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00주년을 맞는 2·8 독립선언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외친 사건이다.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외친 사건이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 2·8 독립선언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외친 사건이다. 그 이전에도 대동단결선언, 무고독립선언 등 독립운동가들의 독립선언이 있었다. 2·8 독립선언은 그간 중국 상하이나 만주 등지에서 제창된 위의 독립선언과 다르게 일제의 심장인 도쿄에서 제창된 독립선언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일본 경찰이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황에 위험을 감수하고 독립선언서를 제창한 것이다. 당시 지식인이었던 유학생들은 자신들의 이권을 포기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2·8 독립선언은 그 당시에 평범한 독립 선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보다 공개적이고 적극적으로 일제에 우리의 독립의지를 알리고 국권 침탈 이후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인 3·1운동의 계기를 만들었다. 3·1운동은 독립운동에 대한 전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통합된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설립되었다. 이 모든 것이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9년에 일어난 일이다.
우리는 먼 과거의 일인 2·8 독립선언에서 현재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건 당시 최고의 지식인들이 이권을 포기하고 독립 전선에 뛰어든 희생정신이다. 누구나 자신의 이권에 해가 없는 선에서 선의를 베풀 수 있지만, 자신의 이권을 포기하고 국가와 민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행위를 아무나 하지 못하는 일이다. 어쩌면 쉬워 보이는 신념 어린 말 한마디가 많은 사람을 움직일 수도 있고, 자신의 운명을 달리할 수도 있다. 우리가 오늘날 누리는 자유와 평화도 앞선 시대를 산 사람들의 이런 희생이 바탕이 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역사의 교훈을 쉽게 잊는 민족에게는 아픈 역사가 다시 되풀이 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김시현 생글기자(거제고 2년) tlgusdk0202@naver.com
![[생글기자 코너] 케데헌, 한국 전통문화의 힘 일깨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3.3.jpg)
![[생글기자 코너]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효과와 한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87.3.jpg)
![[생글기자 코너]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에 남긴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