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남을 헐뜯고 미워하는 우리 사회 괜찮을까?

    혐오표현이란 특정 집단에 대한 증오를 불러일으키고, 차별을 유발하는 표현을 뜻한다. 최근 사회 양극화가 가속화되면서 혐오표현들이 사회 특정 집단들을 공격하고 있다. 청소년들을 ‘급식충’, 어르신들을 ‘노인충’처럼 단어에 ‘벌레 충’자를 붙여 벌레에 비유해 인격을 깎아내리는 단어가 사용되는가 하면, ‘한남’, ‘김치녀’처럼 남성과 여성을 비...

  • 경제 기타

    공정 소비로 세상이 나아질 수 있을까?

    노동의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아동과 부녀자의 노동 착취나 환경 파괴를 동반하는 상품의 제조 및 수입을 피하자는 것이 공정 무역이다. 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해외로 떠나는 사람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1930만 명이 266억 달러를 써 한국이 외국 여행에 돈을 많이 쓰는 나라 7위에 올랐다. 하지만 새로운 경험을 하기 위해 떠나는 해외여행은 개도국의 경우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지만, 현지 주민이 얻는 수입은 매우 적다....

  • 커버스토리

    [Cover Story-블라인드 채용 빛과 그림자] 학력·스펙보다 업무적합성 중시하는 블라인드 채용

    세상에는 다양한 관점이 있다. 현상이 같아도 해석이 다른 이유다. 계층이나 자신이 처한 입장, 또는 보수적 성향이냐 진보적 성향이냐에 따라서도 견해나 해석이 달라진다. 자유를 중시하느냐 평등을 중시하느냐에 의해서도 판단이나 평가가 다르다. 가급적 인적사항이나 스펙을 보지 않고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 ‘블라인드 채용’ 역시 논란거리다. 관점에 따라서는 기회가 균등해지는 새로운 평가시스템이 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관점에선 노...

  • 경제 기타

    급감하는 교직원 임용… 교대생들의 미래는?

    요즘 교대 재학생과 교대 지망생들은 비상에 걸렸다. 교직원 정원수(TO)를 줄인다는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취업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동안 교대가 높은 인기를 자랑했던 것은 임용고시만 통과하면 보장되는 취업의 영향이 컸다. 하지만 낮은 출산율로 인해 가르쳐야 할 학생의 수도 점차 줄고 있고, 따라서 교직원 수도 줄이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부터 교대 정원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었지만 교대 지...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447>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매점매석' 대신 '사재기'라고 쓰세요

    얼마 전 살충제 파동으로 달걀이 품귀 조짐을 보이자 중간 유통상인들의 '사재기 '가 불거지기도 했다. 사재기는 한자어 '매점매석' 을 순우리말로 순화한 말이다. 지난 호에선 ‘입도선매(立稻先賣)’에 담긴, 지난 시절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살펴봤다. 입도선매와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 말이 ‘매점매석(買占賣惜)’이다. 얼마 전 살충제 파동으로 달걀이 품귀 조짐을 ...

  • 진학 길잡이 기타

    1회 첨삭 + 1회 최종코멘트로 '자소서 완결'

    ‘생글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이 수험생과 학부모의 연장 요청에 따라 8월30일부터 9월6일까지 1주일간 단기로 다시 서비스된다. 지난 7월 초부터 약 50일간 진행된 생글 온라인 자소서 컨설팅은 수험생 신청이 조기 마감될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이번 단기 마무리 서비스는 1차로 선보인 절차와 다르다. 1차 서비스 때는 6단계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컨설팅해줬지만 이번 서비스에선 이미 자기소개서를 작성한 학생들이 대상이...

  • 진학 길잡이 기타

    자소서는 쓰는 것 만큼이나 퇴고 과정이 중요

    9월11일부터 대학의 수시원서 접수가 시작된다. 자기소개서는 일찍 시작한 학생의 경우에 3~4월부터 작성하기도 하지만 대다수 수험생은 여름방학에 자소서 작성에 돌입한다. 그리고 지금은 눈앞으로 다가온 원서 접수에 맞춰 자소서를 마무리지어야 하는 시기다. 이에 최종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퇴고를 꼼꼼하게 하는 것은 초고 작성 못지않게 중요한 과정이다. 퇴고의 과정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한 내용을 평가자가 정확하게 전달받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