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조선의 애덤 스미스 '상공업 국부론' 주장한 박제가
조선 북학파로 분류되는 초정 박제가(1750~1805)는 영국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1723~1790)를 여러 모로 닮았다. 각자 지구 반대편에서 거의 동시대를 살았을 뿐 아니라 주요 저작 발표 시기도 비슷했다. 스미스가 ‘국부론’을 1776년 펴냈고, 박제가는 ‘북학의’를 1778년 세상에 내놨다. 북학의는 박제가가 당시 선진 문물인 청나라 건륭제 시대를 보고 ‘가난하고 뒤떨어진 조선이 무...
-
커버스토리
부채비율·영업이익률…기업 건전성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들
기업의 재무건전성은 기업체질이 얼마나 건강한가를 측정하는 지표다. 재무건전성은 기업이 미래의 환경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할지를 판단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주식 투자자들에게 재무건전성은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필수항목이다. 재무건전성은 주로 △유동성△수익성△안정성△활동성△성장성 등을 재무제표에 의한 계량적 분석을 통해 비율을 산출하고 동종업계 평균비율과 비교해 평가한다. 부채비율은 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
커버스토리
한국 기업이 '흔들린다'
한국 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전통적 굴뚝산업은 ‘중국 공포증’에 시달리고, 엔저(低) 날개를 단 일본 기업들은 ‘잃어버린 20년’이라는 긴 터널에서 벗어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양적 완화 정책 종료를 공식 선언하면서 미국으로의 수출 여건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의 간판급 기업인 현대중공업은 올 들어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고, 삼성전자 역시 스마트폰의 성장모멘텀이 크게 둔화되고 있다는...
-
경제 기타
맨땅헤딩 '강남스타일' 날고…정부 육성 '녹색산업' 기고
정부는 한식세계화를 추진하면서 된장과 간장, 소금 등을 한류 상품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농식품 무역적자는 2010년 199억달러에서 2012년 254억달러로 오히려 늘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2년 결산분석 보고서에서 “농식품 수출을 이끈 것은 담배와 주류, 과자 등으로 한식세계화 사업 성과로 보기 힘들다”고 평가했다. 음식 한류의 주역은 지치지 않는 근성으로 해외시장 문을 두드려 스타 상품을 키워낸 식...
-
교양 기타
싱아와 은방울꽃이 아름다운 고향 '박적골'…우리가 부수고 나와야 할 '옛 질서'로 그려
사실 성장소설만한 읽을거리도 흔치 않다. 성장소설이란 주인공이 어린 시절에서 청년 시절에 이르기까지 정신적·육체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보통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헤세의 《데미안》 등이 명작으로 꼽힌다. 하지만 나는 몇 해 전 작고한 소설가 박완서 선생의 성장소설 2부작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이하 싱아), 《그 산이 거기 정말 있었을까》(이하 그 산)를 우리 시대 명작 성장소설로 추천한다...
-
경제 기타
SNU 멘토링…서울대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 등
SNU 멘토링…서울대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 지난 8일 서울대에서 ‘SNU 멘토링 2014-2 서울대 탐방’이 열렸다. 120명(서울대 멘토 30명, 중·고등학생 멘티 60명, 멘티 인솔자 30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서울대 탐방은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 ‘SNU멘토링’에 참여하고 있는 멘토-멘티들이 오프라인에서 보다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보다 친밀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
-
경제 기타
'헝거게임'을 읽고…'1984'의 빅브러더 재현 등
'헝거게임'을 읽고…'1984'의 빅브러더 재현 최근 개봉된 ‘헝거게임: 모킹제이’는 원작 ‘헝거게임’ 시리즈를 영화화했다. ‘헝거게임’은 가상의 대륙인 판엠에서 독재자가 자신의 지배력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12개의 도시를 지속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도입된 게임이다. 1년에 한 번씩 12개 구역에서는 남녀 각각 1명씩이 조공인으로 뽑혀 서...
-
경제 기타
법인세는 올려야 할까요?
여야 정치권에서 법인세 인상 여부에 대한 찬반 논란이 한창이다. 무상복지 시리즈의 후폭풍으로 재원이 곤궁해진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복지 디폴트를 선언하고 나서자 부족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법인세를 올려야 할지 여부가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다. 법인세를 올릴 경우 세수가 늘어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만큼 기업 부담이 늘어난다. 기업 부담 증가는 기업 수익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세수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여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