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리더가 세상을 바꾸나 세상이 리더를 만드나

    '젊은 알렉산더는 인도를 정복했다. 그가 혼자서 해냈을까?' (B 브레히트, '어떤 책 읽는 노동자의 의문' 중에서) 역사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굴러왔음에도 역사책에는 위인들의 이름만 기록돼 있다고 한탄하는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1898~1956)의 질문에 대답해보자. 물론 혼자 해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굳이 따지자면 자신의 측근과 수많은 병사는 물론 전속 요리사와 페르시아 원정에서 잡은 노예들과 '함께' 인도를 정복했을 것이...

  • 경제 기타

    미국 명문대 입학경쟁률 사상 최고

    올해 하버드대학 지원자의 9%만 입학 허가…유학생 할당 정원도 줄어들듯 하버드 다트머스 등 아이비리그(Ivy league) 대학을 비롯한 미국 명문대의 입학 경쟁률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학생들의 명문대 입학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 "올해 미국의 아이비리그대학과 명문 단과대학의 합격률이 예년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하버드대학의 경우 지원자 2...

  • 경제 기타

    미 달러화 10~20% 떨어져야 外

    ◎ 미 달러화 10~20% 떨어져야 국제 무역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미 달러화 가치를 현재보다 10-20% 가량 떨어트리고(절하)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가치는 25-30% 정도 높여야(절상) 한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권고했다. 그러나 한국 원화는 충분히 올랐기 때문에 추가 절상이 필요없다고 밝혔다. IMF는 3월 27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심각한 경상적자와 아시아및 산유국들의 대규모 흑자로 야기된 글로벌 불균형 시정이 시급하...

  • 경제 기타

    3不 정책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3불(不) 정책은 대학의 발전을 막는 암초다."(서울대 장기발전위원회) "학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사회적인 규약이 3불 정책이다."(교육인적자원부) '3불 정책'을 놓고 온 나라가 시끄럽다. 대학과 교육부 간에 시작된 '3불 정책 논란'은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권과 시민단체 학부모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선 후보들이 3불 정책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연말 대통령 선거의 결과가 달...

  • 커버스토리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주몽과 함께 부여를 떠난 무리들 그들은 왜? 공동의 목표를 함께 달성하는 힘 가정해보자. 당신은 부여의 주몽왕자다. 지금 당신은 당신을 시기해 죽이려 드는 대소왕자 등 다른 일곱 형제와 신하들을 피해 부여를 벗어나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려 한다. 무엇이 필요할까? 새로운 땅에서 백성들을 모아 나라 살림을 꾸릴 행정능력, 한나라와 부여 군대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력, 그리고 이들을 위해 강철로 만든 무기를 제작해 줄 기술 등이 있어야 할 것이...

  • 커버스토리

    리더십으로 달라지는 세상

    리더십은 종종 기적을 창조한다. 침체된 조직을 바꾸고 도약의 계기를 마련한 리더십의 내용과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자. ◆비젼 제시型 셰이크 모하메드 (두바이 국왕) 석유 아닌 국부 원천 찾아라 국민에게 혁신의 방향 제시 *리더십을 발휘한 조직 =아랍에미리트를 구성�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는 7개의 토호국 중 하나인 두바이. 제주도의 2배 정도 면적에 90%가 모래인 나라. 셰이크 모하메드는 이 나라의 국왕. *문제 진단 =두바이 ...

  • 경제 기타

    유튜브 게 섰거라…트위터 인기

    새로운 '소셜 네트워킹' 공간…차세대 '대박' 서비스 “엄마(힐러리)한테 말하면 안돼요. 난 아무래도 오바마를 찍을 것 같아요. (Don't tell my MOMMA(Hillary), I just might vote for OBAMA)” 친구는 물론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일상생활을 놓고 수다를 떨 수 있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킹 공간 트위터(twitter.com)에 지난달 22일 재밌는 글 하나가 올랐다. 글을 작성한 사람은 ...

  • 과학 기타

    늑대 복제 세계 첫 성공‥서울대 이병천 교수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 사건으로 한동안 침체돼 있던 한국 생명공학계에 오랜만에 희소식이 떴다.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늑대를 복제한 것.세계 최초의 복제 개 '스너피(Snuppy)' 탄생에 이은 국내 과학계의 동물복제 분야 두번째 쾌거다. 이번 늑대 복제는 한국의 동물복제 기술이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에 있음을 증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개 늑대 등 개과 동물을 복제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그동안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