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5월13일(토) 제41회 테샛시험…도전하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생글생글을 만드는 한국경제신문은 국가공인 테샛(TESAT) 제41회 시험 원서를 5월1일 밤 12시까지 접수합니다. 테샛은 한경이 국내 저명 경제·경영학 교수들과 함께 개발한 국내 1호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으로 취업을 앞둔 대학생은 물론 경제를 공부하는 고교생도 많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3급 이상자는 고교 생활기록부에 점수 기재가 가능합니다. 특히 상경계에 관심있는 학생이라면 한번 도전해보...

  • 경제 기타

    한국·중국·일본 모두 출산율 하락으로 끙끙 앓아요 !

    이 그래프는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이 발행하는 ‘한경 비타민’ 2015년 1월15일에 실렸다. 한국 중국 일본이 출산율 하락으로 고민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3국 모두 한 자녀 시대 유엔이 2012년 세계인구를 2020년까지 예측했다. 이 그래프는 방대한 데이터 중 한국과 중국, 일본 전망만 발췌한 부분이다. 1975년을 기준으로 그래프는 시작된다. 1975년 한 여성이 평생 낳은 자녀 수, 즉 합계출산율은 한국...

  • 커버스토리

    '싱글시대' 딱 맞는 '24시간 만물상' 편의점

    “연중무휴 24시간 영업하는 점포가 문을 열었다. 서울 올림픽기자촌의 프라자상가에 오픈한 국내 최초의 정통 편의점 ‘세븐일레븐’. 40여평 규모의 이 점포는 각종 식품류를 비롯해 품목마다 대표적인 1~2개 브랜드만 취급해 맞벌이 부부, 독신자 등을 겨냥하고 있다.” 1989년 5월7일자 한국경제신문에 실린 《연중무휴 철야영업 편의점 첫 오픈》이라는 기사다. 미국과 일본에서 앞서 발달한 편의점은 88서...

  • 커버스토리

    교통과 기술 발전이 유통을 진화시킨다

    유통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생산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선택되고 배달되는 일련의 과정이 유통이다. 백화점 마트 슈퍼마켓 전통시장 편의점은 점포가 있는 유통공간이고, 다단계판매 인터넷쇼핑몰 홈쇼핑 카탈로그판매(전단지) 등은 점포가 없는 유통공간이다. 도매 소매 물류 총판 등도 모두 유통에 관한 용어다. 유통은 진화를 거듭한다. 봇짐 지고 다닌 전통상인 ‘보부상’ “중국처럼 수레를...

  • 경제 기타

    도요타, 바이오연료 기술로 철 없는 딸기 만들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전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나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고 자동차 업체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된 ‘가이젠(제조방식 개선)’을 농업 분야에 확대 적용하면서다. 도요타가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딸기 품종 개량. 딸기는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를 맺지 않는다. 딸기 수요가 몰리는 여름과 가을철에 생산이 급감하는 단점을 딸기의 유전공학적인 프로세스 개선으로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고가격 고급 딸기 수요가 기술...

  • 경제 기타

    서울대가 총장 직선제를 부활시킨다는데…

    서울대가 총장 직선제를 들고 나왔다. 국립대 중 유별나게 별도 법인으로 전환했던 서울대가 직선제를 주장하는 것은 성낙인 총장 부임 후 빚어진 심한 학내 분규와 무관치 않다. 처지가 어려워진 성 총장의 대학 개혁방안인 셈이다. 총장 직선제는 선거에 따른 무수한 부작용, 대학까지 포퓰리즘의 저급 정치에 오염된다는 비판에 따라 정부가 정책적으로 폐기를 유도해 온 사안이다. 파벌 조장, 과열 선거 등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총장 직선제 부활은 과연 바...

  • 경제 기타

    해방으로 일본 원목 수입못해 '목재사업 위기'…6·25전쟁 복구에 합판 수요 폭발 '기사회생'

    부산 오륙도 근처에 컨테이너 박스가 가득 쌓여 있는 부두가 있다. 신선대 부두인데 화물선에 컨테이너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으로 1991년 완공됐다. 그 전에는 한창 때 세계 최대 합판공장이던 동명목재 공장이 있던 자리다. 1980년 신군부 세력이 뺏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기억해 주세요^^ 부산 신선대 부두에 있었던 동명목재는 세계 최대 합판공장을 운영했다. 석연찮은 이유로 1981년 재산을 빼앗긴 뒤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강석진, 1...

  • 경제 기타

    시장 독점이 나쁜데도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는 공급자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를 ‘독점(Monopoly)’이라고 한다. 즉, 독점시장은 공급자 간 경쟁이 나타나지 않는 시장으로, 이로 인해 생산량의 조절이 가능해 독점시장의 산출물은 경쟁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 또한 비싼 경우가 많다. 각국이 독점의 폐해를 규제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독점금지법을 운용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