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시장경제 법·제도 뒷받침 돼야 지속적 성장 가능
저축과 투자의 부족으로 저성장에 빠졌다면 저축과 투자를 늘리는 게 해법이다. 이게 어렵다면 국가는 또 다른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 저축과 투자가 높은 수준에서도 저성장이 나타났다면 극복하기 힘들다. 저축과 투자를 늘리는 것만으론 경제를 지속해서 성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번 주에는 저축과 투자 외에 어떤 성장정책이 있는지 살펴보겠다. 해외자본과 경제성장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먼저 해외의 자본유입을 들 수 있다. 저축만...
-
숫자로 읽는 세상
연세대, 8일 논술시험 한 번 더 본다
2025학년도 수시 자연계열 논술 전형에서 ‘문제 유출’ 논란을 겪은 연세대가 다음 달 8일 추가 시험(2차 시험)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지난 10월 치러진 1차 시험 합격자 261명을 그대로 뽑되, 2차 시험에서 같은 인원을 추가로 선발한다는 계획이다. 연세대는 27일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다음 달 8일 치러지는 2차 시험엔 1차 시험 응시자 전원이 응시할 수 있다. 1차 시험 합격자는 예정대로 26...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기능론 vs 갈등론…사회 보는 관점 따라 갈려
차별과 갈등은 사회현상의 한 종류입니다. 이러한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사회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다는 관점이 존재합니다. 이를 기능론이라고 하지요. 유기체(생명체)의 내부에 있는 모든 요소는 기능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생명체를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데, 사회를 이와 같다고 생각하는 관점이기 때문입니다. 사회의 다양한 부분이 사회 전체의 존속과 통합을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각 부분의 조화와...
-
키워드 시사경제
○○그룹이 돈 없다고?…주가 뒤흔든 '지라시'
“롯데그룹이 12월 초 모라토리엄(지급유예)을 선언하고 전체 직원을 50% 이상 감원할 것이다.” 지난달 18일 이런 내용의 ‘유동성 위기설’이 소셜미디어로 퍼지자 롯데지주(-6.59%), 롯데케미칼(-10.22%), 롯데쇼핑(-6.6%) 등 롯데그룹 계열사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다. 롯데는 사흘 뒤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며 그룹의 자금 사정을 속속들이 밝힌 설명 자료를 언론에 ...
-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 시절의 작은 경험도 미래엔 큰 자산
수능을 치른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지금쯤 정시 지원을 준비하며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여러분의 미래를 결정지을 수도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각을 좀 달리하면 수험 생활 내내 맛볼 수 없었던 약간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단지 대학입시라는 좁은 틀을 넘어 보다 넓은 시각에서 자신의 미래를 생각해볼 기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고등학생 시절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캠페인 영상을 제작한...
-
생글기자
체코와 원전 협력, 산업·경제 전 분야로 확대해야
최근 한국이 24조원 규모의 체코 원자력발전소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지난달에는 원전 건설 사업을 발주한 체코 신규 원전 협상단이 2주간 한국을 방문해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울산 새울 원전,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 등을 둘러보고 한수원과 협상한 후 돌아갔다. 체코는 원전 건설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원전 건설과 운영에 풍부한 경험을 ...
-
테샛으로 수능 경제 정복
제873호 생글생글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 문제를 분석했다. 이번 수능 경제 과목에선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국가 공인 경제이해력 시험 테샛 기출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수능 경제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테샛 기출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풀이 방법을 설명했다. 대입 전략에서는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의과대학과 주요 대학의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했다. 주요 10개 대학의 지원 가능 점수대는 인문계 245점,...
-
커버스토리
'수능 경제' 어렵다고?…테샛이면 정복 가능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작년보다 쉬웠다고 하지만, 탐구영역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회탐구의 경우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이 어렵게 출제됐는데요, 이들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경제’보다 높게 나올 수 있다는군요. 과학을 피해 사회탐구를 선택한 이공계 지망 학생들이 적잖이 당황했다는 후문입니다. 그렇다면 일정한 변별력을 매년 보여주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