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진정한 평화를 원한다면 국력 먼저 키워야

    국어사전은 평화를 ‘전쟁, 분쟁 또는 일체의 갈등이 없이 평온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내가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쟁은 6·25전쟁,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이 있고 세계적으로는 1·2차 세계대전, 십자군 전쟁 등이 있다. 팔레스타인 지역, 아프가니스탄, 아프리카 말리 등 현재도 전쟁 중인 국가들이 세계적으로 많이 있다. 그럼 싸우지 않고 다 같이 평화롭게 사는 것은 어려운 일일까? 인류의 역사는 ...

  • 생글기자

    마루마루의 폐쇄와 한국 만화시장의 미래

    만화 분야에서의 불법 저작물로 범죄수익을 거두고 대한민국 서브컬처에 큰 피해를 끼치던 국내 최대 규모의 불법 복제·번역 사이트 ‘마루마루’가 2018년 11월 21일자로 폐쇄됐다. 경찰 관계자 등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 특별사법경찰은 지난해 마루마루의 핵심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했고, 만화 스캔본 등을 올려온 관계자들에게 저작권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그동안 불법 만화사이트 대표자가 줄줄이 경찰에 입건된 데 이...

  • 생글기자

    친(親)고령화도시를 위한 4가지 원칙

    20세기가 의학 분야의 발전으로 남긴 두 가지 유산이 있다. 그것은 바로 유례없이 높아진 기대 수명과 노년층의 개선된 건강이다. 이런 진보를 이어가려면 점점 늘어나는 노년층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그리고 사회에 기여하면서 살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의 핵심은 안전하고 안정적이면서 노년층에 맞는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고령 친화 도시를 기획할 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노년층이 편리하게 생활할...

  • 생글기자

    적국의 심장에서 외친 2·8 독립선언

    우리가 독립운동에 관해 얘기할 때 흔히들 3·1 운동이나 임시정부 수립을 먼저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인 백범 김구 선생과 유관순 열사의 영향도 있을뿐더러 두 사건이 독립운동에서 가지는 상징적 의미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두 사건의 도화선이라고 할 수 있는 2·8 독립선언도 그 의미를 무시할 수 없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 2·8 독립선언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도...

  • 생글기자

    자극적인 '1인 미디어' 콘텐츠 규제 필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개인만의 특별한 개성을 담은 1인 미디어 열풍이 불고 있다. 1인 미디어의 정의는 개인이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며 인스타그램, 유튜브, 혹은 아프리카 텔레비전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유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의 인터넷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영상콘텐츠 제작과 편집이 편리해짐으로써 1인 미디어는 보다 쉽게 대중의 일상 속으로 전파되고 있다. 더불어 이를 통해 대중들은 콘텐츠를 시청하는 단순 소비자를 넘어 방...

  • 역사 기타

    한반도 정착 농경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당시 반지하 움집엔 저장·난방 시설 있었죠

    한반도에서 정착 농경의 성립은 기원전 13세기에서 4세기까지 청동기 시대의 일이다. 맨 처음 청동기 문화가 꽃핀 곳은 서북의 압록강과 청천강 유역이었다. 그것이 점차 남하해 기원전 12~10세기에 경기와 충청 일대에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이란 두 문화를 성립시켰다. 정주취락의 전개 가락동유형의 주거지는 대개 장방형으로 단축 5m, 장축 10m, 면적 50㎡의 반지하 움집이다. 역삼동유형의 주거지는 단축 3m, 장축 10m로 가락동유형보다 규...

  • 학습 길잡이 기타

    Back과 관련된 관용적 표현들

    안녕하세요? 2019년 새해 인사를 이제야 드리네요. 그동안 다양한 영어 어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올해는 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문장 속에서 만나면 해석이 안 되는 Idiom(관용어)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첫 번째로 만나 볼 친구는, back이 들어간 Idiom들인데 어떤 표현이 있는지 기대하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a pat on the back이란 표현이 있는데, ‘칭찬(격려)하기’란 ...

  • 경제 기타

    집 팔아도 전세금 돌려줄 돈이 모자란다구요?

    가격은 양면성이 있다. 부동산 시세도 마찬가지다. 주택가격이 지나치게 올라도, 지나치게 내려도 부작용이 따른다. 정부 당국이 주택가격 동향을 예의 주시하는 이유다. 한국의 경우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주택(주로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집값이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가 많았다. 그동안 집값 안정을 위한 정부 대책도 많이 나왔다. 하지만 최근엔 집값 하락으로 인한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이른바 ‘깡통주택’ ‘깡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