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조미료 등 식품기업에서 문화기업으로 탈바꿈
흥행 대작·멀티플렉스관··· 한국영화 산업 일으켜
한국 영화가 상당한 수준에 올랐다. 국내 영화시장에서의 점유율만 봐도 알 수 있다. 1995년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관객수 기준의 한국 영화 점유율은 20% 수준이었다. 국내 영화 관객의 80%는 한국 영화가 아니라 외국 영화를 선택한 것이다.흥행 대작·멀티플렉스관··· 한국영화 산업 일으켜
스티븐 스필버그와의 만남
그러던 것이 지금은 한국 영화가 50% 이상을 차지한다. 2016년을 예로 들면 한국 영화 점유율은 54%로 외국 영화 관객 비율 46%를 8%포인트나 앞섰다. 한국 영화의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도 한국 영화를 인정하기 시작해서 액수가 많진 않지만 제법 수출도 이뤄진다.
한국 영화의 수준이 높아지는 데 CJ가 큰 역할을 했다. 할리우드와의 합작을 통해 그들의 앞선 노하우를 들여왔고 영화 제작에 안정적인 자금을 댔다. 전국 곳곳에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세웠다. 극장은 어둠침침하고 냄새 나는 곳이었는데 데이트하기 좋은 곳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자연스럽게 관객도 늘었다. 이런 바탕이 마련되자 한국 영화인의 실력이 늘어갔고, 좋은 영화가 만들어졌다.
CJ의 뿌리는 이병철 회장이 1953년 설립한 제일제당이다. 1993년부터 삼성그룹에서 분리 작업을 시작해 1996년 CJ그룹으로 출범했다. CJ가 영화산업에 발을 들여놓은 것은 1995년부터다. 당시 미국에서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드림웍스라는 영화사를 세우느라 투자자를 찾고 있었다. 우여곡절을 거쳐 CJ가 3억달러를 투자해 드림웍스의 대주주로 등장했다.
‘본업’ 밖으로 눈을 돌리다
3억달러면 당시 환율로 2300억원, 그룹 총자산 1조원의 23%에 해당했다. 그렇게 큰 금액을 설탕과 조미료 등 식품만 만들던 기업이 본업과는 전혀 무관한 영화에 투자한 것이다. 사운을 건 결단이었던 셈이다.
그 결정을 내린 사람은 이재현 회장과 친누나인 이미경 부회장이다. 삼성그룹의 창업자 이병철의 제일 큰손자, 손녀다. 이재현은 이병철 회장의 뜻에 따라 1985년부터 제일제당에서 근무를 시작했고 1995년 당시 상무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이 영화에 투자한 이유는 단순히 투자 수익만을 얻기 위함이 아니었다. 이 두 사람은 직접 드림웍스의 이사회 멤버가 돼 할리우드의 노하우를 배웠고 한국에 적용하기 위해 제일제당 내부에 전담팀을 구성했다. 설탕 기업에 영화쟁이들이라니…. 그야말로 ‘공포의 외인구단’ 같은 존재들이었다. 하지만 그 덕분에 한국 영화는 급속한 발전을 이룬다.
1998년 강변테크노마트에 처음 들어선 멀티플렉스 영화관도 안정적 고객 확보를 통해 큰 역할을 해냈다. 이런 노력들이 성과를 내서 2009년 영화 해운대가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 같은 성과는 고통을 견뎌냈기 때문에 가능했다. 삼성, 대우, SK 등 많은 기업이 1990년대 초반부터 영화산업 진출을 시도했다. 삼성이 투자한 ‘시리’가 500만 관객을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대기업들의 영화 프로젝트는 1998년 외환위기를 겪으며 막을 내렸다. CJ는 끝까지 버텨낸 덕분에 지금의 성과를 내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위에 케이블 TV와 드라마 및 공연 제작이 이뤄졌다. 젊은이들이 열광하는 ‘쇼미더머니’도 CJ의 작품이다.
세상을 재미있게 만들다
이재현은 할아버지 이병철에게서 설탕사업, 식품사업을 물려받았다. 생긴 지 60년도 넘은 낡은 제조기업이다. 이재현은 그 위에다가 영화와 쇼비즈니스와 미디어라는 전혀 새로운 기업들을 세웠다. 이제 그가 추구하는 것은 세계에 한국 문화 자체를 퍼뜨리는 것, 세계 사람들이 한국 영화와 한국의 노래와 음식을 즐기게 하겠다고 한다. 불행히도 그는 커다란 두 개의 장애물을 만났다. 탈세 문제로 3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또 샤르코마리투스라는 희귀 유전병도 앓고 있다. 잘 극복해서 종합문화기업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열기 바란다. 그것으로 세상이 좀 더 재미있고 살기 좋아지길 바란다.
◆기억해 주세요
‘스크린 쿼터제’로 한국 영화를 보호하던(?) 시절이 있었다. 1년 중 일정 일수 동안 한국 영화를 상영해야 한다는 규제였다. 이런 보호 속에서 한국 영화는 성장하지 못했다. 경쟁이 없으니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 시설도, 영화 시나리오도 형편없었다. 스크린 쿼터제가 사라지고 보호막이 깨지자 거꾸로 대규모 투자가 이뤄졌다. ‘1000만 관객’ 영화는 이제 다반사가 됐다. 한국 영화 성장에 핵심 적인 역할을 한 기업이 바로 CJ다. CJ는 어떻게 영화를 하게 됐을까?
김정호 <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kim.chungho@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