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교양 기타
문방구가 점점 줄어드는 이유
주니어 생글생글 제119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우리 동네 문방구가 문 닫은 이유’입니다. 문구점뿐만이 아닙니다. 모든 산업과 기업은 시대 변화에 따라 부침을 겪습니다. 한때 번성했던 산업이 쇠락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요인들이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아프리카에 맞는 옥수수 품종을 개발해 많은 사람을 굶주림에서 구한 ‘옥수수 박사’ 김순권 한동대 석좌교수의 ...
-
키워드 시사경제
계속 연장되는 '한시 인하'…이번이 열 번째
지난 6월 말 종료될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오는 8월 말까지로 두 달 더 연장됐다. 다만 인하 폭이 기존보다 축소되면서 운전자들의 부담은 다소 무거워졌다. 1일부터 휘발유의 유류세 인하율은 25%에서 20%로, 경유는 37%에서 30%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내는 휘발유 유류세는 L당 615원에서 656원으로, 경유는 L당 369원에서 407원으로 늘어난다. 하루 40km를 주행하는 휘발유차 운전자의 부담은 월 4920원 정도 ...
-
숫자로 읽는 세상
충청권 전학 간 초등생, 비수도권 중 가장 많아
지난해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서울 강남구였다. 대구 수성구, 대전 유성구 등 ‘교육특구’로 불리는 지역도 초등학생 유입이 많았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충청권에서만 유일하게 초등학생이 늘어났다. 앞으로 의대 지역인재전형이 확대되면 지역으로의 이동이 더 많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3일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전국 6299개 초등학교 전·출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
-
교양 기타
될성부른 나무는 '부름켜'부터 다르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무 나무보다 아름다운 시를 내 다시 보지 못하리. 허기진 입을 대지의 달콤한 젖가슴 깊숙이 묻고 있는 나무 온종일 앞에 덮인 두 팔을 들어 올린 채 하늘을 바라보며 서 있는 나무 그 가슴에 눈이 내리면 쉬었다 가게 하고 비가 오면 다정히 말을 건네주는 나무 시는 나 같은 바보들이 만들지만 나무는 하나님만이 만들 수 있다네 * 조이스 킬머(1886~1918): 미국 시인 나뭇가지는 하늘을 향한 고성능 안테나다. 두 팔을 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烏之雌雄 (오지자웅)
▶한자풀이 烏: 까마귀 오 之: 갈 지 雌: 암컷 자 雄: 수컷 웅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 것처럼 시비나 선악을 가리기가 어려움을 이름 -<시경> <시경(詩經)>은 춘추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엮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이다. 공자가 311편을 간추려 정리한 것으로 전해진다. ‘소아(小雅)·정월’ 편은 모두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인배들에 의한 정치적 ...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배제성과 경합성
[문제] 배제성과 경합성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재산권이 있는 재화는 배제성이 있다. ② 공유지의 비극은 재화가 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③ 누군가 재화를 소비할 때 다른 사람이 해당 재화를 소비할 수 없다면 경합성이 있다. ④ 재화 사용에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소비를 막을 수 있다면 배제성이 있다. ⑤ 지식재산권은 배제성이 없는 새로운 지식, 기술 등에 인위적으로 배제...
-
숫자로 읽는 세상
다시 '달러의 독주'…엔화 구매력 사상 최저
미국이 고금리 기조를 지속하는 와중에 다른 주요 국가들이 먼저 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달러가 더욱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일러야 오는 9월에나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돼 ‘달러화 독주’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일(현지 시간) 블룸버그달러현물지수는 이날 0.2% 오른 1267.71에 마감했다. 이 지수는 5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블룸버그달...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툭하면 '헬조선', 한국은 양극화 심화 사회인가
한국 사회를 비하하는 말 가운데 ‘헬조선’이 있다. 선거철이 되면 이런 구호를 외치는 정치꾼이 많다. 경제적 성장과 정치적 민주화를 단기간에 함께 이룬 사실은 애써 외면하면서 격차 문제만 부각하는 자조적 주장이다. 헬조선, 양극화 논리 등으로 한국을 깎아내리는 선동은 학계에서도 적지 않다. 일부 언론도 이런 주장에 가세하면서 비슷한 논리를 펴고, 그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기획물을 쏟아낸다. 사회단체 중에서도 객관적 통계나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