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입전략

    정시 무전공 확대…선택과목 점수 차가 변수, 문·이과 통합 유형 1, 89개大서 7153명 선발

    2025학년도 정시 전형에서 무전공 선발 인원은 1만4351명에 달한다. 문·이과 모두 통합된 유형 1은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전국 89개 대학에서 7153명을 선발해 전체 무전공 선발 전형의 49.8%를 차지한다. 문·이과 각 계열 내에서 선발하는 유형 2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전국 69개 대학에서 7198명 50.2%를 선발한다. 지역별로는 서울권이 7862명으로 전체 선발 인원의 54.8%를 차...

  • 숫자로 읽는 세상

    비트코인 연일 '불기둥'…시가총액, 코스피 넘었다

    비트코인 전체 시가총액이 한국 증시 전체 시총은 물론 은(銀) 시총도 넘어섰다. 비트코인이 ‘트럼프 효과’로 8만9000달러까지 치솟는 등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다. 암호화폐 전체 시총은 3년 만에 처음으로 3조 달러를 돌파했다. 12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4시 기준 24시간 전 대비 11% 오른 8만9840달러를 기록하며 신고가를 달성했다. 국내에서는 같은 시각 1억2801만원에 거래돼 하루 만...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해야 하나

    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를 놓고 찬반 양론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집값 안정론을 근거로 그린벨트를 풀었지만 시민단체들은 환경 보존 논리를 앞세우고 있다. 서울 아파트 공급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정책 집행 속도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반면 그린벨트발 아파트 공급 효과는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는 지방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으로 서울 과밀화를 부추길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찬성] 아파트 공급난 해소...

  • 숫자로 읽는 세상

    "한류로 한국어 교육생 급증…지원체계 필요"

    미국 내 한국어마을 설립자가 한류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장학제도 등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미국 미네소타주 한국어마을 ‘숲속의 호수’ 설립자이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소속 로스 킹 교수는 13일 세종시청 여민실에서 ‘세계 유일의 한국어 마을 숲속의 호수와 북미의 한국어 교육 이모저모’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킹 교수에 따르면 북미 지역에서 한국어 고등교육 프로그램이 140곳...

  • 시사·교양 기타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주니어 생글생글 제137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우주 관광’입니다. 버진 갤럭틱, 블루 오리진, 스페이스X 등 우주 관광 상품을 판매하는 세계적인 기업과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소개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스포츠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려고 한 오니츠카 기하치로 아식스 창업자의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토포악발 (吐哺握髮)

    ▶한자풀이 吐: 토할 토 哺: 먹을 포 握: 쥘 악 髮: 터럭 발 먹던 것은 뱉고 감고 있는 머리를 거머쥐다 인재를 얻기 위해 애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 -<한시외전(韓詩外傳)> 주(周)나라는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멸하고 세운 나라다. 무왕의 치세로 혼란한 정세는 점차 회복해가고 있었다. 그런데 무왕이 질병으로 죽고 나이 어린 성왕(成王)이 제위에 오르자, 무경과 관숙 등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정세는 ...

  • 경제 기타

    은행 건전성 관리, 대출 규제가 중요 수단

    수능이나 평가원 모의평가에서는 경제 관련 지문이 나올 때 금융시장에 대한 내용이 종종 출제됐습니다.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가장 무난한 경제 지문이기도 하지요. 이번엔 금융 안정 측면에서 금융당국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 안정이란 금융은 무엇일까요. ‘금전의 융통’을 줄인 말입니다. 즉 돈을 빌리고 갚는 행위가 금융인 셈이죠. 정부, 개인, 기업 등 모든 이가 금융 활동의 주체입니다. 돈이 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수탁받다'란 말은 없어요

    점입가경, 가관, 천고마비, 청천벽력, 요령, 횡설수설, 장광설, 엉터리, 주책, 독불장군…. 전혀 연관성이 없는 말들을 나열한 듯 보인다. 하지만 이들 사이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모두 의미변화를 일으킨 말이란 점이다. 특히 그것도 거의 정반대 쓰임으로 굳어진, 독특한 우리말 유형에 해당하는 말들이다. 이들에 관한 이야기는 나중에 기회가 닿는 대로 다시 다루기로 하고, 오늘은 이 중 ‘점입가경’의 중복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