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교복 자율화는 좋기만 할까?

    교복은 중학교에 입학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6년 동안 대한민국 학생이라면 대부분 입는다. 학생이라는 신분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 교복의 기능이다. 그런데 경기도 몇몇 학교는 교복을 자율화하고 있다. 만약 교복이 사라지면 어떨까? 1983년부터 약 3년간 교복 자율화가 시행된 적이 있다. 학생들의 개성과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해서였는데, 왜 이 정책은 3년밖에 실행되지 않았을까? 그 이유는 빈부격차 위...

  • 학습 길잡이 기타

    군(君)의 집안에 부족한 것은 '의(義)'뿐이었습니다. -전국책 -

    군 가 소 과 유 자 이 의 이 君 家 所 寡 有 者 以 義 耳. 그대 집 바 적다 있다 ~것 써 의롭다 ~뿐 군(君)의 집안에 부족한 것은 ‘의(義)’뿐이었습니다. - 전국책 - 전국책(戰國策)에 맹상군의 식객으로 있던 풍훤(馮, ‘사기(史記)’에는 ‘풍환(馮驩)’으로 나옴)이 백성들의 빚 문서를 태워버린 이야기가 나온다. 맹상군은 풍훤에게 설(薛) 땅에 가서 빚을 받...

  • 9월 18일 (568)

    1. 최근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하는 특정 지역 주민들의 집단행동이 논란이다. 자신의 거주 지역에 이익이 되지 않는 일을 강력히 반대하는 지역이기주의를 가리키는 말은? ①핌피(PIMPY) ②님비(NIMBY) ③딩크(DINK) ④픽스(PIGS) 2. 병·의원에 실제 낸 의료비의 거의 대부분을 보장해 주는 보험이다. 국내 가입자가 3000만 명을 넘을 만큼 대중화됐지만 과잉 진료 조장 등의 논란도 있는 이 상품은? ①재보험 ②산재보...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단기자본의 유입 ② 달러화의 평가절상 ③ 미국 상품의 가격경쟁력 약화 ④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의 증가 ⑤ 원자재 수입물가 상승으로 미국 내 물가 상승 [해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다른 국가와의 금리 차이가 증가해 해외 자본유입이 늘어난다. 미국 국내로 외환 공급이 증가해 다른 외화에 비해 달러화는 평가절상(달러 환율 하락)된...

  • 교양 기타

    (76)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개츠비와 톰과 데이지의 무모한 선택 《위대한 개츠비》는 대단한 타이틀을 많이 갖고 있다. 미국 뉴욕 랜덤하우스 출판사에서 ‘20세기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소설’을 선정했을 때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에 이어 《위대한 개츠비》가 두 번째로 꼽혔다. ‘옵저버’ 선정 인류 역사상 가장 훌륭한 책, ‘타임’ 선정 현대 100대 영문소설 등 명작을 선정할 때 《위대한 개츠비》는 가...

  • 진학 길잡이 기타

    9월 모의고사로 지원권 판단하고 대학별 시험일정도 체크해야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을 포함한 대다수 대학들이 9월 11일부터 원서접수를 하고 대학별로 9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논술, 면접, 전공적성검사 등 대학별고사를 주로 주말을 이용해 실시한다. 수험생들은 지망 대학의 입학처 홈페이지를 방문해 가장 최근에 공지된 수시 모집요강을 살펴보고 원서접수기간, 대학별고사 시험일 등 전형일정을 꼼꼼히 체크하도록 하자. 1. 원서접수·서류제출기간 꼼꼼히 살펴라 불과 몇 년 전에는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 "수학 문제 도와줘"···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 '챗봇' 시대

    “수학 문제가 잘 안풀려. 도와줘.” “알겠습니다. 이 문제는 이렇게. 자, 보세요!” 인공지능(AI) 로봇이 학생과 대화하면서 공부를 도와주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프로그램 된 대화 형식에 따라 정해진 대화를 나누는 기존 대화형 로봇보다 훨씬 차원 높은 인공지능 챗봇(chatbot)이다. 챗봇은 수학은 물론 영어, 국어, 과학 문제 풀이도 도와준다. 비즈니스에도 응용된다. 주식투자 종목을 분석해 알...

  • 경제 기타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저출산' '고령 사회'가 된 한국

    위 그래프는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서 발췌한 ‘만 18세와 70세 인구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 두 연령을 비교해 보면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한국의 저출산 및 고령화 속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고령화 사회와 고령사회 차이는? 만 18세 인구는 1980년 92만3463명으로, 70세 인구(10만3717명)의 9배였다. 2020년이 되면 상황이 바뀐다. 저출산 여파로 18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