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죽을 각오'로 희망을 향해 돌진한 女전사

    서진규의 〈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싶다〉가 출간 23년 만인 2022년 11월 〈다시, 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싶다〉로 돌아왔다. 서문을 추가해 다시 낸 이 책이 밀리언셀러 〈세이노의 가르침〉 첫 장 첫 글에 소개되면서 더욱 독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삶을 에세이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 20년 넘게 큰 반향을 일으키는 비결은 뭘까. 책 제목대로 저자가 많은 사람의 가슴에 ‘희망의 증거’가 되어 살아 움직이기 때문이리라....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18일 (869)

    1. 배를 만드는 산업을 뜻한다.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이 국내 대표적 기업인 이 업종은? ① 해운 ② 조선 ③ 방산 ④ 2차전지 2. 중앙은행이 수장의 발언 등을 통해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을 시장 참가자들에게 미리 안내하는 행위는? ① 밸류에이션 ② 양적완화 ③ 포워드 가이던스 ④ 그린북 3. 특수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막대한 이익을 얻은 기업에 일시적으로 부과하는 세금은? ① 간접세 ② 누진세 ...

  • 키워드 시사경제

    고추장 넣은 '맵달' 메뉴, 미국 식당가 점령

    미국의 유명 햄버거 프랜차이즈 쉐이크쉑이 한식에서 영감을 얻은 ‘한국식 프라이드치킨 샌드위치’를 미국 매장에서 선보였다. 고추장 양념으로 코팅한 치킨이 들어간 점이 특징이다. 원래 한국 매장에서 한정판으로 팔던 메뉴인데, 미국인 사이에서도 반응이 좋아 현지에도 내놓게 된 것이다. 쉐이크쉑의 수석 셰프인 존 카랑기스 부사장은 “손님들이 ‘조금 더 맵게 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피드백을 주기도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남녀공학 반대"…동덕여대 과잠 시위

    동덕여대 학생들이 대학 측의 남녀공학 전환 추진 논의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학교 측은 공학 전환과 관련해 확정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학생들은 전면 철회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공학 전환에 반발하는 학생들이 벗어둔 과잠(학과 점퍼)이 지난 12일 오전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 본관 앞에 놓여 있다. 연합뉴스

  • 대학 생글이 통신

    흥미 느끼는 분야에서 진로 큰 틀 잡아야

    지금쯤 고3 학생들은 대입 논술 또는 면접을 준비하고 있을 테고 1~2학년 학생이라면 기말고사와 수행평가, 세부능력 특기사항(세특) 등을 준비하느라 바쁠 것입니다. 대학 입시를 앞두고 우리는 미래의 진로를 염두에 두고 지원할 학과를 결정합니다. 세특을 작성할 때도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지,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지원할지를 고민합니다. 미래에 어떤 분야에서 일하면 좋을지, 그러기 위해선 어떤 대학의 어떤 계열로 가야 할지 정하지 ...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제시문의 공통 주제, 결론을 먼저 파악해야

    지난 호에서 인간의 합리성을 주제로 여러 견해를 다뤄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논술 문제 형식으로 전환해 답안을 구상해보겠습니다. 아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해보세요. 답안을 한 번 써 본 후 해설을 읽어보면 더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논제] 제시문 <다>를 바탕으로 제시문 <가>와 <나>의 주장을 평가하시오. (700자 내외) <가> 시장사회는 단순히 물건을 상품으로 전환하는 데 그치...

  • 교양 기타

    심장을 내어준 우편배달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표 함민복 판셈하고 고향 떠나던 날 마음 무거워 버스는 빨리 오지 않고 집으로 향하는 길만 자꾸 눈에서 흘러내려 두부처럼 마음 눌리고 있을 때 다가온 우편배달부 아저씨 또 무슨 빚 때문일까 턱, 숨 막힌 날 다방으로 데려가 차 한잔 시켜주고 우리가 하는 일에도 기쁘고 슬픈 일이 있다며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또박또박 붙여오던 전신환 자네 부모만큼 고마웠다고 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 열심히 살라고 손목 잡아주던...

  • 경제 기타

    기술 개발과 인적자본 투자의 중요성 일깨워

    마지막으로 살펴볼 경제성장 모형은 ‘내생적(endogenous) 경제성장’이라고 불리는 성장 모형이다. 지난주에 배운 솔로 경제성장 모형은 선진국의 지속적 경제성장 과정을 발전된 기술의 투입으로 설명했을 뿐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내생적 경제성장 모형은 생산요소의 지속적 투입을 통해 경제가 성장한다는 외생적 경제성장 모형과 달리 경제성장의 요인을 경제 내 상호작용에서 찾는 특징이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