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북한, 독재체제 지키려고 위험한 '핵 도박'
북한은 왜 핵개발에 안간힘인가 북한이 국제사회의 비난과 제재에도 불구하고 핵개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것은 한마디로 ‘독재체제 유지’를 위해서다. 특히 적대적인 대북정책을 고수하고 미국에 핵능력을 과시함으로써 체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가 제재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거라는 분석이 우세한 이유이기도 하다. 핵무기를 앞세운 북한이 전 세계,...
-
커버스토리
'공포의 균형'… 전술핵 재배치가 대안으로
한국은 무슨 대응책 있나 북한의 ‘핵 폭주’ 앞에서 대한민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냉정하게 보면 지금의 위기 국면에서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많지 않다. 전문가들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완성된 핵무기에 대응하는 방법은 핵 무장 외엔 없다고 본다. 다만 한국이 독자 핵 개발에 나서면 파장이 너무 크기 때문에 미군이 보유한 전술핵무기를 국내에 들여와 한국이 사용권을 일정 부분 나눠 갖는 방안, 즉 ‘전술핵 ...
-
과학과 놀자
포퓰리즘 정치에 재정난 빠진 베네수엘라
좌파정권의 실정으로 경제난에 처한 베네수엘라를 놓고 미국 러시아 중국이 맞붙었다. 미국의 제재로 베네수엘라가 고립되자 중국과 러시아가 지원을 미끼로 ‘미국의 앞마당’인 중남미에서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있다. 미국은 베네수엘라 문제를 국가 안보 차원으로 인식하고 견제에 나섰다. 총체적 난국 빠진 베네수엘라 한때 ‘오일머니’로 중남미를 호령하던 베네수엘라는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2013년 집권한 니콜...
-
교양 기타
<28> CJ그룹 이재현과 한국영화산업
한국 영화가 상당한 수준에 올랐다. 국내 영화시장에서의 점유율만 봐도 알 수 있다. 1995년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관객수 기준의 한국 영화 점유율은 20% 수준이었다. 국내 영화 관객의 80%는 한국 영화가 아니라 외국 영화를 선택한 것이다. 스티븐 스필버그와의 만남 그러던 것이 지금은 한국 영화가 50% 이상을 차지한다. 2016년을 예로 들면 한국 영화 점유율은 54%로 외국 영화 관객 비율 46%를 8%포인트나 앞섰다. 한국 영화의 수...
-
학습 길잡이 기타
오래 쉬지 못했지만, 닭이 우니 또 발을 싸매네. - 무명자집 -
▶ 조선 후기 문인 윤기(尹, 1741~1826)의 ‘가고 가고 또 가며(行行重行行)’ 2수이다. 가고 가고 또 가고 가다, 저물어서야 비로소 투숙했네. 오래 쉬지 못했지만, 닭이 우니 또 발을 싸매네. 가고 가고 또 가고 가니, 꾀하는 일 무엇인가. 서로 만나 물어보면, 바쁘다는 한마디만 하네. 목표를 향해 쉼 없이 걷고 걷는다. 지친 몸을 이끌고 잠시 몸을 뉘었다가, 알람이 울리면 삐걱거리는 몸을 일으킨다. 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노숙인은 '이슬 맞고 자는 사람'을 말하죠
'노천'의 한자는 ' 이슬로(露) '이다. 이를 자칫 ' 길로(路) '로 착각하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한데에 있어서 이슬을 맞고 하늘을 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으니 절묘한 작법이다. 지난 9월7일은 절기상 백로(白露)였다. 더위가 물러간다는 처서(處暑) 다음에 든 백로는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하는 때다. 곧이어 추분(秋分·9월23일)이 되면 이때부터 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
-
진학 길잡이 기타
대학별 논술유형 적응 여부 파악하고 수능 최저 등급 기준도 살펴야
최근 미래 인재의 요건으로 4C를 든다. 의사소통기술(communication skills), 협력능력(collaboration),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 창의성(creativity)이 그것이다. 기업 채용문화 변화에 따라 대학의 인재 선정 방식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논술(logic writing)과 장기적 면접방식이 4C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하고 있다. 수시를 앞두고 성공적인 논술 최종 ...
-
경제 기타
"정부가 돈을 마구 찍어내면 살인적인 인플레이션 발생… 짐바브웨 달러·고종 때 발행된 당백전은 전형적인 사례"
짐바브웨와 2억%의 인플레이션 짐바브웨에서는 왜 이토록 엄청난 고액 지폐를 발행한 것일까? 이유는 극심한 인플레이션 때문이었다. 짐바브웨는 1990년대 최악의 가뭄 사태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자 토지개혁을 강행했는데, 이때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화폐를 마구 찍어대기 시작했다. 게다가 2000년대 초반부터 강화해 온 가격 통제와 외환 통제, 수출입 통제 등 정부의 통제 정책으로 실물 및 금융 경제가 심각하게 왜곡되면서 짐바브웨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