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 역사에서 물물교환은 20세기까지

    인류가 창안해 낸 경제적 발명품 중에서 우리의 삶을 가장 편리하게 해 준 것은 단연 화폐일 것이다. 편의점에서 생수 한 병을 사거나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려 할 때 지불 수단인 화폐가 없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떠올려 보면 화폐가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유용성이 얼마나 큰지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가 화폐라는 개념을 창안하기 이전에는 물물교환을 통해 주로 거래를 수행했다. 물물교환이란 돈으로 매매하지 않고 직접 물건과 물건을 바꾸는 거래...

  • 역사 기타

    안중근,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 총격 사살…일본, 1910년 8월22일 대한제국 강제 합병

    헤이그 밀사 사건을 빌미로 일본은 고종을 황제의 자리에서 끌어내렸습니다. 그리고 황태자였던 순종을 황제로 만들었지요. 하지만 일본은 여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었습니다. 대한제국이 완전히 자신들의 독차지가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대한제국 황제가 언제 다시 다른 나라에 도움을 요청해 일본의 손아귀에서 빠져나갈지 알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일본은 헤이그 밀사 사건이 있었던 1907년부터 대한제국을 어떻게 차지할 것인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궁리하기 시...

  • 커버스토리

    재닛 옐런 "미국 기준금리 동결" 등

    재닛 옐런 "미국 기준금리 동결" 재닛 옐런은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다. Fed는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다. 지난주 옐런의 입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까’ 해서다. 옐런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연 뒤 금리(연 0.25~0.50%) 동결을 발표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미국은 물론 세계 경제가 요동친다. 지금 미국 경제는 완만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

  • 경제 기타

    재미있게 쓴 '철학 읽는 법' 한경BP 출간

    ‘서양 사상을 줄줄 꿰고 싶다.’ 학생이라면 한 번쯤 가져봤을 꿈이다. 서양 사상사에 등장하는 철학자의 이름을 듣는 순간, 철학자가 주창한 주의주장의 핵심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한국경제신문의 자회사인 한경BP가 발간한 ‘철학 읽는 법’은 이런 꿈에 응답하는 책이다. “당신도 1분 안에 데카르트를, 3분 안에 서양철학을 설명할 수 있다”고 감히 선언한 책이다...

  • 커버스토리

    자동차가 지게꾼 일자리를 없앴다고?

    “과거를 돌아보면 오직 좋아진 것밖에 없는 지금, 미래를 내다볼 때는 오직 나빠지기만 할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니, 도대체 무슨 그런 신념이 있는가.” 19세기 지성 토머스 배빙턴 매콜리(1800~1859)는 ‘사회에 관한 대화’(로버트 사우디)를 읽고 이렇게 썼다. 산업혁명기 공장에서 나오는 검은 연기를 보며 우울해했던 당대 식자층을 매콜리는 이 한마디로 꾸짖었다. 런던 공기가 더러워지긴 했지만, 절대...

  • 커버스토리

    아이작 아시모프가 쓴 로봇 과학소설 읽어볼까

    아이작 아시모프는 인공지능 로봇을 주제로 한 과학소설을 많이 썼다. 《강철도시》, 《벌거벗은 태양》, 《여명의 로봇》, 《로봇과 제국》, 《나·로봇》, 《파운데이션》이 그의 대표작이다. 《강철도시》는 미국 뉴욕의 먼 미래를 무대로 한다. 주인공은 형사 라이지 베일리와 동료 로봇형사 대닐 올리보다. 인간과 로봇형사의 콤비가 재미있다. 인공지능 소설을 많이 쓰면서 아시모프는 ‘로봇공학의 세 법칙’이라는 것을 상상해...

  • 역사 기타

    공포 분위기 속 을사늑약 강제 체결…고종, 조약무효 알리려 밀사 파견

    을사늑약 근거로 일본 침략 1905년 11월17일, 일본은 한일협상조약이라 불리는 불평등 조약을 고종 앞에 내놓았습니다. 그날 일본은 어전회의가 열리는 덕수궁 중명전 안팎에 무장한 군인들을 배치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고종은 황제의 도장인 옥새 찍는 것을 끝내 거부하였습니다. 고종을 설득하지 못한 일본 총리 이토 히로부미는 이완용 등 을사오적을 데리고 조약을 맺었습니다. 이 조약이 바로 을사늑약입니다. ‘늑약&rs...

  • 경제 기타

    전통시장 활성화,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 등

    전통시장 활성화,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 지난 설에 공무원 및 공기업 직원들은 전통시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 상품권’을 상여금으로 받았다고 한다. 대형마트 등에 묻혀 빛을 잃고 있는 전통시장을 되살려 보자는 취지라고 한다. 이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일지는 분명하지 않다. 요즘 신세대들은 전통시장보다 대형마트를 자주 이용한다. 이유는 여러 가지다. 첫째 주차 시설 및 점포가 쾌적하게 돼 있다. 전통시장에선 불가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