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한양대 수시 경쟁률 31대1
한양대(총장 이영무)는 2016학년도 대입전형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했다. 논술전형에서 일정 등급 이상이어야 응시할 수 있는 ‘수능등급 최저’ 기준을 없앴다. 한 발 더 나아가 논술고사를 수능 이후에 실시하기로 했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대입전형을 수험생 위주로 간소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변화 덕분인지 최근 끝난 한양대 수시원서 접수에 수험생들이 몰렸다. 경쟁률이 지난해의 24.5 대 1보다 훨씬 높은 31.56 대 1...
-
경제 기타
SKY 멘토 총출동 "한경 경제캠프에서 만나요"
서울대 경제학부 조성혜 남한규, 서울대 산업공학과 김호기, 연세대 경제학과 고주환, 연세대 언론정보영상학과 이지현, 고려대 경영학과 박지윤 윤동해. 오는 10월24일 고려대 경영대 현대자동차관에서 열리는 제15회 한경 고교 경제리더스 캠프와 제4회 한경 중학생 경제리더스 캠프에서 멘토로 활약할 ‘SKY’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한경 캠프에서 멘토로 활약한 적이 있는 유경험자들이다. 조성혜 남한규 멘토는 “고3 생...
-
커버스토리
대학별 논술 모의고사 분석해보니 제시문 쉬웠지만 창의성 요구로 변별력 높였다
논술은 대학별로 특징이 다 다르다. 최근 대학별 모의고사에서 나타난 경향을 중심으로 10개 대학을 소개한다. 공통점은 교과서에 나오는 주요 내용의 키워드를 담고 있다는 점이다. 모의고사를 공개한 대학을 중심으로 분석해봤다. ▷고려대 이전과 달리 2016학년도 모의고사에선 견해의 자유로움과 창의성을 강조했다. 학교의 표현대로라면 ‘이전의 유형에서 완성된 요리가 제공되었다면 새 유형에서는 요리의 재료가 제공되는 격’이다. ...
-
커버스토리
유럽난민·동성결혼 등 시사문제 정리하자
논술문제가 교과서 범위를 벗어나선 안된다는 게 정부 방침인 점을 감안하면 시사 문제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국내외에서 벌어지는 문제는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과 사실상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최근 발생한 시사이슈를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위주로 정리해 본다. ▷유럽난민: 시리아 아프카니스탄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발생한 난민들이 유럽연합(EU)으로 몰려가고 있다. 전쟁과 종교분쟁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잘 사는 유럽 국가들이 받아들여야 하는지가 논란이다...
-
커버스토리
대학별 논술 잘 치려면 논제를 충분히 분석하고, 두괄식으로 간결하게 작성하라
대입 논술을 잘 치려면 가장 먼저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많은 학생들이 제시문을 보고 겁을 먹는다. 하지만 대입 논술은 문제와 제시문이 다 나와 있는 시험이다. 방법만 터득하면 어렵지 않게 대응할 수 있다. 합격 5계, 불합격 5계를 정리해봤다. ‘논술 이렇게 하면 붙고, 저렇게 하면 떨어진다’다. 수 년간 논술을 가르치고 대입논술을 분석해온 이지나 S논술 대표강사가 정리했다. ◆이렇게 하면 합격한다 Ⅰ.논제를 열 번 ...
-
경제 기타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로 한단계 올려…일본보다 높아진 국가신용 등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로 한단계 올려…일본보다 높아진 국가신용 ◆국가신용등급 국제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3년 만에 ‘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 처음으로 무디스와 피치 S&P 등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부터 모두 ‘AA-’ 등급을 받게 됐다. ...
-
교양 기타
동감·교환이 작동하는 시장·분업이 부의 원천
사회는 어떻게 번영하는가. 그 이유는 간단하다. 부는 인간을 기쁘게 하고, 빈곤은 인간을 슬프게 하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어찌 부정할 수 있겠는가. 부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그에 대한 인간들의 칭찬과 선망 때문이다. 가난은 가난 자체가 아니라 그에 대한 사회적 멸시가 인간을 비참하게 만든다. 사회적 멸시는 아무리 현명한 사람도 감당할 수 없는 고통이다. 바로 이런 것들이 앞서 설명한 사회적 동감의 작용이다. 그런데 인간은 어리석은 ...
-
경제 기타
전업주부 어린이집 이용제한 타당할까요
내년 7월부터 0~2세 영아를 둔 전업주부 가정은 어린이집 무상보육 지원 시간이 원칙적으로 하루 6~8시간으로 제한된다. 종일반을 이용하려면 취업·구직 등의 증빙서류를 내서 인정받아야 한다. 지금은 모든 영아에 대해 하루 12시간 보육 지원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무상보육과 관련, “필요한 사람한테 필요한 만큼 서비스를 제공해 제도를 합리화하는 것”이라고 개편 취지를 밝혔다. 하지만 이는 지난 1월 문형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