공부하기 두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가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먼저 ’테샛 공부법‘ 교재를 토대로 경제이론의 기초를 다졌다. 미비한 점들은 유튜브 무료 강의나 시중에 판매하는 시사 교재를 통해 보충했고, 테샛 홈페이지에 있는 다양한 공부 자료를 활용했다. “개인적으로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테샛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하나씩 풀다 보니 자신감을 갖게 되었어요” 한국경제신문을 꾸준히 읽을 것도 추천했다. “기사에 언급된 시사 용어와 내용 등이 문제로 나오기도 해서 쉬는 시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개발도상국

    [문제] 아래에서 설명하는 경제용어의 영어 약자는? 대한민국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1987년 설립한 유상원조 정책 기금이다. 이 자금을 통해 개도국을 원조하면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를 높이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도 돕는다. 일본 등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기금을 운용한다. ① ETF ② SDR ③ CSR ④ OECD ⑤ EDCF [해설] EDCF는 대외경제협력기금으로 불리며 한국이 개발도상국의 산업 발전과 경제 안정을 지원하고 이들 국가와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1987년 설치한 유상원조 정책 기금이다. 한국의 경제 규모가 커지고 국제사회에서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 한국이 선진국으로부터 원조성 차관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로 개발도상국에 차관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SDR는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이다. OECD는 경제협력개발기구다. CSR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ETF는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한다. 정답 ⑤ [문제] A국에서 디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하자. 이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물가가 하락한다. ② 실업률이 상승한다. ③ 가계와 기업은 소비와 투자를 줄인다. ④ 중앙은행은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디플레이션에 대응한다. ⑤ 화폐를 보유한 사람이 실물자산을 보유한 사람보다 불리하다. [해설] 디플레이션이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이다. 디플레이션이 예상되면 가계는 현재 소비를 미래로 미루려는 유인이 생기면서 기업은 생산을 줄이고 투자 및 고용을 축소한다. 또한, 명목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실질이자율은 오히려 높아진다. 이에 따라 경제주체의 실질적인 채무부담이 증가해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위축된다. 디플

  • 국내총생산(GDP)

    [문제1] 한 휴대폰 회사가 2022년 1000대의 폴더블 휴대폰을 생산하여 한 대당 가격을 150만원으로 판매하였다. 그러나 2022년에 팔리지 않고 2023년 초에서야 모두 팔렸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과 2023년 국내총생산(GDP)의 변화로 알맞은 것은? [해설]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일정 기간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시장 가격으로 모두 합한 것이다. 그해 생산한 재화 중 판매되지 않은 재화일지라도 그해 GDP에 포함된다. 따라서 2022년 휴대폰이 생산됐지만 판매되지 않고 2023년에 판매됐더라도 그 가치는 2022년 GDP에 계산된다. 따라서 2022년 GDP는 15억원(1000대×150만원) 증가하지만, 2023년 GDP에는 변함이 없다. 정답 ② [문제2] 정부가 지출을 100만큼 증가시켰을 때 국내총생산(GDP)이 100보다 적게 증가했다. 그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을 모두 고르면? ㄱ. 국민 조세 부담의 증가 ㄴ.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 감소 ㄷ. 해외 소비자들의 소비 증가로 수출 증가 (1) ㄱ (2) ㄴ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해설] 국내총생산(GDP)은 Y=C+I+G+(X-M)으로 나타낼 수 있다. GDP(Y)는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 순수출(X-M)로 구성돼 있다. 정부지출을 100만큼 증가시켰지만, GDP가 100보다 적게 증가한 것은 소비, 투자, 순수출 항목이 감소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투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GDP가 정부지출이 증가한 것보다 적게 증가할 수 있다. 국민 조세 부담이 증가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감소해 가계는 소비를 줄인다. 따라서 GDP가 감소하는 요인이다. 수출이 증가하면 순수출이 증가해 오히려 GDP가 더 늘어난다. 정답 ③ [문제3] 국내총생산(GDP)에 포함되

  • 테샛 공부합시다

    환경쿠즈네츠곡선·골디락스 등 난도 높아

    테샛관리위원회는 지난 8월 시행한 테샛 82회·주니어 테샛 35회 성적 평가 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환율제도 관련 문제 까다로워이번 시험은 경제이론의 난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이론에서는 환율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항의 정답률이 40%대로 낮았다. ‘고정환율제도에서는 국제수지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조정된다’가 정답이다. 고정환율제도란 정부가 특정 통화에 대해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하는 제도다. 고정환율제에서는 일정 환율 수준을 유지하려면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이어야 하고 환율 변동이 낮으므로 국제 거래의 불확실성이 작다. 반면 고정환율제는 환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동환율제와 비교하면 만성적으로 국제수지 불균형이 나타난다. 경제 시사는 △기업 자금 조달 수단 △밀턴 프리드먼 △황제주 △골디락스 △북대서양조약기구와 마셜 플랜 등 문항의 정답률이 낮았다. 상황 판단은 환경쿠즈네츠곡선을 제시하고 1인당 소득수준이 전환점을 넘으면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고르는 문항의 정답률이 낮았다. 정답은 ‘배출권 거래제와 피구세’다. 배출권 거래제란 온실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 매년 배출할 수 있는 할당량을 부여해 남거나 부족한 배출량은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피구세란 환경오염과 같은 부정적 외부효과를 일으킨 주체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이는 해당 경제 주체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경제적 유인으로 작동한다.테샛 고교·주니어 테샛 개인 ‘대상’ 모두 S등급테샛 82회 고교 개인 1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수요의 가격탄력성

    [문제]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체재가 많은 재화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다. ②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0이면 수요곡선이 수직선 모양이다. ③ 탄력성을 측정하는 기간이 길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다. ④ 일반적으로 사치품은 생활필수품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다. 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이 재화에 대한 지출액은 감소한다. [해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무한대(완전탄력적)이면 수요곡선이 수평선, 0(완전비탄력적)이면 수직선 모양을 띤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가격 상승률보다 수요량 감소율이 더 높아서 해당 재화의 지출액은 감소한다. 대체재가 많은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대체할 수 있는 재화가 많으므로 해당 재화의 수요량은 크게 감소하므로 대체재가 많은 재화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다. 생활필수품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며, 사치품은 탄력적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측정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탄력적이다. 정답 ③ [문제]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가 언급한 저축의 역설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제가 불황일수록 저축보다 소비가 중요하다. ② 저축의 역설에 따르면 소비는 미덕, 저축은 악덕이다. ③ 개개인이 저축을 늘리려고 시도하면 사회 전체의 저축은 오히려 줄어든다. ④ 저축과 투자는 항상 일치하므로 저축의 증가는 투자와 소득의 증가로 이어진다. ⑤ 저축의 증가는 소비지출의 감소를 의미하고, 이는 총수요의 감소로 이어져

  • 기회비용

    [문제1] 아래 글을 읽고 미술관 관람에 따른 각 비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영이는 친구와 미술관에 가기로 했다. 미술관을 관람하는 동안 시간당 5000원인 아르바이트를 두 시간 못하게 돼 아쉽기도 했지만 오랜만에 친구와 시간을 보내기로 한 것이다. 미술관 관람권은 1만2000원인데 문화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어서 5000원권 문화상품권 한 장에 현금 7000원을 보태 관람권을 샀다. (1) 명시적 비용은 5000원이다. (2) 암묵적 비용은 5000원이다. (3) 미술관 관람에 대한 기회비용은 1만7000원이다. (4) 미술관 관람을 통해 얻은 효용은 2만2000원을 초과한다. (5) 미술관 관람을 선택해 포기한 대안의 가치는 한 시간 아르바이트 대가다. [해설] 경제적 선택에는 늘 대가가 따른다. 이때 어떤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여러 가지 대안 중 가장 가치가 큰 것을 기회비용이라 한다. 기회비용에는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이 있다. 명시적 비용은 내 주머니에서 직접 나간 돈, 회계장부에 기록되는 실제 쓰인 돈을 뜻한다. 암묵적 비용은 실제 지급한 비용이 아니더라도 어떤 선택으로 인해 다른 선택을 포기한 대가를 의미한다. 문제에서 명시적 비용은 미술관 관람료 1만2000원이다. 암묵적 비용은 미술관을 관람하느라 아르바이트를 못해 포기한 1만원이 된다. 기회비용은 2만2000원으로 기회비용보다 미술관 관람의 효용이 커서 아르바이트를 포기하고 미술관 관람을 선택한 것이다. 정답 ④ [문제2] A국의 올해 지니계수가 지난해보다 낮아졌다고 할 때, 이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올해 노동생산성이 하락했다. (2)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작년보다 훨씬 커졌다. (3) 올해 A국의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높아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