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부산대 2007학년도 모의논술 해설

    어! 논술의 문제점을 논술하라고? 틀에 박힌 글쓰기 안돼 이번에는 부산대에서 실시한 모의 논술을 보자. 부산대의 통합교과형 모의 논술은 몇 회에 걸쳐서 진행되었는데, 이 중에서 최근에 치른 두 가지만 살펴보자고. ◆제7회 논제 해설 제7회 모의논술 문제를 먼저 보자. 우선 논제를 보면 "주어진 제시문의 논리에 따라 현행 논술 글쓰기 교육의 문제를 논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되, 그 한계점을 지적해 보시오"라고 되어 있어. 논술 글쓰기 교육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부산대 2007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인문)

    [제6회 모의논술] 【 문제】다음 글 (가)에서는 '민족'에 대한 주관적 관점과 객관적 관점을 소개하고 있다. 이 두 관점의 타당성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밝히시오.그런 다음,(나)∼(마)의 사례가 지니는 문제점을 진단하고,이를 일반화하여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단일민족의식을 어떻게 볼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가) 민족이란 의미 있는 유대와 이익을 공유하면서 깊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스스로...

  • 진학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전형 및 지원전략 분석 ⑤ 서강대

    서강대 기존 틀 유지 … 학교생활 우수자·국제화 전형 신설 수시모집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수시 2-2에서만 적용 서강대가 2008학년도 대입 전형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면서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은 기존 전형의 틀을 가급적 유지하면서 우수한 학생을 모집할 수 있도록 전형의 다양화를 꾀한 점이다. 수시에서 학교생활우수자 전형과 알바트로스 국제화 특별전형이 신설된 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2007학년도와 유사하다. ◆학생부·면접으로 선발하는 학교...

  • 학습 길잡이 기타

    제23회 논제 : '인간과 사회의 관계'

    지금까지 '실전! 글쓰기'에 보내주신 여러분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23회를 마지막으로 '실전! 글쓰기'는 막을 내리고,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 ▶학생 글 : 이가인(대구외고 3학년) <문제1> 네 개의 제시문을 통해 ①인간과 사회의 관계맺음에 있어서 인간의 수동...

  • 학습 길잡이 기타

    27. 준동사(Verbals) ⑥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들 문제 풀면서 '쏙쏙' ♣준동사 실전 문제 준동사 관련 문제들을 풀어보며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들을 총점검해 보도록 하자. 1.다음 빈 칸에 가장 적절한 것을 골라라. ______________ the future would be like driving a car without looking through the windshield. ①No predicting ②Predicting not ③Not predicti...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3월 19일자

    1. 정부 부처가 대통령 임기 말을 틈타 자릿수 늘리기 경쟁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다음 법칙 중 이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①파레토 최적 ②파킨슨 법칙 ③베블런 효과 ④규모의 경제 2. 다음 중 공정거래위원회가 실시하고 있는 자진신고 감면 제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단어는? ①죄수의 딜레마 ②제로섬 게임 ③시너지 효과 ④게임 이론 3.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미국 내 사업장 확장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로비 회사가 몰...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3) 아래 우화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이제 생글생글을 휴대폰으로도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를 통해 실력을 겨뤄보세요. [문제] 아래 우화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시고 300자 이내로 적어보세요. 잔뜩 굶주린 여우 한 마리가 먹을 것을 찾아서 숲 속을 이리저리 돌아다녔습니다. 그러다가 여우는 향기로운 냄새를 맡게 되었습니다. 서둘러 냄새가 나는 곳으로 달려갔더니 아주 먹음직스러운 포도가 덩굴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습니다. 보기만 해도 저절로 침...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3) 행렬로 떠나는 여행

    행렬을 이용하여 수학의 세계를 여행해 봅시다. 그곳은 좌표가 (0, 0) (1, 0) (2,0 ) (0, 1) (1, 1) (2, 1) (0, 2) (1, 2) (2, 2)인 아홉 개의 점만 존재하는 2차원의 세계이며, 오직 행렬을 이용하여 점 (1, 0)에서 시작해서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옮겨 다닐 수 있습니다. 이때 연산은 3진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행렬 은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 즉 (1, 0)을 (1, 2)로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