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증 도식화

    아래의 예시된 도식을 응용해서 주어진 글에서 드러나는 논증을 도식화해 보자. <예시>①모든 사람은 죽는다 ②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③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답] ①+②→③ ①우리가 첫눈에 사랑하게 된 사람들은 우리 머릿속에서 작곡된 심포니처럼 멋지다. ②하지만 사랑하는 여자를 더 잘 알게 되었을 때 느끼는 당혹감은 머릿속에서 작곡한 놀라운 심포니를 나중에 대편성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소리로 들었을 때의 느낌과 같다. 우...

  • 학습 길잡이 기타

    제13회 논제 : 선비정신은 우리 시대의 지도적 이념이 될 수 있는가

    제13회 '실전! 글쓰기'에서는 울산 현대청운고 2학년 송근 학생의 글이 최우수작으로 선정됐습니다. 최우수작과 우수작으로 선정된 학생들께 축하드립니다. 13회 글쓰기에는 추석과 중간고사,그리고 수능시험이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탓인지 참여자가 많지 않았으나 참여한 학생들의 글 수준이 높았다는 담당 선생님의 평가가 있었습니다. 논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 여러분의 꾸준한 참여 기대합니다. 모든 학생들의 글에 대한 첨삭 전문은 '생글생...

  • 학습 길잡이 기타

    염치불구 부탁하면 안된다

    우리말의 여러 유형 중에는 한자어에서 유래해 고유어처럼 변한 말들이 꽤 많다. 물론 반대로 고유어를 한자로 나타낸 말도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말하는 '염치가 없다' 할 때의 한자어 염치(廉恥)도 여러 변형된 말을 만들어 냈다. 예부터 우리네 조상들은 이 염치를 중요시했다. '염치'란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를 뜻하는 말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이 염치를 조금 가볍고 편하게 말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어형을 살짝 ...

  • 교양 기타

    (14) 대학(大學)

    1700여 글자 수밖에 안 되는 '고전 중의 고전'이 있다. 무엇이냐고? 『대학』이다. 기독교인에게 하느님 말씀이 있고 불자에게는 부처님 말씀이 있는 것처럼 유학자에게는 공자의 가르침이 있다. 유학의 핵심적인 경전은 사서(四書)로 알려져 있는 『대학』,『논어』,『맹자』,『중용』이다. 흘러간 옛날 책이라고? 천만에. 중국의 현대사상가인 리쩌허우는 자신과 함께 오늘을 살아가는 중국인들의 문화심리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정신유산인 ...

  • 진학 길잡이 기타

    연세대 의예과 희망 … 점수 부족하면 공대 진학도 고려

    의예과는 좀 힘들지만 공대는 가능성 … 마무리 학습 수리ㆍ외국어영역에 집중 Q .경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3학년 김반열입니다. 연세대 의예과 진학을 희망하지만 점수가 부족하다면 공과대 진학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6월 시험에 비해 9월 평가원 모의 수능시험 성적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목표 대학 진학이 힘들 경우 재수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능 성적을 올릴 수 있을지, 과연 의대 진학이 가능한지 의구심이 듭니다. 현재는 마...

  • 학습 길잡이 기타

    6. 태(Voice) ② 여러 형태의 수동태

    'be + p.p.' 기본형에서 다양하게 변형돼!! 수동태의 기본 동사형이 'be+p.p.'라는 것은 이미 지난회에서 살펴보았다. 오늘은 'be+p.p.'라는 기본에서 변형된 다양한 형태의 수동태 문장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1. 진행형 수동태 (be동사+being+p.p.) 수동태 문장에서도 진행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진행형 수동태는 수동태의 기본형인 'be+p.p.' 사이에 'being'을 넣은 형태이다. The news is bei...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유명한 삼단 논증의 예입니다. ① A. 모든 사람은 죽는다. B.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C.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도 죽는다. ② A. 모든 고양이는 다리가 4개 있다. B. 나는 다리가 4개이다. C. 그러므로 나는 고양이다. ①의 논증에 여러분은 동의하나요? 물론 동의하겠죠.그렇다면 ②의 논증은 어떤가요? 뭔가 이상하죠? 그렇다면 무엇이 이상한지 한 번 생각해보세요. ①과 같은 형식인데,②는 이상하게도 결론이 틀렸죠? ①과 무엇...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3) 늘어나고 줄어드는 철로(鐵路)?

    지구 역사상의 첫 철로는 1825년 영국에서 만들어졌고 이후 제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대량 생산이 이루어진다. 미국에서 철로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은 1865년이며 우리나라는 1899년 경인선의 개통으로 철도 시대를 맞이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직선으로 이어진 철로를 생각해보자.여러분도 알고 있듯이 금속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기도 하고 수축하기도 한다. 그럼 우리나라의 지면 온도가 영하 10℃에서 영상 38℃까지 변한다고 할 때,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